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간호대학생 대상 한국판 의료계열 학생용 제퍼슨 공감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Health Professions Students for Measuring Empath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김지순;안숙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9-26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Health Professions Students (K-JSE-HP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With a survey design, a total of 293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study questionnaire to measure their levels of empathy use the K-JSE-HPS. Using SPSS/WIN 22.0 and AMOS 22.0,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For construct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n acceptable model fit (Goodness of Fit Index was 0.88) along with confirm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onstruct reliability was 0.70). For criterion validity, the scal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Interpersonal Reaction Index. For reliabilit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he scale was 0.87 and for the subscales were 0.84, 0.78, and 0.69, respectively.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satisfactory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JSE-HPS for measuring empath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제퍼슨의 공감 척도를 사용한 치과 대학생의 공감 능력 측정 (Measuring the Empathy Level of Dental Students Using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 김희민;양연미;김재곤;이대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52-26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치과에서의 임상 실습 전과 후의 치과 대학생의 공감 능력 차이를 측정 및 비교 분석하여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해 도입한 임상 교육 과정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재학생 중 본과 3학년, 총 69명을 대상으로 2년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든 학생들은 본원 소아치과에서 3주 동안 임상 실습을 진행하였고, 실습 전과 후에 각각 설문지(Modified form of Jefferson Scale of Empathy-Health Profession Students Version)를 작성하였다. 이 중 추가적으로 강의 및 역할극 훈련을 시행한 학생들을 실험군으로, 시행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실험군은 35명, 대조군은 34명이었으며, 두 군 모두에서 실습 후에 공감 능력 증가를 보였으나, 실험군에서만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 = 0.0052). 또한 실험군에서만 특정 항목들(6번, 9번, 10번, 15번, 17번, 18번, 19번, 20번)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 < 0.05). 따라서 공감과 관련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하며, 향후에는 학생들의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해서 단순 교육보다는 강의 및 역할극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교육 방식을 고찰하고 시도 및 평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판 의료인용 제퍼슨 공감측정도구의 간호사 대상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Jefferson Empathy Scale for Health Professionals for Korean Nurses)

  • 류혜란;방경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7-214
    • /
    • 2016
  • Purpose: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Jefferson Empathy Scale for Health professionals (K-JSE-HP) in a sample of Korean nurses. Method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were calculat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Data were collected from 253 nurses (230 women, 23 men) working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JSE-HP showed reliable internal consistency with Cronbach's alpha for the total scale of .89, and .74~.84 for subscales. The model of three subscales for the K-JSE-HP was valida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hi}^2=864.60$, Q=6.55, p<.001, CFI=.94, NNFI=.92). Criterion validity compared to the Interpersonal Reaction Index (IRI)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Korean JSE-HP shows satisfactory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It is a useful tool to measure Korean nurses' empathy.

Influencing factors on Moral Distress in Long-term Care Hospital and Facility Nurses

  • Kim, Hyun Sook;Yu, Sujeong;Lim, Kyung C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21-13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 of the moral distress for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or nursing homes, and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moral distre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Korean version of Moral Distress Scale-Revised (KMDS-R), Jefferson Empathy Scale for Health professionals (K-JSE-HP),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K-MSQ), and the Hospital Ethical Climate Survey (HECS). A total of 194 nurses from 11 long-term care hospitals or 27 nursing homes comple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As results, the mean score for moral distress was $73.81{\pm}51.29$ in this study. The moral distress of nurses working at nursing homes was higher than that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Among the sub-factors of moral distress, the 'futile care' was the highest score and the 'limit to claim the ethical issue' was the lowest. The main factor affecting moral distress among nurses in this study was the ethical climate of organiz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moral distress of nurses working in a long-term care hospital or a nursing home, it is more impactful to address structural issues related to the caregiver workplace than to adjust individual factors.

전공의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진료수행 자기효능감, 공감능력과의 상관관계 (Associations of Communication Skills, Self-Efficacy on Clinical Performance and Empathy in Trainee Doctors)

  • 김도형;김민정;이해영;김현석;김영미;이상신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1호
    • /
    • pp.49-57
    • /
    • 2021
  • 연구목적 전공의 공통역량으로서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기 위하여 전공의를 대상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조사하고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 진료수행 자기효능감 그리고 공감능력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소속 총 106명 전공의를 대상으로 자기평가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 수정된 진료수행 자기효능감 척도, 한국판 의사 공감 척도를 조사하였다. 성별, 나이, 전공과목(인턴, 내과계, 외과계), 연차(인턴, 1~2년차, 3~4년차)에 따른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상관분석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 수정된 진료수행 자기효능감, 공감능력의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 과 인턴 31명(31.6%), 내과계 레지던트 45명(45.9%), 외과계 레지던트 22명(22.4%)으로 총 98명이 참가하였다. 성별, 나이, 전공과목, 연차에 따른 자기평가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수정된 진료수행 자기효능감(r=0.782, p<0.001) 및 공감능력(r=0.210, p=0.038)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공감능력은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β=0.30, p<0.01),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은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β=0.80, p<0.001). 공감능력은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β=0.26, p<0.05) 간접적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 론 전공의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성공적 진료를 위해 필요한 진료수행 자기효능감과 직접적 연관성이 있었으므로 전공의 공통교육과정의 하나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치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의료커뮤니케이션 모델은 공감 능력과는 구별해서 이해될 필요가 있음이 시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