• 제목/요약/키워드: The semi-elderly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9초

울산지역 노인의 생활습관에 따른 항산화 영양소 섭취실태 및 혈액내 항산화 영양 상태 비교 (The Effects of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on Autioxidant Vitamin Intakes and Plasma Antioxidant Status in Elderly People Living in Ulsan)

  • 김미정;김옥현;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27-538
    • /
    • 2002
  • Body antioxidant statu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evention of many chronic diseases caused by oxidative stress, especially in the elderly and is affected by health-related habit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health-related habits and plasma antioxidant status in the elderly. Plasma antioxidant status was examined by determining plasma levels of antioxidant vitamins (vitamin C, A, E, $\beta$ -carotene),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and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 (TBARS) . The subjects included 225 elderly persons aged over 60 yews (63 males, 162 females) living in the Ulsan area. They were interviewed to collect data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exercise and alcohol consumption by means of questionnaires. Their dietary intakes were obtained by means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FFQ)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status. The ratio of smoker, drinker and exerciser was 16.7%, 31.0% and 44.2% respectively. The dietary antioxidant vitamin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of smoking and drinking status, but tended to be higher in non-smokers and non-drinkers than in smokers and drinkers. Plasma vitamin C and $\beta$ -caroten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n-smokers, but Plasma vitamin A and TBARS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non-smokers than in smokers. Plasma TA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moking groups, bu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ckyear. Plasma vitamin C and $\beta$ -carotene levels of the non-drin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drinkers and past-drinkers, but plasma vitamin A, C, E, TAS and TBARS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f drinker. All vitamin intakes of the exerciser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exercisers, but vitamin C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exercisers than in non-exercisers. Plasma $\beta$ -caroten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exercisers and plasma vitamin A, C, E, TAS and TBARS levels tended to be higher in exercisers than in non-exerciser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ange to non-smoker, modulation of alcohol consumption and regular exercise could enhance antioxidant defences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ight increase the likelihood of a healthier life span.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Chokbang))

  • 허소영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241-26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서 이들의 경험에 대한 좀 더 풍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Y 쪽방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 남성 8명이다. 의도표집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포커스 집단 면담과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4단계에 의거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구성요소와 1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쪽방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4가지 구성요소는 <마음 둘 곳 없어 외로운 신세: 아들, 남편, 아비구실 못해 가족을 지우고 살아옴, 몸은 머물지만 정들지 않는 쪽방 살이, 하루짜리 술친구에 머무는 사귐, 외로움을 안고가기>,<인색한 지원에 근근이 살아감: 쪽방처럼 사방이 막힌 인생살이에 우울함, 수급자라 휘둘리고 무시 받아 속상함>,<편견과 차별에 주눅 드는 삶: 아쉬워도 손 벌리지 못함, 가족을 꾸리지 못해 후회되고 냉대 받음, 다가가지 못하는 바깥세상 >,<사람노릇하며 살다가기: 홀로의 삶을 건사하여 독립을 유지하려함, 빚 갚는 마음으로 도움주기, 하릴없이 보내는 나날이 고역이라 일을 하고 싶음, 쪽방 사람들과 다르게 살아가기, 어른도리 하기, 마음을 다스려 현재의 삶을 수용함, 폐가 되지 않을 죽음을 준비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고 사회복지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독거노인의 외로움과 수면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Lonelines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 최유정;이경규;이석범;김경민;김도현;이정재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68-176
    • /
    • 2020
  • 연구목적 외로움과 수면의 질 저하는 노인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외로움과 수면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외로움과 수면의 질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천안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090명을 대상자로 시행되었다., 훈련된 간호사의 면담과 외로움 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인구사회학적 정보, 신체 건강상태(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CIRS), 인지기능,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등의 자가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인구학적 변인과 외로움 척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기술적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외로움과 수면의 질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단변량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외로움군의 평균 PSQI 점수(9.2±4.2)는 정상군(7.3±3.7)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student-t test, p<0.001). 성별, 기분장애 및 상관분석에서 유의성을 보인 변수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외로움은 전체 PSQI 총점(standardized β=0.065, p=0.025), 수면방해(standardized β=0.086, p=0.005), 수면제 사용(standardized β=0.065, p=0.034)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 론 외로움은 수면문제와 연관성을 보였으며 이는 독거노인의 수면의 질 저하에 외로움이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독거노인의 외로움을 줄이기 위한 개입은 수면의 질을 호전시키고 신체 및 정신 질환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외로움을 예방하고 줄일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의 보건복지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형태소 깎는 노인: 국어사 자료를 위한 형태분석 보조기 (The POS Elderly: Semi-automatic annotation tool for Historical Korean)

