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 Embedding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2초

An Exploratory Approach to Discovering Salary-Related Wording in Job Postings in Korea

  • Ha, Taehyun;Coh, Byoung-Youl;Lee, Mingook;Yun, Bitnari;Chun, Hong-Woo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spc호
    • /
    • pp.86-95
    • /
    • 2022
  • Online recruitment websites discuss job demands in various fields, and job postings contain detailed job specifications. Analyzing this text can elucidate the features that determine job salaries. Text embedding models can learn the contextual information in a text, and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frameworks can be used to examine in detail how text features contribute to the models' outputs. We collected 733,625 job postings using the WORKNET API and classified them into low, mid, and high-range salary groups. A text embedding model that predicts job salaries based on the text in job postings was trained with the collected data. Then, we applied the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SHAP) framework to the trained model and discovered the significant words that determine each salary class. Several limitations and remaining words are also discussed.

단행본 서명의 단어 임베딩에 따른 자동분류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Automatic Classification Using Word Embeddings of Book Titles)

  • 이용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7-327
    • /
    • 2023
  • 이 연구는 짧은 텍스트인 서명에 단어 임베딩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Word2vec, GloVe, fastText 모형을 이용하여 단행본 서명을 임베딩 벡터로 생성하고, 이를 분류자질로 활용하여 자동분류에 적용하였다. 분류기는 k-최근접 이웃(kNN)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자동분류의 범주는 도서관에서 도서에 부여한 DDC 300대 강목을 기준으로 하였다. 서명에 대한 단어 임베딩을 적용한 자동분류 실험 결과, Word2vec와 fastText의 Skip-gram 모형이 TF-IDF 자질보다 kNN 분류기의 자동분류 성능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세 모형의 다양한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실험에서는 fastText의 Skip-gram 모형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특히, 이 모형의 하이퍼파라미터로는 계층적 소프트맥스와 더 큰 임베딩 차원을 사용할수록 성능이 향상되었다. 성능 측면에서 fastText는 n-gram 방식을 사용하여 하부문자열 또는 하위단어에 대한 임베딩을 생성할 수 있어 재현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Word2vec의 Skip-gram 모형은 주로 낮은 차원(크기 300)과 작은 네거티브 샘플링 크기(3이나 5)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Self-Attention을 적용한 문장 임베딩으로부터 이미지 생성 연구 (A Study on Image Generation from Sentence Embedding Applying Self-Attention)

  • 유경호;노주현;홍택은;김형주;김판구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63-69
    • /
    • 2021
  • 사람이 어떤 문장을 보고 그 문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문장 안에서 주요한 단어를 이미지로 연상시켜 그 문장에 대해 이해한다. 이러한 연상과정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text-to-image라고 한다. 기존 딥 러닝 기반 text-to-image 모델은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Long Short Term Memory(LSTM), bi-directional LSTM을 사용하여 텍스트의 특징을 추출하고, GAN에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기존 text-to-image 모델은 텍스트 특징 추출에서 기본적인 임베딩을 사용하였으며, 여러 모듈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므로 학습 시간이 오래 걸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어 처리분야에서 성능 향상을 보인 어텐션 메커니즘(Attention Mechanism)을 문장 임베딩에 사용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GAN에 입력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기존 연구에서 사용되는 모델보다 inception score가 높았으며 육안으로 판단하였을 때 입력된 문장에서 특징을 잘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또한, 긴 문장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문장을 잘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문장 분류를 위한 정보 이득 및 유사도에 따른 단어 제거와 선택적 단어 임베딩 방안 (Selective Word Embedding for Sentence Classification by Considering Information Gain and Word Similarity)

