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검색결과 885건 처리시간 0.029초

자동차 모의운전환경에서 Simulator Sickness의 예측 회귀모형 개발 (Development of Regression Models for Predicting Simulator Sickness in Driving Simulation)

  • 김도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3-59
    • /
    • 1999
  • This study propo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to predict those who can be easily infected simulator sickness(SS) in simulator 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In this study, SSQ(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scores which are recently used for assessing SS, and RSSQ(Revised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scores a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Also ten dependent variables are used. The results are these model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max $R^2=0.52$) is improved 18% more than Kolasinski's model($R^2=0.35$), and it became easy to predict with simple data. Accordingly, we can easily predict who will be apt to get into simulator sickness.

  • PDF

EMT-3D 모델을 이용한 울산만 Dioxins 거동에 관한 시나리오 분석 (Scenario Analysis of Dioxins Behaviors In Ulsan Bay of Korea using EMT-3D Model)

  • 김동명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9-96
    • /
    • 2011
  • EMT-3D 모델을 사용하여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Dioxins를 대상으로 울산만 에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민감도 분석 및 오염부하에 대한 해역의 응답성 분석을 수행하여 영향인자를 판별하고 대안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대상해역의 실측치와 모델의 계산치를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R)값은 0.7951, 결정계수($R^2$) 값은 0.6265로 나타나 계산치가 비교적 잘 재현된 것으로 사료된다. 민감도 분석을 실행한 결과 수층의 용존 Dioxins와 입자성 유기물질내 Dioxins의 경우 분배계수와 침강속도의 순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플랑크톤 체내 Dioxins의 경우 생물농축계수의 증감에 따른 농도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 계수에 대한 정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천 및 대기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부하 저감에 따른 해역의 용존 Dioxins 및 입자성 유기물질내 Dioxins의 응답성을 평가하였다.

인공신경망 기법에 근거한 지반물성치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터널 역해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 tunnel back analysis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ground propertie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 유광호;송원영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37-53
    • /
    • 2012
  • 터널 설계 시 사용되는 지반 물성치는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지반물성치를 찾기 위해 터널 계측자료를 활용하여 MATLAB 프로그램의 인공신경망 분석 기능을 이용한 역해석을 수행하였다. 터널 내공변위에 많은 영향을 주는 탄성계수와 측압계수를 변화시켜 총 81개의 학습자료를 구축하였다. 최적의 학습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은닉층 수와 노드(node) 수 및 학습율과 관성항을 변화시켜가며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편 최적의 학습모델은 평균제곱오차(MSE, Mean Squared Error)와 결정계수($R^2$)를 비교하여 선정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지층의 탄성계수와 측압계수를 찾았다. 향후 주어진 지반조건에서 최적의 터널 지보패턴을 결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에 의한 수질, 토양 및 저질 시료중의 benzophenone 분석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benzophenone in water, soil and sediment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전희경;최해연;류재천
    • 분석과학
    • /
    • 제18권2호
    • /
    • pp.147-153
    • /
    • 2005
  • 본 연구는 GC/MS를 이용하여 수질, 토양 및 저질 시료 중의 benzophenone (BP)을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BP는 수질 시료 (100 mL)에서 n-hexane으로 추출하였으며, 토양 및 저질 시료 (10 g)에서는 먼저 메탄올로 추출한 후 hexane으로 다시 추출하여 농축시켜 분석하였다. 수질 시료 중의 BP 회수율은 71.4% 이상이었으며 토양에서의 회수율은 86.5-94.7%를 보였고 재현성은 19.8% 이하였다. 검정곡선은 상관계수 ($r^2$) 값이 수질과 토양 모두에서 0.998이상의 좋은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수질 시료의 경우 43지역 중 3지역의 수질에서 30-200 ng/L 농도 범위로 BP가 검출되었으며 토양과 저질 시료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 분석방법은 환경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BP의 분석과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SPME-GC-MS를 이용한 DBCP 및 n-Butylbenzene의 분석 (Determination of DBCP and n-Butylbenzene using SPME with GC-MS)

  • 박현미;김영만;이대운;이강봉
    • 분석과학
    • /
    • 제14권6호
    • /
    • pp.471-475
    • /
    • 2001
  • $85{\mu}m$-polyacrylate(PA) 와 $100{\mu}m$-polydimethylsiloxane(PDMS) fiber를 사용하여 물증의 DBCP와 n-butylbenzene을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SPME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즉 추출 시간, 주입 길이, 주입 온도, 탈착 시간 및 탈착 온도들에 대한 최적화 조건을 조사하였다. 검량선의 직선성(correlation coefficient, R)은 0.99 이상이었으며, 본 분석법의 검출한계는 1.5 와 $10.8{\mu}g/L$ 이었고, 분석법의 재현성은 RSD 10.4와 14.4 % 였다.

