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5초

공공건축물의 저탄소 계획요소의 활용 및 탄소감축 효과분석 -충북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w-carbon planning element and carbon reduction effect in public buildings -Focused on Cheongju city-)

  • 김영환;어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043-3051
    • /
    • 2013
  • 지구온난화에 따라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세계 모든 국가들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대응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는 중이다. 특히 최근에는 도시 건축물과 관련하여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를 줄여야 한다는 인식이 고조되고 있는데, 이는 건축물이 국가 온실가스 배출의 25%를 차지하고 도시 내에서도 절반 이상의 비율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공부문에서 저탄소 녹색 정책 및 추진전략을 선도적으로 실천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공공건축물의 저탄소 녹색화를 통해 대내 외적인 이미지를 고양시키고 민간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촉진시키고자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청주시를 사례로 공공건축물의 저탄소 녹색화를 위한 계획요소의 활용 특성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탄소감축량 산정 및 경제성 분석을 통해 탄소감축 효과를 분석함으로서 공공건축물의 저탄소 녹색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Administrative Leaders and Their Role in Bringing About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in Universities (Northern Border University Case Study)

  • Abdelrahman, Rashid Abdelbasit Saa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9호
    • /
    • pp.67-78
    • /
    • 2021
  •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role of administrative leaders working in universities in the success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change, and the extent of the relationship and ability of administrative leaders at all levels of leadership within universitie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at Northern Border University. In addition to presenting some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that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best leadership styles that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ositive organizational change. Where leadership, whether in the private sector or the public sector, is one of the main functions concerned with the processes of direction,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y and an important element to activate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perform their role and achieve their goals. The behavior and trends of leaders represent an important indicator in knowing the type of efforts made by them to improve performance and develop organizations and human resources. The research reached many results, perhaps the most important of which is that the dominant leadership style in universities is the democratic style, followed by the bureaucratic leadership styl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ole for administrative leaders in bringing about development and positive change at Northern Border University at the level of individuals, groups, and organizations. And it became clear that there is an availability of leadership capabilities to an acceptable degree in the administrative leader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leadership ability and democratic style. In addition to the existence of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dministrative leadership ability and the bureaucratic style and the freestyle. It was also clear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ealing between males and females, as well as age, educational qualification, experience, and job grad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dealing with the job title.

도시물류정비를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Principles for Government Involvement in Urban Logistics Planning)

  • 최창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9-63
    • /
    • 2001
  • 도시의 통행활동을 여객통행과 화물통행 등으로 구분하여 온 지는 오래 되었으나 지금까지 도시교통의 계획과 정비는 주로 여객교통을 중심으로 되어 왔다. 그렇지만 교통혼잡과 환경오염 등 날로 심각해지는 도시문제의 하나로 화물자동차의 통행 증가가 지적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물류의 정비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특히 다빈도 소량운송 시대로의 전환과 택배산업의 활성화는 화물자동차 통행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어 화물자동차의 통행관리가 도시교통의 현안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화물유통촉진법의 개정을 통하여 도시물류의 중요성과 정비방향을 제시함과 더불어 광역도시 단위의 도시물류정비계획 수립을 서두르고 있으나 도시물류의 정비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나 도시물류 정비를 이끌어야 할 공공부문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도시물류를 정비하는데 있어 공공부문이 하여야 할 역할에 대해 논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중앙정부에서 시행할 국가물류의 대상은 제외하고 광역도시 단위에서 할 수 있는 사항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도시물류의 기능을 토대로 공공부문의 개입이 필요한 이유와 공공부문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도시물류정비계획의 수립에서 다루어야 할 사항과 공공부문의 개입 정도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 PDF

가정폭력 관련 기관들의 서비스 연계실태와 관련 요인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r-agency Coordination in Family Violence)

  • 김재엽;박수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7권
    • /
    • pp.107-147
    • /
    • 2001
  • In the 1990s, with enacting of the laws on the family violence in Korea, agencies such as helpline 1366, counseling center and shelter for the female victim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n number. Also police and medical center have been viewed as having major responsibility for delivering services and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public social worker have been expected play a role in community-based delivery systems for the female vict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the inter agency coordination and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r-agency coordination in family violence and to make policy implications for a better delivery system.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 social survey of family violence agencies, counselling center/shelter/helpline 1366, police, medical center, social workers of community center and of public sector in Seoul and Kyeongi area.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inter-agency coordination is low, specially the referal cases of police and medical center is very poor. 2) The type of inter-agency coordination is referals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agencies. 3) the factors affecting inter-agency coordination is agency type, wills and efforts of agency, information sharing,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educat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delivery system to promote inter-agency coordination efforts and for police and medical center, social worker in private and public agency to respond promptly and properly would be built up.

