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Olympic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8초

메가스포츠시설의 사후 활용을 위한 임시주거 계획 -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 (The Planning of Temporary Housing for Post Application of Mega Sports Facilities - Focused on the 2018 Winter Olympics -)

  • 이종찬;강윤도;김병선
    • KIEAE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1-46
    • /
    • 2016
  • Purpose: This is a study on the planning of temporary housing for post application of Mega Sports faciliti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hich is to suggest building an alternative temporary housing using shipping containers(high cube), which solve the lack of accommodations and recycle temporary housing after Olympics, save money and be eco-friendly in Olympics. Method: This study includes this ; research on the a fact-finding survey about Mega sports facilities post application and demand survey on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ccomodations and an analysis about temporary housing plan. Furthermore we decided temporary housing building plan by analyzing residents' needs and traits of the housing etc. Through this, we made a schematic design for household units. Result: As a result, this study is a plan of making space, forms, and structure. The planned size is $38.4m^2$(L:12m, W:3.2m) except balcony, and indoor height is 2.5m. The space consists of entrance, bathroom, bedroom and living room with folding furniture system. Also there's a detailed floor plan of the ceiling, wall, and floor we drew up. The ceiling and wall consist of dampproof film, noncombustible board, fire proof urethane form, and color-designed sheet. The floor is composed of floor tile, cement mortar, light concrete(with heat coil), insulation, and dampproof film. Additionally, this study is a plan of interior dry wall with detail using modular construction method for work efficiency and quality improvement.

평창동계올림픽 스마트콘텐츠 구현전략 (Smart Content Implementation Strategy for PyeongChang Winter Olympics)

  • 원달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4호
    • /
    • pp.41-44
    • /
    • 2016
  • 올림픽을 개최하는 국가들은 전 세계적인 일치화합에 기여하는 한편 해당국가의 역량을 알리고 경제적 발전 특히 스포츠, 문화, 관광 산업의 도약을 위한 획기적인 변환의 기회로 삼기를 바라고 있다. 이를 위해 해당 국가들은 세계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거나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자기 나라의 역사, 문화, 자연, 생태, 소통교제, 스포츠, 이벤트 등의 요소들을 활용하여 글로벌 관광객을 유치하는 전략에 치중해 왔다. 이와 함께 2000년대 들어 ICT기술과 통신인프라의 비약적 발전, 모바일기기 확산, 콘텐츠 산업 확대 등의 엄청난 변화로 인해 올림픽 개최 환경도 획기적인 변화요구를 받고 있으며, 그 강도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반면 스마트콘텐츠 시장은 최근 몇 년 전부터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데, 올림픽은 제한된 기간과 개최국의 특성(문화적, ICT수준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과거 올림픽에서는 이의 활용이 미흡하였으나 2018년 한국에서 개최되는 평창동계올림픽부터 동경, 북경 올림픽 등으로 연결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스마트콘텐츠 활성화의 특별한 기회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이에 한국의 ICT산업의 기술경쟁력을 활용하여 올림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콘텐츠의 활용방안을 제언한다.

올림픽 개최국가 유니폼의 색채 특성과 이미지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Image of the Olympic Host Country's Uniforms)

  • 임송미;이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1호
    • /
    • pp.115-126
    • /
    • 2016
  • Today the Olympics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of a culture that symbolizes the country's image and cultural specificity, and important colors act as effective means of Olympics marketing. Each color is uniqu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heritage is one of the languages of each country, region or community and it symbolize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or and to view the color image displayed on Olympic uniforms based on the national color sensibility. After analyzing the color image of the Olympic athletes, including six kinds of uniforms and operational personnel, a cool casual/casual image is created more frequently, followed by a modern, gorgeous, dynamic, elegant/chic, dandy/classic image. The uniform color is consistent with the national image and the theme of the Pyeongchang Olympics is to enhance the country's competitiveness by widely promoting the national image of Korea around the worl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mpirical basis for creating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uniforms.

