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ocation of settlement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3초

아산만지역(牙山灣地域)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집자리의 시공적(時空的) 위치(位置) (Temporal-Spatial Location of Dwelling Site in Asan Bay in the Neolithic Age)

  • 구자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3호
    • /
    • pp.26-47
    • /
    • 2009
  • 아산만지역에서 조사된 신석기시대 유적 중 집자리(마을)를 중심으로 구조와 특징을 살펴본 후, 이 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마을)의 시 공간적 위치와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방형이 주류를 이루며, 일부 장방형 집자리와 공존하는 예가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대부분 구릉지역에 위치하나, 세부적으로는 완만하고 낮은 구릉지역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구릉지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후자 유적들은 차령산맥의 영향으로 해발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아산 천안지역의 구릉지역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 해발고도 50~80m 정도에 해당한다. 반면 전자 유적들은 삽교천과 예당평야가 넓게 펼쳐진 당진과 예산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어 비교적 해발고도가 낮고 완만한 구릉지역(해발고도 20~50m)에 위치하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입지선택은 문화내적으로는 이들 집단의 생계경제 및 기술수준과 관련되지만, 외적으로는 이들 집단이 처한 자연환경(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결과이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값과 출토유물을 통해 보면, 동시기 유적으로 필자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상대편년 중 II기(기원전 3,500~3,000년)에 해당한다. 이들 신석기시대 집자리(마을)는 경기(인천) 해안지역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대규모 마을을 이루던 경기 해안지역 집단들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의 대표적인 '대천리식 집자리'의 확산 및 교류에 의해 동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아산만지역은 기원전 3,5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두 유형의 집자리가 공존하는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환경(기후) 및 생태적 사회적 변화 등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초보적인 농경의 도입에 따른 유적의 확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만경강유역의 개간과정과 취락형성발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ivation Processes and Settlement Developments on the Mangyoung River Valley)

  • 남궁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7-87
    • /
    • 1997
  • 만경강유역을 하나의 연장선상에 놓고 연구한 결과, 그 공간상에서 역사와 더불어 형성발달해온 시공연속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만경강상류에서 하류 하구연안에 이르는 면장공간상에서의 개간과정은 여말에서 부터 시작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원지-지향지] 지향가설에서 본 개간과정에서 개간의 기원지는 만경강상류 산간계곡의 지류곡지 개간을 효시로 하여 기원지가 이루어지고, 조선조 중기까지는 수방대책의 발달과 더불어 하천 중류까지 진출하고, 하천 본류에 대한 하류지역의 계간은 하천의 규모와 유수량의 증가로 인한 하안의 홍수와 범람을 극복할 수 있는 인공제방을 축조할 수 있는 기술수준에 이른 1920년대에 들어서야 본격화되고, 그후 연이어 하구연안의 간석지 개간도 시행되어 개간의 개척첨단이 이들 지향지인 해안간석지일대에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각 시기마다 공간의 변화도 수반되어 시공연속체가 발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취락의 경우 개간과정에 따라 산간계곡 산록일대에서는 주변입지적 집촌, 하천중류와 하류에서는 중앙입지적 집촌, 하천하구 간석지에서는 중앙입지적 열촌형태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 PDF

강도외규장각고

  • 배현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6권
    • /
    • pp.53-103
    • /
    • 1979
  • Kyujang-gak was an institution established by the King Jungjo's order to enshrine and edit the royal writings and autographs, and to help the revival of learning with more active services in collection, control, and use of the important materials. Furthermore, it was aimed in its establishment to promote the settlement of an innovative and ideal Royal Regime. In this paper, the Outer Kyujang-gak(外奎章閣) of Kangwha Magistracy(江華府), which was one of the lower branches of the Kyujanggak(奎章閣), will be treated, especially about its details of establishment, location, functions,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its collec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Historical Deposit Library(史庫) was established at the Kangwha Magistracy to take custody of the royal writings and autographs. An Annex(別庫) was built near by the Historical Deposit Library to enlarge the space in the reign of the King Hyojong. These spaces, however, become insufficient as the amount of materials deposited expanded, and custody for them was also not successful. Therefore, at the April of the 6th year of the King Jungjo's rule, the Outer Kyujang-gak was built at the east of the Temporary Palace(行宮) within Kangwha Magistracy, where the royal materials were deposited. This Outer Kynjang-gak was also called 'Kangdo Oe-gak(江都外閣)', 'Kyujang Oe-gak(奎章外閣)' or 'Simdo Oe-gak(心都外閣)', and its major function was to take custody of the materials and to hand them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forever. The Kandwha Magistrate(江華留守) wa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Outer Kyujang-gak. Regular events for the book keeping were enshrinement, inventory and airing. In the 6th year in the reign of the King Jungjo, 4,892 volumes consisting of 762 titles were moved here from the Bon-gmodang(奉謨堂), the Seoseo(西序) in Main Palace, the Annex(別庫), the Deposit Library(史庫) mentioned above, the Kaegsa(客舍) and Chaeg-go(冊庫) within Kangwha Magistracy.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fourteen times of addition altogether, the number of collection enshrined here reached 6,400 volumes consisting of 1,212 titles. The significance of this Outer Kyujang-gak established at the Kangwha Magistracy is in the point that thi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opsit libraries of the Joseon Dynasty.