  • 김미경;박수지;이상아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정보학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 /
    • pp.39-43
    • /
    • 2016
  • '형태소 깎는 노인'은 국어사 자료를 처리하는 고성능 자동 형태분석기의 개발이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형태분석 작업을 하는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된 형태분석 보조기이다. 인간과 기계의 분업을 통해 인간의 피로를 최대한 줄이고, 단순 반복 형태에 대해서는 정답을 확실하게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국어사 자료에는 한국어 정보처리를 위해 필요한 어휘 사전이 없으므로, 문법형태소 사전을 만들어 이를 단서로 조사/어미부와 어간부를 구분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구축된 소규모 형태분석 말뭉치들이 장기적으로는 자동 형태분석기의 성능 개선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형태소 깎는 노인: 국어사 자료를 위한 형태분석 보조기 (The POS Elderly: Semi-automatic annotation tool for Historical Korean)

  • 김미경;박수지;이상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9-43
    • /
    • 2016
  • '형태소 깎는 노인'은 국어사 자료를 처리하는 고성능 자동 형태분석기의 개발이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형태분석 작업을 하는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된 형태분석 보조기이다. 인간과 기계의 분업을 통해 인간의 피로를 최대한 줄이고, 단순 반복 형태에 대해서는 정답을 확실하게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국어사 자료에는 한국어 정보처리를 위해 필요한 어휘 사전이 없으므로, 문법형태소 사전을 만들어 이를 단서로 조사/어미부와 어간부를 구분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구축된 소규모 형태분석 말뭉치들이 장기적으로는 자동 형태분석기의 성능 개선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유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거복지동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가양 7단지 영구임대주택을 중심으로 (A Design Methodology of the Welfare Building for Providing u-Healthcare Services: Focused on the Gayang 7th Apartment Complex)

  • 이지은;윤영호;양동석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1호
    • /
    • pp.1-10
    • /
    • 2014
  • 주거 공간에 건강관리에 필요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aging in place'의 실현을 가속화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주거공간의 변화는 의료비를 절감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복지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가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헬스케어 서비스(Healthcare service)를 아파트 단지 내에 적용하는 계획방안에 대해 도출하고 주거복지동의 첫 사업 대상지인 가양 7단지 영구임대주택 단지를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고자 한다. 먼저 거주자의 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의향에 대해 조사하고 관심이 높은 응답자를 중심으로 실제 시범사업이 적용된 서비스의 사용모습 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추후 계획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도출하였다. 가양 7단지의 경우 유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고령자보다는 고령자 진입층에서 더 강력하게 나타나지만 공통적으로 주호의 협소함으로 기기 설치 및 측정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관찰조사 결과 주호는 사용자세의 불편함으로 입식구조의 측정공간 계획이 필요하며 장비보관장소도 필요하다.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은 건강측정, 건강관리, 외부 시설과 연계된 시설로 나눠 계획할 수 있으며, 이는 건강측정 공간을 기본형, 즉 최소형으로 하여 점차 확대 적용할 수 있다. 가양 7단지의 경우, 별도의 복지 건물이 신축되므로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성하는 혼합형의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반자립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까지 확대 적용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대상노인 및 부양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PSM)과 이중차이(DD) 결합모형을 이용한 분석 -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s - The DD Method Combined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

