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mandibular median lingual forame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CBCT를 이용한 하악 정중설공의 해부학적 평가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dibular Median Lingual Foramen: the Assessment of the CBCT)

  • 이고운;김옥수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37-346
    • /
    • 2013
  • 정중설공은 하악 전치부에 존재하는 해부학적 구조물로서, 구강저의 혈행을 담당하는 설하 동맥이 통과한다. 임플란트 시술 시 설하 동맥의 손상으로 인한 대량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CBCT를 통한 정중설공의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정중설공의 해부학적 특성인 출현빈도, 위치, 직경과 그 수를 성별과 나이에 따라 CBCT 이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기 위함이다. 2008년 1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 치과병원을 내원한 62명의 CBCT 이미지(남성 41명, 여성 21명; 평균 연령 43세; 연령 분포 9~85세)를 평가하였다. 하악 전치부 CBCT에서 관찰되는 정중설공의 출현빈도, 수, 위치, 수직적 거리와 직경을 계측하였다. 62명의 환자(100%) 모두에서 설극 상방에 1개 이상의 정중설공을 관찰할 수 있었고, 56명(90.32%)은 다수의 정중설공을 가지고 있었다(2개 64.52%, 3개 25.8%). 42명(66.13%)의 환자에서 하악 양 중절치 사이의 정중설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치조정에서 설극까지의 평균 높이는 24.21 mm 였고, 하악골 하연에서 정중설공까지의 평균높이는 14.53 mm, 하악골에서의 상대적인 높이는 0.45였다. 설공의 평균 직경은 0.93 mm였다. CBCT를 통해 정중설공의 출현빈도, 위치, 직경과 그 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전치부 임플란트 시술 시 대량 출혈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식립 전 CBCT를 촬영하여 개개인의 정중설공의 해부학적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Cone beam형 전산화 단층촬영장치를 이용한 설공의 해부학적 구조 (Anatomical structure of lingual foramen i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기민우;황의환;이상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4권3호
    • /
    • pp.129-136
    • /
    • 2004
  • Purpose: To evaluate whether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an depict the distribution, position, frequency, relative vertical dimension, and the diameter of the lingual foramen and direction of lingual bone canal. Materials and Methods :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of mandible was performed on 25 males and 25 females with no history of any orthodontic treatments or any other dental surgeries. A statistical comparison was done on the mean values of males and females. Results: In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lingual foramina, median lingual foramen was found in all subjects and lateral lingual foramen in 58%. In the lateral lingual foramen, bilateral type was found in 28% and unilateral type in 30%. In the number of lingual foramina, median lingual foramen had two foramina and lateral lingual foramen had one foramen, mostly. In the relative mean vertical dimension of lingual foramina, median lingual foramen was 0.03±0.08, and both lateral lingual foramina was 0.20±0.04. The mean diameter of lingual foramina, median lingual foramen was 0.9mm±0.28, right lateral lingual foramen was 0.92mm±0.23, and left lateral lingual foramen was 0.88mm±0.27. The most frequent direction of the lingual bone canals, median lingual bone canal proceeded in anteroinferior direction and lateral lingual bone canal in anterosuperolateral direction. Conclusion :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an be helpful for surgery and implantation on the mandibular area. Radiologist should be aware of this anatomical feature and its possible implic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