  • 이민석;양석우;이홍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4호
    • /
    • pp.105-122
    • /
    • 2019
  • 텍스트 데이터가 특정 범주에 속하는지 판별하는 문장 분류에서, 문장의 특징을 어떻게 표현하고 어떤 특징을 선택할 것인가는 분류기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징 선택의 목적은 차원을 축소하여도 데이터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 것이다.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며 Fisher Score나 정보 이득(Information Gain) 알고리즘 등을 통해 특징을 선택 하거나 문맥의 의미와 통사론적 정보를 가지는 Word2Vec 모델로 학습된 단어들을 벡터로 표현하여 차원을 축소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긍정 및 부정 점수에 따라 단어의 임베딩을 수정하는 방법 또한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문장 분류 문제에 대해 선택적 단어 제거를 수행하고 임베딩을 적용하여 문장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텍스트 데이터에서 정보 이득 값이 낮은 단어들을 제거하고 단어 임베딩을 적용하는 방식과, 정보이득 값이 낮은 단어와 코사인 유사도가 높은 주변 단어를 추가로 선택하여 텍스트 데이터에서 제거하고 단어 임베딩을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안을 수행함에 있어 데이터는 Amazon.com의 'Kindle' 제품에 대한 고객리뷰, IMDB의 영화리뷰, Yelp의 사용자 리뷰를 사용하였다. Amazon.com의 리뷰 데이터는 유용한 득표수가 5개 이상을 만족하고, 전체 득표 중 유용한 득표의 비율이 70% 이상인 리뷰에 대해 유용한 리뷰라고 판단하였다. Yelp의 경우는 유용한 득표수가 5개 이상인 리뷰 약 75만개 중 10만개를 무작위 추출하였다. 학습에 사용한 딥러닝 모델은 CNN, Attention-Based Bidirectional LSTM을 사용하였고, 단어 임베딩은 Word2Vec과 GloVe를 사용하였다. 단어 제거를 수행하지 않고 Word2Vec 및 GloVe 임베딩을 적용한 경우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선택적으로 단어 제거를 수행하고 Word2Vec 임베딩을 적용한 경우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수어 동작 키포인트 중심의 시공간적 정보를 강화한 Sign2Gloss2Text 기반의 수어 번역 (Sign2Gloss2Text-based Sign Language Translation with Enhanced Spatial-temporal Information Centered on Sign Language Movement Keypoints)

  • 김민채;김정은;김하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535-1545
    • /
    • 2022
  • Sign language has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hand or the change of facial expression even with the same gesture. In this respect, it is crucial to capture the spatial-temporal structure information of each movement. However, sign language translation studies based on Sign2Gloss2Text only convey comprehensive spatial-temporal information about the entire sign language movement. Consequently, detailed information (facial expression, gestures, and etc.) of each movement that is important for sign language translation is not emphasized.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propose Spatial-temporal Keypoints Centered Sign2Gloss2Text Translation, named STKC-Sign2 Gloss2Text, to supplement the sequential and semantic information of keypoints which are the core of recognizing and translating sign language. STKC-Sign2Gloss2Text consists of two steps, Spatial Keypoints Embedding, which extracts 121 major keypoints from each image, and Temporal Keypoints Embedding, which emphasizes sequential information using Bi-GRU for extracted keypoints of sign language.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ed all Bilingual Evaluation Understudy(BLEU) scores in Development(DEV) and Testing(TEST) than Sign2Gloss2Text as the baseline, and in particular, i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by achieving 23.19, an improvement of 1.87 based on TEST BLEU-4.

Self-Supervised Document Representation Method

  • Yun, Yeoil;Kim, Namg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87-197
    • /
    • 2020
  • 최근 신경망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인 딥 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텍스트의 문맥을 고려한 문서 임베딩 모델이 다양하게 고안되었으며, 특히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습을 수행한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 문서의 벡터를 추론하는 방식의 임베딩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새로운 텍스트에 대한 임베딩을 수행할 경우 해당 텍스트가 가진 고유한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며, 이는 특히 텍스트가 가진 토큰의 수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토큰을 포함한 장문 텍스트의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여 해당 텍스트의 벡터를 도출할 수 있는 자기 지도 학습 기반의 사전 학습 언어 모델 미세 조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방법론을 실제 뉴스 기사에 적용하여 문서 벡터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뉴스의 카테고리 분류 실험을 수행하는 외부적인 임베딩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제안 방법론과 기존 문서 임베딩 모델과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안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벡터가 텍스트의 고유 정보를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문서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미국 대통령 취임 연설문의 트렌드 연구 (Discovering Meaningful Trends in the Inaugural Addresses of United States Presidents Via Text Mining)