  • PDF

스페인 식민지시대 멕시코의 아시엔다 연구 (The Geohistorical Interpretation of Hacienda in New Spain)

  • 홍금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91-311
    • /
    • 2005
  • 스페인의 전통 토지운영 체제의 하나였던 대농장은 1520년대 신대륙 개척기에 제국군대, 성직자, 상인은 물론 구대륙 생태계의 구성요소인 다양한 동식물과 함께 멕시코를 비롯한 현재의 중남미에 이식되었다. 중세기 스페인 남부의 대농체제인 라티푼디오의 전통과 신대륙의 자연환경이 접목된 아시엔다는 미국 남부의 플랜테이션에 비유되며 식민지시대가 막을 내리는 1821년에 이미 멕시코 농촌의 보편적인 경관으로 자리잡기에 이른다. 아시엔다는 식민지시대 멕시코를 일컫는 뉴-스페인 중부지방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고, 입지결정에는 건조한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식수 및 농업용수가 깊이 관여하였으며, 수행하는 내부 경제출동의 종류에 따라 곡물아시엔다, 가축아시엔다, 광산아시엔다, 아네킨아시엔다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대토지소유자, 농장관리자, 임노동 소작인을 주요 구성원으로 하는 아시엔다는 준 자급자족적 취락으로서 주거는 물론 종교, 농업, 문화전파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식민지시대 멕시코의 아시엔다는 자본주의의 확산과 함께 전환기를 맞게되고 이를 계기로 내부적으로 대대적인 변형을 경험하는데, 축소된 형태이지만 오늘날 대농장과 영세농지를 특징으로 하는 멕시코 농촌경관의 일부로 잔존해 있다.

  • PDF

100만평문화공원 조성을 위한 주민참여활동 (Citizen Participation of the Million Amenity Park)

  • 김승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2-39
    • /
    • 2006
  •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activity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of Million Amenity Park's creation which was proposed by citizen participation for large scale's flat park within city. This park was proposed by the Busan Green Plan, commission study in 1999. The location of Park site was finally proposed at Dunchi-do, Bonglim-dong, Gangseo-gu, Busan and neighbor areas. The area of park site is approximately 500ha included the surface area of West-Nakdong River. Citizen's organization for Million Amenity Park which has 3,500 members, was established in 2001 in order to compose Million Amenity Park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is study were found to have quickening period, germination period, the 1st growing period, and the 2nd growing period, and then the results of this activity was also arrang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he movement for this park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ctivity for participating and understanding all the citizens during 7 years. And then the activities for this park were as follows: every information, fund-raising campaign, organization, purchase of park site, contribution of purchasing park site to Bus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movement of citizen's participation such as this park movement were 1) respectively found to have the settlement in the movement of NGO, 2) the possibility of large scale's park fostering by public and civil partnership, and 3) the model presentation of frontier park in the citizen participation's types which will be able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of city.

익산시의 생활폐기물 발생 및 관리 현황조사 (A Study on the Domestic Waste Occurence and Admistration Condition of Iksan City)

  • 육찬남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3호
    • /
    • pp.79-84
    • /
    • 1998
  • The study result on the domestic waste occurrence and admistration condition of Iksan City as follows ; 1. The year of 1995 has observed a radically decreasing ratio of per capita waste gener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y 26.2%, owing to the publication of the new amendment of volume based charge as well as to the rural population included through the merger of Iksan City and Iksan Country ; the daily quantity of domestic waste for Iksan residents in 1997 was calculated to be $0.66kg/capita{\cdot}day$. 2. Waste generation in nonresidential areas were $8.04kg/capita{\cdot}day$ in average ; the quantity per capita in market places was observed to generate the largest, $36.76kg/capita{\cdot}day$, while that of services was the smallest $0.25kg/capita{\cdot}day$. 3. The average generation per capita of household waste was $0.23kg/capita{\cdot}day$ in the area which has no volume based charge system. This area showed no difference from those of other areas ; the apparent density of the waste recorded the lowest $0.llkg/{\ell}$ for District Offices, while the highest among the classified fields was $0.40kg/{\ell}$ of the Fire Station. 4. Iksan City showed great contribution by decreasing the absolute quantity of waste for landfill by waste classfication, according to the days of the week and reutilizing recyclable waste since August, 1997. 5. Location of a landfill site for disposal of nonrecyclable waste will cause a serious problem to the community and it will be highly recommendable to have governmental support and professtional consultation as well as open discussions, such as hearings, for the settlement of the problem.