국제행사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경호·경비 분야의 안전·위기관리 방안 (평창 동계올림픽 안전·위기관리 대응 방안) (Safety and Risk Management Measures from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for the Successful Hosting of an International Event (Safety and Risk Management Counter measures for Pyeongchang Winter Olympics))

  • 김은정;왕석원
    • 시큐리티연구
    • /
    • 제52호
    • /
    • pp.43-70
    • /
    • 2017
  • 국제행사에 있어서 테러단체에 의한 테러 대상이 점차 특정인물이 아닌 불특정 다수라는 점에서 행사 관람객이나 참가국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어 주최국에서는 많은 비용을 감수하면서 안전 및 위기관리에 만전을 기하여 주최국으로서 위상을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다. 이에 각종 국제 행사를 많이 개최해 온 우리나라지만 국제행사에 테러 위협이 항상 존재하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을 진행함에 있어서 안전 및 위기관리 부분에 많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하여 우리나라도 테러에 대하여 더 이상 안전한 국가라는 인식을 버리고 동계올림픽 중에 일어날 수 있는 각종 범죄와 테러에 대하여 대응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 대응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대테러 전략의 변화가 필요하며, 둘째, 평창올림픽 안전주체 및 안전대책이 수립되어야하고, 셋째, 민간 경호 경비업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며, 넷째, 민간 경비인력 및 안전요원에 대한 안전관리 교육 강화를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속하고 유기적인 사전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평창동계 올림픽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개최될 국제행사에 안전 및 위기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대(對)테러리즘 분야 연구경향분석:치안본부 대테러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Counter-Terrorism: Focusing on Counter-Terrorism studies of the National Police Headquarters)

  • 이대성;류상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3_2호
    • /
    • pp.83-91
    • /
    • 2014
  • 국제사회는 서독 뮌헨올림픽에서 팔레스타인 테러조직 검은 9월단(Black September)이 이스라엘 선수단을 대상으로 자행한 인질 납치 살해 테러리즘에 큰 충격을 받았다. 한국도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북한의 국가지원 테러리즘, 무력도발, 국지전 등의 위협에 직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었다. 이에 한국 정부는 1982년 1월 대통령훈령 제47호 '국가대테러활동지침'을 제정하여 국가 대(對)테러리즘 업무수행을 위한 필요 사항을 규정하였고, 국가안전기획부와 치안본부가 주무부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치안본부 시절 경찰의 대테러관련 역할을 고찰하고, 1983년부터 1990년까지 동 기관에서 발간한 '대테러연구'의 학문적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첫째, 공통적으로 빈도가 높은 주제어는 "테러", "인질", "대책", "국제" 등이다. 둘째, 88년 올림픽 전후로 "올림픽" 주제어가 빈번하게 언급되었다. 셋째, 연도별로 차이점을 살펴보면, 83-84년에는 "관방정책" 주제어가 언급되었고, 85년에는 "대남테러", "민간항공기" 등의 주제어가 언급되었으며, 86년에는 "기업체"가 언급되었다. 87년에는 "테러경향"이라는 주제어가 언급되었고, 90년에는 "국제테러리즘", "분리주의"등의 주제어가 사용되었다.

New Recycle Economic Theory Direct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Beijing

  • Jisong, Wu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년도 The 1st China-Korea Conference on Innovation Studies
    • /
    • pp.103-116
    • /
    • 2006
  • The recycle economy is the first stage of knowledge economy. In March 2005, the author attended the forum of 'Festival of Thinkers' in the capital of United Arab Emirates, Abu Dhabi. Through five day' discussing with 10 Nobel Prize winners and 18 thinkers from five continents, the conception of Recycle Economy is regulated. The former principle of '3R' in clean production has been expanded to '5R' in new recycle economy, adding concept of 'rethink' and 'repair' to the 'reduce, reuse and recycle' This article makes a full exposition to the origin, contents and its innovation to the classical western economics of the new recycle economics. Before the 2008 Beijing Olympics, the article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new recycle economy in terms of promoting the ability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d independent innovation, city construction and the industry innovation concerning Beijing's fea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