  • 조수곤;조재희;김성범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53-460
    • /
    • 2015
  • Identification of meaningful patterns and trends in large volumes of text data is an important task in various research areas. In the present study, we propose a procedure to find meaningful tendencies based on a combination of text mining, cluster analysis, and low-dimensional embedding. To demonstrat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rocedure, we analyzed the inaugural addresses of 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from 1789 to 2009.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rends in the national policy agenda can be discovered based on clustering and visualization algorithms.

An Improved Coverless Text Steganography Algorithm Based on Pretreatment and POS

  • Liu, Yuling;Wu, Jiao;Chen, Xiany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4호
    • /
    • pp.1553-1567
    • /
    • 2021
  • Steganography is a current hot research topic in the area of information 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 However, most previous steganography methods are not effective against steganalysis and attacks because they are usually carried out by modifying cov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coverless text steganography algorithm based on pretreatment and Part of Speech (POS), in which, Chinese character components are used as the locating marks, then the POS is used to hide the number of keywords, the retrieval of stego-texts is optimized by pretreatment finally. The experiment is verified that our algorithm performs well in terms of embedding capacity, the embedding success rate, and extracting accuracy, with appropriate lengths of locating marks and the large scale of the text database.

효과적인 가짜 뉴스 탐지를 위한 텍스트 분석과 네트워크 임베딩 방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ext analysis and Network embedding Methods for Effective Fake News Detection)

  • 박성수;이건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37-143
    • /
    • 2019
  • 가짜 뉴스는 소셜 미디어와 같이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미디어 플랫폼에서 정보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이점을 가지는 오류 정보(misinformation)의 한 형태이다. 최근 가짜 뉴스의 증가로 인해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짜 뉴스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전의 가짜 뉴스 탐지는 텍스트 분석을 사용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뉴스가 확산되는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고, 네트워크 임베딩 방법인 DeepWalk 로 자질을 생성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가짜 뉴스를 분류한다. 인터넷에 공개된 뉴스 211개와 120만개의 뉴스 확산 네트워크 데이터를 사용한 가짜 뉴스 탐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텍스트 분석에 비하여 네트워크 임베딩을 사용한 가짜 뉴스 탐지의 정확도가 최소 1.7%에서 최대 10.6%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텍스트 분석과 네트워크 임베딩을 결합한 가짜 뉴스 탐지는 네트워크 임베딩에 비해 정확도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나 조직은 온라인 상에서 확산되는 가짜 뉴스 탐지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Sentence model based subword embeddings for a dialog system

  • Chung, Euisok;Kim, Hyun Woo;Song, Hwa Jeon
    • ETRI Journal
    • /
    • 제44권4호
    • /
    • pp.599-612
    • /
    • 2022
  •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a word embedding model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downstream tasks, such as those of dialog systems. To improve traditional word embedding models, such as skip-gram, it is critical to refine the word features and expand the context model. In this paper, we approach the word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subword embedding and attempt to extend the context model by integrating various sentence models. Our proposed sentence model is a subword-based skip-thought model that integrates self-attention and relative position encoding techniques. We also propose a clustering-based dialog model for downstream task verification and evaluate its relationship with the sentence-model-based subword embedding technique. The proposed subword embedding method produces better results than previous methods in evaluating word and sentence similarity. In addition, the downstream task verification, a clustering-based dialog system, demonstrates an improvement of up to 4.86% over the results of FastText in previou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