  • PDF

Analysis of the Bicycle-Sharing Economy : Strategic Issu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 Kim, Hwajin;Cho, Yooncheo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7호
    • /
    • pp.5-16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posits that sustainable mobility of the sharing economy plays a key role to consider environment bene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icycle-sharing economy as an emerging and alternative mode of transportation service and provide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The bicycle-sharing economy is still at an early stage of introduction as a transportation mode, while the governmental sector is promoting public bicycle-sharing to encourage bicycle as a substitute for private ca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bicycle sharing programs through a survey that was distributed randomly to users and non-users across the country. Using factor analysis, satisfaction and loyalty for the existing users and intention to use and expected satisfaction for the potential user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utility factors.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economic utility affects satisfaction for user, while storage, mobility, and economic utility affects intention to use for potential us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promote a bicycle-sharing scheme, it would be better to focus on the scheme's economic advantage to be truly effective.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could be applicable to future directions of the sharing economy as a means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The Sources and Directions of Technological Capability Accumulation in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 Rim, Myung-Hwan;Choung, Jae-Yong;Hwang, Hye-Ran
    • ETRI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55-73
    • /
    • 1998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echnological accumulation processes in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from the institutional approach. Institutional approach,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Neo-Schumpeterian tradition,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 to neoclassic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roducing technological knowledge. Traditional wisdom of neoclassical approach revealed the limitation to explain the complex nature of knowledge creation and diffusion. US patent data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increasing trend of numbers and its content to measure the rate and direction of technological capability accumulation. This analysis shows that semiconductor technologies are one of the fastest growing fields among Korean technological activities. Moreover, the analysis of patent content suggests that fabrication technologies are the most important area withi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emiconductors, whilst circuit design and testing technologies are beginning to increase in significance. In addition, it is examined how private sectors and public institutions have contributed to generat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has been changed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es. It is found that Korean firms enhanced their technological capabilities from the learning and assimilation of imported technology to enhanced in-house R&D capabilities in the later stage. The support of public institution and government policy also played significant role to this successful trans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vigorous R&D investment of public sector.

  • PDF

공공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전자정부 역할 연구 (A research paper for e-government's role for public Big Data application)

  • 배용근;조영주;정영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76-2183
    • /
    • 2017
  •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요소가 되는 빅데이터 가치는 민간부분에서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공공부분에서 대국민 및 기업에 대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ICT 선진국들은 공공부분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을 빠르게 제시하고 있다. 특히 사회 위기관리 차원에 있어 재난의 사전 예측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서도 사회 위기관리 차원의 빅데이터 공공 활용 방안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빅데이터의 전반적인 인프라 부분에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는 현실은 앞으로 사회현안 문제해결 차원의 준비와 실천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따라서 우리는 빅데이터 활용 현상의 문제를 분석하고, 각국의 선도적 빅데이터 공공 활용이 선행되는 사례를 검토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정책의 다양성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전자정부의 역할과 정책을 제언하였다. 제시한 정책 사항은 정보개방과 법 제도 개선의 문제,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침해 위협을 관리하는 빅데이터 서비스 고려 사항 문제, 기술적 측면에서 공공의 빅데이터 활용 관련 기술개발 및 빅데이터 운영 분석 기술개발 필요성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공중보건의 역할변화와 보건소의 기능 (The Function of Health Center in the New Public Health Age)

