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Interactivity of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n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The impact of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nt Distributed on Social Networks on Electronic Word-of-Mouth

  • VO, Minh Sang;HUYNH, Dung Quoc Vu;NGUYEN, Giang Huong;DANG, Giang Ha Nguyen;HUYNH, Duong Dai;LE, Bao Quang;DANG, Nhut Minh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5호
    • /
    • pp.65-74
    • /
    • 2022
  • Purpose: This paper evaluates which characteristics of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nt distributed on social networks impact electronic word-of-mouth (e-WO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637 Vietnamese people aged from 18, who were exposed to marketing communication programs of fashion brands. Preliminary data were analyzed by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have identified the four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content that positively impact e-WOM, including entertainment, interaction, trendiness, and customization. Participants aged 30 and under have a higher appreciation for media content and e-WOM than those from 31 and over. Conclusion: To promote e-WOM,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nt distributed on social networks should focus 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entertainment of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nt should involve positive emotions, fun, and enjoyment; (2) With interactive content, focus should be placed on discussion and exchange content, content that encourages sharing, and two-way interactive content; (3) For trending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nt, marketers consider communicating brand-related latest information, up-to-date information, and hot discussion topics; and (4) When creating customized content, brands should be interesting, customized (information, product, price), and unique.

IPTV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실증 분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Consumer's Continued Use of IPTV Service)

  • 김정;이동원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27
    • /
    • 2009
  • Recently, IPTV attracts great attention along with the digital convergence of communication and media technologies. This study examined critical factors on the consumer's continued use of the IPTV service. Based on the expectation-confirmation theory and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we derived nine key factors in the research model-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ease of use, image, diversity of contents, interactivity, monetary value, social influence, and user satisfaction.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method, we found that content diversity and compatibility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continued use of the IPTV service via user satisfaction, and user satisfaction and social influence also have a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the IPTV use. These findings not only provide practical insights on the consumer acceptance of new technology-converging services, but also help managers to plan their marketing strategies better.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내용분석 연구 (Content Analysis of Digital Reality Contents as a Branded Entertainment)

  • 조창환;이희준;김호현;이소윤;길영환
    • 광고학연구
    • /
    • 제29권5호
    • /
    • pp.127-160
    • /
    • 2018
  • 본 연구는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을 사용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 즉 리얼리티 브랜디드 콘텐츠(Reality Branded Content, RBC)에 대하여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그 형식과내용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RBC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300개의 표본에 대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일원분산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RBC는 주로 디리버티브 스토리텔링 기법을 사용하며, 감성적 소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디지털 리얼리티 기술유형(VR, AR) 별 상호작용성량을 확인한 결과, 증강현실을 사용한 RBC의 상호작용성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상호작용성 유무에 따른 RBC의 인지된 가치량과 콘텐츠 수용에 관여하는 감각의 양적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지된콘텐츠 가치량은 상호작용성 기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높았고, 관여된 감각의 양은 상호작용성 기능이 없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이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의의를 논하였으며, 향후 RBC를 활용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제고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역할 (A Study on the role of Online Brand Community as an IMC Tool)

  • 강용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123-142
    • /
    • 2010
  • 온라인 브랜드커뮤니티는 그 내부에 광고, PR, 판매촉진, 판매촉진, 구전, 다이렉트마케팅을 다 담을 수 있는 중요한 마케팅 수단이다. 온라인 브랜드커뮤니티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가 어떻게 브랜드 충성도를 가져오는지를 직접적으로 연구한 것은 많지 않은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다양한 촉진도구로써의 특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메카니즘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몇 가지 중요한 실무적,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광고 유용성은 소비자의 긍정적인 감정(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내에서 소비자 간의 구전에 대한 신뢰는 커뮤니티에 대한 충성도 및 브랜드 신뢰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다. 특히 구전에 대한 신뢰는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체험지각과 거의 비슷한 강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브랜드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다른 소비자의 구전을 유도하고 보상하는 제도를 통해서 커뮤니티 충성도를 높이고 나아가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심을 수 있는 온라인 촉진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결국,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는 소비자의 긍정적인 체험지각을 통해 그리고 신뢰있는 구전을 통해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IMC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SNS 광고의 속성인식과 구전의도 비교연구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Attribute Recogni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of SNS Advertising - Focused on Facebook, Instagram, KaKaoStory and Twitter)

  • 정창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19-428
    • /
    • 2020
  • SNS미디어가 디지털 기술의 혜택으로 물리적인 접근성의 편리와 콘텐츠가 갖는 오락성·상호작용성 등의 새로운 미디어의 특장점으로 미디어 점유율을 높이며, 이용자들의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비자들이 기존 전통 미디어에서 SNS로 대거 이동함에 따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도 페이스북 등 앞서가는 SNS 플랫폼에 발빠르게 적응해 가는 중이다. 본 연구는 미디어 콘텐츠의 생성과 소비 시스템이 서로 비교적 유사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를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각각의 SNS에서 네 가지 광고속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하고, 이 속성들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또 이를 통한 효과적인 SNS 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