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Korean peninsula

검색결과 4,195건 처리시간 0.033초

한반도 남부의 지진파 토모그라피 연구 (Application of Seismic Tomography to the Region in and Near Southern Korean Peninsula)

  • 강익범;박정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4호
    • /
    • pp.507-524
    • /
    • 2006
  • 한반도 남부 및 인근 지역에 대하여 3차원 토모그래피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1차 연구지역은 지진계의 분포가 비교적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반도 남동부지역으로 연구결과에 의하면 경상분지 지역의 지표에서는 퇴적층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속도가 나타나며 7.5km 깊이에서는 상대적 고속도 분포가 넓게 나타났다. 이는 경상분지 내에서 화성기원의 암석들이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보인다. 양산단층대 하부 약 $20{\sim}30km$ 깊이에서는 저속도 분포가 나타나는데 이는 양산단층대의 발달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반도 및 일본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및 동해지역의 연구지역에서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본 동부에서 시작된 섭입대는 동해지역에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지연시간창법(MLTW)의 한반도 지진자료 적용성 분석 (Seismic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Using Multiple Lapse Time Window Method)

  • 정태웅;윤숙영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2권2호
    • /
    • pp.199-207
    • /
    • 2009
  • 한반도의 329개 지진자료에 대하여 S파 감쇠상수의 고유치 분리를 Multiple Lapse Time Window Method(MLTW)법으로 수행하였다. 균일한 속도구조에서 고유감쇠 $Q_i^{-1}$ 값은 S파 직접파와 코다파의 진폭을 감쇠시키고, 산란감 쇠 $Q_s^{-1}$ 값은 S파 직접파는 감쇠시키는 반면 코다파는 증폭시킨다. MLTW법은 해석적인 방법으로 이론곡선을 구하여 관 측값과 최소제곱오차를 이루는 고유 및 산란감쇠를 구하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한반도와 같은 지진 안정지대에서의 MLTW 법 적용연구는 행하여진 바 없는데, MLTW법에 의한 한반도의 $Q_i^{-1}$$Q_s^{-1}$ 값은 5 Hz 이하에서 매우 낮은 값이 도출되어 이는 한반도와 같은 지진 안정지대의 값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신생대 제3기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 시기, 기작에 관한 비판적 고찰: 판구조운동 기원의 새로운 가설 (A Critical Review on Setting up the Concept, Timing and Mechanism of Tertiary Tilted Flexural Mode of the Korean Peninsula: A new hypothesis derived from plate tectonics)

  • 신재열;황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0-220
    • /
    • 2014
  • 본 연구는 불분명하게 이해되는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적 정의를 재검토하고, 현재까지 학계에서 통용되는 일반적 수준의 진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경동성 요곡운동의 재정의, 시간설정, 운동의 속성 그리고 발생요인과 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 제시가 주요 내용이다. '신생대 제3기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흔히 일컬어지는 한반도 신기지반운동은 최소한 신제3기(23 Ma) 이후 진행된 동해안 지역의 융기-서해안 지역의 침강 패턴의 조륙운동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융기-침강의 지역적 경계는 한반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중국 동북부 지역과 러시아 남부 지역에 걸쳐 광역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융기-침강운동의 발생동력은 가설적으로 서태평양 섭입대의 활동과 관련한 맨틀 대류의 결과물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며, 판 경계 응력에 대응한 단층활동은 제4기 이후 한반도의 지역적 융기를 가속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한반도 서해안의 현생 융기운동과 같이 여전히 남아있는 논쟁적인 부분들에 대한 보다 정교한 논의들은 현장에서부터 그 실체를 확인하는 작업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지난 130년 간 한반도 근해의 표층 수온 변화 경향 (Trends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hange Nea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Past 130 Years)

  • 김성중;우성호;김백민;허순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281-29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ince industrialization at year 1880, and its possible causes using observation based data from the Hadley Center, the Goddard Institute of Space Studies, and National Climate Data Center. Since year 1880, There have been multi-decadal fluctuations with a gradual reduction from 1880 to around 1940, and from 1950-1980. There has then been a marked increase from 1940-1950, and from 1980 to the present. The ocean surface warming is larger during the boreal winter than summer, and greater in the south. The multi-decadal SST fluctuat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largely consistent with the negative phase of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 which fluctuates with periods of about 20-50 years. Secondly, the 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ENSO), whose long period component moves along with the PDO, appears to influence the SST near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in recent decades. Overall, the SS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has warmed since year 1880 by about $1^{\circ}C$, which is about twice the global-mean ocean surface warming. This long-term warming is aligned with an increase in greenhouse gas concentration, as well as local factors such as the PDO.