  • PDF

암반 등급 변화에 따른 터널 내공 변위 거동 특설 (Characteristics of Tunnel Convergence Behaviour based on Variation of Rock Mass Rating)

  • 김광염
    • 지질공학
    • /
    • 제18권4호
    • /
    • pp.545-553
    • /
    • 2008
  • 터널 시공 중 막장관찰과 계측자료는 굴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반 및 주변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보이다. 특히, 발파 굴착으로 이루어지는 NATM 공법에서 막장관찰과 계측은 다음 막장의 굴착 및 지보설계를 위한 핵심자료로 활용이 된다. 하지만, 국내에는 암반분류 결과와 계측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여 굴착 및 지보설계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막장관찰에 의한 암반분류 중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RMR 분류법과 내공변위 계측결과의 분석을 통해 지질상태의 변화가 터널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공변위의 계측위치와 계측 시점에 따른 변위 측정 편차를 변위 함수를 이용해 보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내공변위의 영향선과 지반조건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또한 변위 함수 파라미터와 초기변위 발생비율 등 내공변위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의 지반조건에 따른 변화양상을 파악함으로써 막장관찰 및 내공변위 계측을 통한 지반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제 강점기 도시화와 인구이동: 1930년 부(府)와 지정면(指定面) 지역을 중심으로 (The Urbanization and Migration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 이정섭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05-122
    • /
    • 2017
  • 이 연구는 1930년 국세조사 인구자료를 기초로 14개 부, 41개 지정면을 도시지역으로 설정하여, 도시로의 인구이동과 그 출발지 유형, 입지를 분석하여 당시 도시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당시 도시지역에 유입된 인구의 출생지를 출발지로 간주하고 그 유형과 입지를 우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930년의 부와 지정면은 유입인구의 출발지에 따라 전국적 범위의 출생자들이 장거리 이동한 곳, 인접지역 출생자들이 단거리 이동한 곳 및 두 가지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곳 등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일제의 효율적 식민 지배를 위해 새롭게 개발된 도시일수록 전국적 장거리 이동자의 유입지라는 성격이 두드러졌지만, 전통적인 도시기능을 수행했던 곳들도 주변 인구가 유입되면서 지역의 중심도시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에 대해서 이 연구는 식민 도시화라는 정주체계와 전통적 정주체계의 이중적 구조가 이중적 도시화와 인구이동을 발생시켰을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 PDF

하회.양동마을에 작용된 환경설계원칙과 문화경관상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and Cultural Landscape Pattern of the Hahoe. the Yangdong Traditional Village)

  • 신상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3-39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xplain the meaning of the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and cultural landscape pattern(dualistic space organization) of the Hahoe(河回:winding river village) the Yangdong(良洞) traditional village. Village's space organizations based on Shamanism, fin-yang and Five elements principle, Feng-shui idea, social system and Confucian ideas. And it were accomplish curat landscape pattern(village:form+object=pattern) through the frame of settlement space. As a central persons of villages(the Hahoe $.$ the Yangdong) construction, Suhae(西厓) experienced tough Chunghyodang - Wonjichongsa - Ogyonchongsa - Pyongsansowon channel(忠孝堂 -遠志精舍 -玉端精含 -脣山書院) and Kyomam(謙 ) experienced tough Yangjindang - Binyeonchongsa - Kyomamchongsa - Hwachonsodang(養眞堂 - 賓淵精舍 - 謙庵f精舍 - 花川書堂) channel. Also Woojae(愚齋) experienced tough Suhbackdang - Khankachung - Dongkangsowon(書百堂 - 觀稼停 - 東江書院) and Hoejae(晦齋) experienced tough Moochumdang - Hyangdan - Oaksansowon(無添堂 - 香壇 - 玉山書院). It is space organization of themselves interact contrast and sequence principles with competition in good faith. And ecological art-space, that is, environmental spare organizations of traditional village has been reflected harmony between nature and artificiality, spatial rhythm and sequence, spatial hierarchy between upper classes and humble class, permeability space, asymmetrical balance, aesthetic space perception. The humble classes hold a ceremony Hahoe's Pyolsingut-Talnori(maskdance drama), Dangjae(堂祭:religious service) at the Dang(堂:shamanism spot) and Yangdong's Sohraesulnori, Hohminori. And the upper class hold a ceremony Hahoe's Julbulnori and Yangdong's Chungjanori connected with culture of confucianism. Specially, the cultural structure cf the village is evidence of a contrast between the upper class and the humble classes, time, method and location of ceremony(performance).

수리역학 연계해석을 이용한 누수로 인한 터널 구조물 및 지반 거동의 분석 (Investigation on Water Leakage-Induced Tunnel Structure and Ground Responses Using Coupled Hydro-Mechanical Analysis)

  • 박도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3권4호
    • /
    • pp.265-280
    • /
    • 2023
  • 터널누수는 주변지반의 응력 및 간극수압을 변화시켜 터널 안정성 및 지반변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함요소이다. 장기간 또는 큰 규모의 누수발생은 터널 라이닝의 불안정성 및 지표침하와 같은 터널 구조물 및 주변지반 환경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누수발생 시 터널의 구조 안정성 및 지반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려된 터널은 내부로 주변 지하수의 유입을 허용하지 않는 비배수 조건으로 가정하였고 터널 완공 후 라이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누수로 인한 터널 구조물 및 지반의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수리역학 연계해석이 수행되었으며 파이썬으로 개발된 TOUGH-FLAC 시뮬레이터가 사용되었다. 누수 발생량과 누수위치를 변화시켜 수치모사가 수행되었으며 수리역학 해석을 위한 연계항들이 복합거동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