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Degrees of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Tes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도와 활용도 (The Degree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Test)

  • 구영하;여태철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1호
    • /
    • pp.51-69
    • /
    • 2012
  • 이 연구는 학교에서 심리검사가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이용실태,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도와 활용도, 그리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심리검사의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초등학교에서 요구하는 검사도구의 방향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검사의 주요 활용목적은 검사종류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초등학교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검사는 진로 적성 검사, 인성 성격검사, 학습검사, 창의성검사, 지능검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심리검사와 관련하여 검사 매뉴얼 의존도가 높았으며 T점수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를 저해하는 요인에는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이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심리검사 도구에 대한 사전 교사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검사 활용도는 이해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교사의 이러한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검사 후 추후지도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요인이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검사 후 보다 구체적인 지도방법에 대한 안내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사의 상담관련 교육과정 이수 여부에 따라 심리검사의 이해도와 활용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교차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몇 가지 검사에 대해서 이해도에는 차이가 나타났지만 활용도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심리검사와 관련해서 교사 대상의 연수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에서 요구되는 검사도구에는 학습관련 검사와 부적응검사 등이 있었다.

  • PDF

직장여성의 의복소비가치에 따른 패션트렌드선호경향 (Fashion Trend Preferences According to Clothing Consumption Values - Focusing on Career Women -)

  • 나수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67-81
    • /
    • 2004
  • This research demonstrates clothing consumption values, fashion preferences of career women from the early 1920s to late 1930s. And having thorough understanding of values and preferences, allows us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for clothing compan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formalize consumer group based upon the clothing consumption values, (2) to find for characteristics of consumer depending on classification of consumption value in clothing, (3) to understand the preferences of career women about fashion trends. Analyzing data was performed 292 copies, result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X-test, Anova, Tukey test, t-test,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is paper showed 7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areer women about clothing consumption value.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listed as 1) value of brand image, 2) value of self-expression, 3) functional values, 4) epistemic values, 5) coordination values, 6) social values 7) psychological values. Importantly, brand image value became most significant aspects among 7 factors. Analyzing consumers based upon stated 7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y are segregated into 4 groups; Self-expressive Group, Psychological Stability Group, Functional Group, Social Group. Secondly, for fashion trend preferences, self-expressive group, psychological stability group, and functional group favored Romantic Feminine Style respectively. Social Group showed preference in Nu-Basic'. The reason for such trend dealt with fabric materials and colors. Finally examining population statistics, younger generations showed more preferences in Nu-Basic', and consumers from ages of 26 to 28, 32 to 34 showed preferences in Romantic Feminine' regardless of their household income, clothing related expenditures, jobs, and education level. On the other hand, 'Modem Classic' was popular among college graduates and 'Paradise' was somewhat less popular among all ages except from ages of 32 to 34, consumers consumption 300,000Won to 400,000Won on clothing related expenditures. And 'Energy' seemed to attract more highly educated females, who had more than masters in degrees with over 300,000 to 400,000Won for clothing related expendi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