1975년에 발생한 중국 해성지진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 (Effects of the 1975 Haicheng Earthquake on the Korean Peninsula)

  • 추교승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1998
    • /
    • pp.210-221
    • /
    • 1998
  • In the period from the year 1500 to 1980. at least 14 large earthquake with epicenters in the northeastern China and Yellow Sea were felt or destructiv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ost sigmificant events among them were the 1668 July 25 Tancheng earthquake of mamnitude 8.5, and the 1975 Feb. 4 Haicheng earthquake of magnitude 7.3. The Haicheng earthquake of the year 1975 in am extraordinary one among those occurred in the northeastern China in the 20th century in the sense the Shake of the event affected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tremor was felt even at the southeastern tip of the Korea and northern part of Kyushu 700km far away from the epicenter. In order to see the variation and trend of the effect of the Haicheng earthquak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two data set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peninsula were merged into one combined data set. The spatial variation of intensity shows smooth decrease from the value 4 of the northwestern region near the source to the value 1 of the Cheju Island and Kjushu. However, there are four regions of locally high intensity value. They are the region along downstream of Abrok(Yalu) River with intensity 5, the region around Shinpo of intensity 4, the area comprising Seoul and Chuncheon Cities of intensity 4, and Pohang-Pusan area of intensity 3. We suppose that there might be three types of possible mechanisms. The first one is concerned with the lateral inhomogeneity of velocity in the crust caused by wide distribution of relatively fractured rock. The second one is related with reflections of surface waves caused by the crestal thinning effect at border regions of the Peninsular in contact with the Ulleung Basin and the Japan Basin. The third possibility is local site effect caused by thick Tertiary or Quaternary rocks and soil layers.

  • PDF

우리나라 전통민가 평면유형분류의 변천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the transition in plane type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 조원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3-12
    • /
    • 1999
  • This research studies into the plane type classification and reviews its transition which has been used in the basic research of the traditional hous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Until now, plane type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houses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us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or social class of the time. This classification was not used as a research tool to discover the hidden principal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raditional houses nor to attempt to restore the traditional habitation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 PDF

한국산(韓國産) 먼지벌레 족(1) (Notes on Harpalini (Coleoptera, Carabidae) from Korea (1))

  • 문창섭;백종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1권1_2호
    • /
    • pp.30-47
    • /
    • 2006
  • The taxonomic revision was made on the tribe Harpalini (Coleoptera: Carabidae) in Korea. The Korean species are arranged after Kryzhanovskij et al. (1995) system with minor emendation. This present list is an attempt to bring together the available literature and collection-based information on fauna or taxa recorded from Korea (including some collections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now North Korea). Materials examined for each species, an annotative checklist of Korean Carabidae, and the practical key to tribes and genera are provided. As a result, a total 86 species (and subspecies) belonging to 13 genera are recognized from the Korean Peninsula, of which one species (Harpalus egorovi) is new to South Korea. Distribution of two species, Harpalus tardus and H. tibeticus hsifanicus, are very doubtful in the Korean Peninsula. Besides, numerous new distribution records are given as based on materials deposited in various Universities and private collections.

  • PDF

한반도 선태식물 연구사 (A history of bryological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 이지연;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9-115
    • /
    • 2012
  • 한반도 선태식물 연구 역사와 문헌을 정리하였다. 한반도 선태식물의 최초 채집은 20세기 초 프랑스 신부 Urban Faurie에 의해 수행되었는데, 이 표본들 중 선류는 Jules Cardot, 태류는 Franz Stephani에 의해 주로 연구되었다. 한반도 선태식물에 대한 일본인의 연구를 연대순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홍원식과 최두문의 남한 선태식물 목록과 식물상에 관한 연구업적을 정리하였으며, 최근 북한의 선태식물 연구 문헌을 소개하였다.

경험적 예측모형을 통한 한반도 주요 도시의 대기청명도 평가 (A Study on the Atmospheric Clearness Estimation of Major Cities in Korea Peninsula Using Empirical Forecasting Models)

  • 조덕기;강용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25-34
    • /
    • 2008
  • Since the atmospheric clearness index is main factor for evaluating atmospher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stimate its characteristics all over the major cities in Korea Peninsula. We have begun collecting clearness index data since 1982 at 16 different cities in South Korea and estimated using empirical forecasting models at 21 different stations over the North Korea from 1982 to 2006. This considerable effort has been made for constructing a standard value from measured data at each city. The new clearness data for global-dimming analysis will be extensively used by evaluating atmospheric environment as well as by solar PV application system designer or users. From th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1) Yearly mean 63.5 % of the atmospheric clearness index was evaluated for clear day all over the 37 cities in Korea Peninsula, 2) Clear day's atmospheric clearness index of spring and summer were 64.6 % and 64.8 %, and for fall and winter their values were 63.3 % and 61.3% respectively in Korea Peninsula.

중국 산둥반도의 조수웅덩이 어류상 (Intertidal Fishes from the Shandong Peninsula, China)

  • 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4-60
    • /
    • 2008
  • 2006년 8월부터 2007년 9월까지 4회에 걸쳐 중국 산둥반도의 조수웅덩이로부터 어류를 채집하여 서식어종과 분포유형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모두 6목 14과 21속 28종이었고, 이 가운데 망둑어과 어류가 종수와 개체수에서 우점하였다. 모래지역에서 숭어와 가숭어, 문치가자미의 유어들이 주로 채집되었고, 자갈과 바위지역에서는 조피볼낙과 노래미의 유어 그리고 점베도라치가 우점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한국 고유종으로 알려진 고려실횟대와 황해볼낙이 본 조사 해역에서 채집되었다. 따라서 이 2종의 어류는 한국 서해안의 태안뿐만 아니라, 중국의 산둥반도에 서식하는 것이 확인됨으로서 황해 고유종으로 수정됨이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