  • PDF

다목적 PSO 알고리즘을 활용한 SWAT의 자동보정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multi-objective PSO algorithm for SWAT auto-calibration)

  • 장원진;이용관;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9호
    • /
    • pp.803-812
    • /
    • 2018
  • 본 연구는 다목적함수를 고려한 입자군집최적화(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알고리즘을 Python으로 개발하고,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에 적용하여 자동보정 알고리즘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SWAT 모형의 유출 해석은 안성천의 공도 수위 관측소 상류유역($364.8km^2$)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공도 지점의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일 유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PSO 자동보정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평균제곱근오차(RMSE), NSE 모형효율계수(Nash-Sutcliffe Efficiency, $NSE_Q$), 특히 중간유출과 기저유출의 보정을 위해 $NSE_{INQ}$ (Inverse Q)를 활용하여 SWAT을 보정하였다. PSO을 통한 SWAT 모형의 자동보정과 수동보정의 유출해석 결과, 각각 $R^2$는 0.64, 0.55, RMSE는 0.59, 0.58, $NSE_Q$는 0.78, 0.75, $NSE_{INQ}$는 0.45, 0.09의 상관성 분석결과를 보였다. PSO 자동보정 알고리즘은 수동보정에 비하여 높은 향상을 보였는데 특히 유출의 감수곡선을 개선시켰으며 적절한 매개변수 추가(RCHRG_DP)와 매개변수 범위의 설정으로 수동보정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고도를 고려한 공간강우분포와 1분 강우자료를 이용한 RUSLE의 강우침식인자(R) 산정 및 프로그램 개발 (Spatial Rainfall Considering Elevation and Estimation of Rain Erosivity Factor R in Revised USLE Using 1 Minute Rainfall Data and Program Development)

  • 정충길;장원진;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0-1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1분 상세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RUSLE)의 강우침식도 R의 추정을 위해 2002년부터 2015년까지 14년간 전국 기상청 관측소의 강우 자료를 수집하여 지점별로 새롭게 계산한 연 강우침식도 및 경험식을 산정하였으며 남한전체($99,720km^2$)를 대상으로 연강우침식인자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1분 강우자료로 계산된 강우침식도와 연평균 강우량의 상관관계로부터 도출된 경험식과의 결정계수($R^2$, determination coefficient)는 0.70~0.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기존의 국내에서 적용된 경험식과 비교하여 실측값과의 정확성이 높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지리요소가 고려된 공간 강우침식인자(R) 분포도를 산정하기 위해 고도가 고려된 공간보간기법(IDW)을 이용하여 연강우량 분포도를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1분 강우자료부터의 R 산정 및 1시간 강우자료와의 회귀산정 과정의 방법 및 절차를 일반 사용자가 간단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Python GU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 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비선형과 선형 등온흡착식을 이용한 키토산비드의 구리와 인산염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 of Cu(II) and phosphate using non-linear and linear isotherm equation for chitosan bead)

  • 김태훈;안병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1-210
    • /
    • 2020
  • 2 (Langmuir, Freundlich, Elovich, Temkin, and Dubinin-Radushkevich) and 3 (Sips and Redlich-Peterson)-parameter isotherm models were applied to evaluated for the applicability of adsorption of Cu(II) and/or phosphate isotherm using chitosan bead. Non-linear and linear isotherm adsorption were also compared on each parameter wit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mong 2-parameter isotherms, non-linear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 showed relatively higher R2 and appropriate maximum uptake (qm) than other isotherm equation although linear Dubinin-Radushkevich obtained highest R2. 3-parameter isotherm model demonstrated more reasonable and accuracy results than 2-parmeter isotherm in both non-linear and linear due to the addition of one parameter. The linearization for all of isotherm equation did not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adsorption models when error experiment data was included.

HF-LPME를 이용한 수용액 시료중의 카페인 분석 (Analysis of caffeine in aqueous sample by hollow fiber-liquid microextraction (HF-LPME))

  • 인치연;김택제;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21권2호
    • /
    • pp.84-92
    • /
    • 2008
  • 속빈 섬유-액상 미량추출법(hollow fiber-liquid phase microextraction, HF-LPME)과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질소-인 검출기(GC-NPD)를 사용하여 사람의 뇨와 여러 가지 음료 중에서 극미량의 카페인을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수용액 시료로부터 카페인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 속빈 섬유의 길이, 추출용매의 종류, 교반효과, pH 및 염석효과 등 여러 가지 실험적인 파라미터를 변화시켜서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검정곡선의 회귀계수($r^2$)는 0.9994이상이었으며, 평균 상대 회수율은 102%(n=3)이었으며, 기기검출한계는 2.5 ng/mL, 정량한계는 10 ng/mL이었다. 확립된 HF-LPME 방법은 생물학적 시료, 음식물, 환경시료 중에서 카페인의 농도를 측정하기에 편리하고 정확한 방법이 될 것이다.

간척지에서 질소비료 및 돈분 퇴비 시용에 따른 사탕무 (Beta vulgaris var. Aaron)의 수량 반응 해석을 위한 시비반응 모델 탐색 (The Selection of Yield Response Model of Sugar beet (Beta vulgaris var. Aaron) to Nitrogen Fertilizer and Pig Manure Compost in Reclaimed Tidal Land Soil)

  • 임우진;손연규;윤영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4-1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사탕무의 시비반응을 합리적으로 해석하고 경제성 있는 최적 시비량 및 최대 수확량의 도출을 위한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간척지 토양에서 수준별 질소비료와 돈분퇴비의 시용에 따른 사탕무의 시비반응을 조사하였다. 시비반응은 Quadratic model, Exponential model, Square root model 및 Linear response & plateau model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토양 EC가 증가함에 따라 사탕무 지하부 생체중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다. 질소비료 시비수준별 사탕무 지하부 생체량의 시비반응은 Linear response에서 결정계수 & plateau model ($R^2$)가 $0.92^{**}$로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Linear response & plateau model에서 최적 질소시비량 ($N_{opt}$)은 138 kg $ha^{-1}$으로 나타났다. 돈분퇴비의 시비반응은 Quadratic model에서 $0.99^{**}$의 유의성 있는 결정계수 ($R^2$)를 보였으며, 최적 퇴비시비량은 각각 9.17 tons $ha^{-1}$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 볼 때 사탕무에서 질소와 돈분퇴비의 시비반응을 적절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각 Linear response & plateau model과 Quadratic model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