  • 권현정;조용운;고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301-326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제도성과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확한 제도성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준실험적 방법인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 결합모형을 이용해 타당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사회적 성과변수인 대상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3-4차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성향점수추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매칭한 후, 정책시행 이전과 이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성과의 차이를 추정하기 위해 패널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대상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가족관계 만족도는 제도시행 이전에 비해 제도시행 이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실시되고 제도가 충분히 성숙된 시점에 이루어진 평가가 아니라는 한계점을 가지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최종 목표인 대상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정책의 목표실현과 향후 제도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 PDF

한국 속리산 국립공원 지역집단에서 이용되는 약용동물의 구전 전통지식에 대한 민족동물학적 연구 (Ethnozoological Study of Medicinal Animals for Orally Transmitted Knowledge Utilized in the Local Communiti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

  • 송미장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3-44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record and conserve oral traditional knowledge of medicinal animals from the indigenous people living in the local communiti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 Methods : Data was collected by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es were accomplished through data received from the following three methods: informant consensus factor (ICF), fidelity level (FL), and network analysis. Results : The investigation reveals that the indigenous people have used 49 species of medicinal animals distributed within 45 genera, belonging to 39 families with 336 different usag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recorded families, the most representative families were Scolpendridae and Phasianidae, which were utilized 36 times each (10.71 % each). The category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sensus from informants was disorders related to the nervous system (0.97). 16 species were classified with a fidelity level of 100 %. The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a lack of vigor was related to 23 species, including Agkistrodon blomhoffii, Gallus domesticus, and Canis familiaris, among the total 49 species investigated. Conclusions : This documentation can help preserve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local health traditions of Korea that are disappearing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death of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knowledge. Additionally, the animals investigated in this study can be developed into medicinal food and drug for treating specific health conditions through further research.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of Korean Farmers in Relation to Farmers' Syndrome and Gastro-Intestinal Problem

  • Rhie, Seung-Gyo;Park, Yaungja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44-5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in relation to physical complaints, such as farmer' syndrome(FS) and gastro-intestinal(GI) problem among Korean farme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4 Cornell Medical Index (CMI), 8 farmers' syndrome, and 5 GI problem questions. Food intake data was gathered by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method. The subjects(male 226, female 415) who had FS and Gi problem were 12./8% and 8.3%, respectively. The physical complaints were higher in female and the elderly group. In the FS group, lower activity was seen that in normal groups. The lower health status and fatigues were found in the physical complaint groups. Dietary behavior showed low appetite in the physical complaint group, irregular lunch in FS, and irregular breakfast in GI problem group. Changes in dietary behavior were shown in the aspects of lower amount of intake quantity(40.8%), lower consumption in fat(32.8%) and salty(38.8%) foods, and diverse food items(47.8%). Quantity of food consume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ing groups with FS. Kinds of food consumed, intake of protein source foods, milk and calcium and total animal foods were lower in the FS group. But milk and calcium source food and all animal food intakes were higher in the GID problem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differ within the group of physical complaints.

  • PDF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of the Korean Baby Boomer Generation

  • Kim, Sohyun;Brady, John Thomas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172-186
    • /
    • 2019
  • As ICT technology develops rapidly and social and consumer interactions require more knowledge of the technology, the interest for baby boomers' ICT technology acceptance is increasing as they age.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as they lack a systematic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is phenomenon in which the emerging elderly population embraces emerging technology.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study carried out a phenomenological study on baby boomers' ICT technology acceptance. In addition, since existing studies have just simply listed variables or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few variables,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analyzing the data obtain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Through this procedure, it was aimed to construct conceptual model which illust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so that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baby boomers' acceptance of ICT technology with a holistic view could be possible. The ten variables suggested by Lee & Coughlin (2015) that cover multiple sides of baby boomers' technology acceptance were used.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re is a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different agents can be related to each variable in sequence. Also,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we analyzed baby boomers and their surroundings to find agents involved in this phenome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