  • 배상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152
    • /
    • 2001
  • Public health system and public health practice have changed over the past decades as the result of social and epidemiologic changes. New public health concept emphasizes leadership, strategical thinking, systematic planning and effective performance to identify and solve complex health problem In Korea, the role of Health Center has been expanded rapidly. However there is strong suspicion that Health Center can achieve their mission.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what is the needed functions of Health Center and which of its aspects needs improve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s as follows. District Health Law does not address the core functions of Health Center. The staffs of Health Center have difficulties in prioritizing their services. The recent attempt to restructure Health Center and change delivery pattern of public health services ended with only limited success. To effectively confront threats to the public's health, the three major function of Health Center must be ${\circled}1$ modifying individual behavior and lifestyle, ${\circled}2$ improving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and ${\circled}3$ reforming health policies. Better results do not come from setting new functions only; they come from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processes that will then leads to better outcome. We recommend that policy-makers focus economic evaluation of public health programs, building and spreading of the scientific evidence of programs, linkage of public health research and public health program. The criteria of delegation of public health service to private sector is urgently needed. Making community health information data available on a routine basis to providers, managers and researchers of public health services helps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operation of public health system.

  • PDF

ICT 중소기업의 산·연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출연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n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of Private-Public R&D Cooperation of ICT SMEs: Focused on Collaboration with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 박웅;박호영;염명배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6호
    • /
    • pp.139-150
    • /
    • 2017
  •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전체 사업체 수의 99.9%, 사업체 종사자 수의 87.9%를 차지하는 등 국가경제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자금은 물론 연구인력, 연구시설 장비 등 기술개발(R&D)에 필요한 역량 확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연연구기관과의 R&D협력은 새로운 기술과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과학기반 지식의 획득과 활용 등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도모함으로써 기업이 기술력을 토대로 지속 성장하는데 중요한 전략적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산 연 기술협력 수요조사를 이용하여, 기업이 출연연구기관과 R&D협력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성요인을 분석하고, 기업의 기술역량과 산 연 R&D협력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이분형 로지스틱 모형(Binary Logistic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로 기업의 기술역량과 관계적 특성이 출연연구기관과의 R&D협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둘째, 기업의 기술역량과 산 연 R&D협력은 제품혁신과 공정혁신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소기업이 기술혁신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출연연구기관과의 R&D협력과 내부 기술역량의 확보가 필요하며, 산 연 R&D협력의 활성화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도모를 위한 출연연구기관의 역할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R&D협력 활성화 측면에서 제시한다.

  • PDF

공원안전관리를 위한 민간경비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rivate Security for Park Safety)

  • 강용길
    • 시큐리티연구
    • /
    • 제34호
    • /
    • pp.7-32
    • /
    • 2013
  • 이 연구는 '안전한 공원조성'을 위한 노력들이 공원관리주체인 지방자치단체와 경찰에 의해서만 달성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공원에서 발생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형태의 범죄에 대한 예방 및 대응전략에 관한 최근의 정책동향과 그 한계를 고찰하고 보다 근본적인 공원안전관리방안을 실효적이고 지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방안으로 민간경비의 활용방안에 대한 법률적, 실천적 방안과 기대효과를 검토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자료수집의 분석을 통해 공원안전관리정책의 최근 동향을 고찰하였다. 둘째, 미국의 공원안전을 위한 정책과 관련된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 공원범죄예방의 추진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서술적 방법으로 공원안전을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과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원안전을 위한 최근의 정책으로는 공원조성단계에서부터 범죄예방계획을 의무화하는 입법과 주요 공원에 대한 범죄 및 안전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한 공원 특별사법경찰제도의 도입, 서울지방경찰청에서 실시하는 안전한 공원을 시민에게 돌려주기 위한 적극적인 경찰대응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례연구를 통해 미국의 주요공원들은 공원안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구체적이고 엄격한 공원규칙을 제정하고, 공원경찰을 중심으로 인력을 통한 적극적인 예방 및 사후조치를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민간경비의 활용방안으로는 공원관리자와 민간경비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안전관리에 투입되는 자원을 선별하고, 전문적인 범죄 및 무질서 예방과 사후조치에 대한 경험과 기술을 활용하자는 것이다. 기대되는 효과로는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만족도 증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범죄의 사전예방, 치안공동생산의 확산과 더불어 민간경비 활동영역의 증대 등을 들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