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ing Standards

검색결과 745건 처리시간 0.027초

식품 중 프로필렌글리콜의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Propylene Glycol in Foods)

  • 김희연;홍기형;최장덕;박성관;정시섭;최우정;이신호;문동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89-892
    • /
    • 2005
  • 본 연구는 프로필렌글리콜을 분석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방법 및 GC조건을 확립한 후, 이 방법을 토대로 다양한 시료들을 분석하여, 분석법의 적용가능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처리방법, 컬럼 및 GC조건을 달리하여 실험하였고, HP-5 capillary column을 사용하여 프로필렌글리콜 표준용액을 3회 반복하여 GC/FID로 분석한 결과, 표준편차는 0.30, 상대표준편차는 0.42%를 나타냈으며 검량선을 통해 상관계수$(R^2)$가 0.9996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밀가루 반죽에 표준시료를 첨가 후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101.60%의 회수율을 보였다. 이상의 조건으로 117개 식품에 대한 프로필렌글리콜 함량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프로필렌글리콜이 검출되었다. 프로필렌글리콜의 경우 물, 알코올과 잘 혼화되고 독성이 약하며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유화안정제, 보습제, 습윤제, 향료 등의 역할을 하여 견과류가공품, 아이스크림류, 주류, 유제품 등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료에서 프로필렌글리콜이 검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도 식품에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물로서 사용하는 추세가 계속 지속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신축 공동주택의 계절별 실내공기질 실측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sonal Survey of the Indoor Air Quality in New Apartment Houses)

  • 전주영;김길태;황지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417-4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2년에 입주되는 신축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실내공기질 측정결과를 통하여 실내공기질의 계절별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측정대상은 전국에 걸친 43개의 공동주택 단지였으며, 입주 전 베이크아웃이 실시된 상태였다.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환경부)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포름알데히드,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크실렌의 6개 항목의 단지별 평균방출량을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실내온도가 $30^{\circ}C$까지 상승하는 하절기로 갈수록 실내공기오염물질이 다량 방출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든 항목이 권고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포름알데히드 평균 방출농도는 실내온도가 $25^{\circ}C$이상 높아지는 6월~9월의 방출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벤젠의 평균 방출농도는 모든 계절에 소량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톨루엔 및 에틸벤젠의 평균 방출농도는 실내온도 $22^{\circ}C{\sim}30^{\circ}C$까지 상승하는 4월~8월에 방출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자일렌, 스티렌 방출량은 모두 4월에 많이 방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년에 걸쳐 큰 편차없이 고르게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세부적인 온도조건과 오염물질 방출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측정세대마다 온도조건을 다르게 조절하여 오염물질방출량 측정분석을 통해 정량적 상관관계를 살펴 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표준연료(휘발유) 도입 필요성 검토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Introducing the Reference Fuel(Gasoline) for Testing Vehicles in South Korea)

  • 강형규;성상래;송호영;황인하;하종한;나병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24-835
    • /
    • 2016
  • 2015년 기준 자동차 등록대수는 약 2,100만대를 넘어 1가구당 1.07대를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나[1], 국내 자동차용 표준연료에 대한 기준은 부재한 상황이다. 자동차용 표준연료(reference fuel)는 차량의 연비와 배출가스를 인증하거나 새로운 자동차를 개발할 때 차량의 성능 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료를 의미한다. 현재 국내에는 차량의 배출가스, 성능, 연비시험 등을 위해 유통연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통연료는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과 대기환경보전법 상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지만 각 제조사의 원료와 공정 등에 따라 연료의 물성차이가 있어 차량 시험 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되는 휘발유 품질모니터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표준연료 기준(안)을 설정하고, GDI와 MPI 연료 분사 방식의 차량에 적용하여 비교 평가한 결과, 실제 유통연료를 사용했을 때 최대 3.8%까지 발생하는 연비차이가 1.1%까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D 조명기구의 함정 적용과 효과분석 (Application and effect analysis of LED luminaires for naval vessels)

  • 조규룡;길경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9호
    • /
    • pp.812-817
    • /
    • 2016
  • 본 논문은 함정용 LED 조명기구의 전기적, 광학적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실증으로 요구사항 만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2012년 함정에 최초 적용된 이후 현재까지 비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함정용 LED 조명기구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하여 한국산업규격(KS), 국방규격(KDS) 및 미 해군규격(MIL)의 요구사항을 비교하여 함정용 LED 조명기구의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형광등기구와 LED 조명기구의 전기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을 실험으로 분석하여 요구사항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제시된 함정용 LED 조명기구의 요구사항으로 A1함정에 주 조명등으로 설치되었다. LED 조명기구로 설치된 이후 형광등에 비해 소비전력은 약 40% 감소되었고, 광속은 10 ~ 15% 증가하였다. 또한, 2012년에서 2015년까지 함정 10척에서 약 4,900개의 형광등기구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고, 약 5.6억원의 절감효과를 확인하였다. 향후 지속적으로 함정에 LED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있어 많은 절감효과가 기대된다.

지식내용, 사회문제, 개인흥미 중심의 통합과학교육 접근법을 적용한 '에너지' 주제의 교수.학습 전략 모색(I) (Three Strategies for Integrated Science Teaching of "Energy" Applying Knowledge, Social Problem, and Individual Interest Centered Approaches)

  • 이미혜;손연아;;최돈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42-356
    • /
    • 2001
  • 우리나라 제 6차 교육과정과 2002년부터 점차로 적용되는 제 7차 교육과정은 중등학교에서의 통합과학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중등학교 과학교사가 통합과학교과의 지도에 있어 애로를 겪고 있으며, 이는 실제적인 중등학교 통합과학교육의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을 일선과학 교사가 통합과학교육을 실제로 어떻게 실행해야하는지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손연아와 이학동, 1999) 과 실제 수업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통합과학 교수-학습자료가 불충분하다는 점에서 찾았다. 실제 수업에서 통합과학교육 실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통합과학교육의 3가지 방향을 적용하였다 : 지식내용 중심의 통합과학교육, 사회문제 중심의 통합과학교육, 개인흥미중심의 통합과학교육. 이상의 관점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통합과학교육의 3가지 방향에 대한 실제적 교수 학습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서 다음의 2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한국의 제 6, 7차 과학교육과정과 7종의 공통과학 교과서, 그리고 미국의 NSES와 Benchmarks 국가 과학교육과정에 포함된 에너지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본 논문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4가지 에너지 관련 개념을 추출하였다; 에너지 보존, 에너지 전환, 에너지 흐름, 에너지 감성, 다음으로, 이상에서 분석한 에너지 관련 내용과 추출한 개념을 중심으로 3가지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을 기초로 한 3가지 '에너지' 주제의 교수 학습 개념 구조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통합과학 교수 학습 전략은 통합의 방향별 에너지 주제의 통합과학교육 실행을 위해 후속 연구에서 제시될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데 이론적 근거로 제공될 것이다.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대학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을 위한 중요도분석연구 (An Importance Analysi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r 4-year College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Curriculum)

  • 김재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7-129
    • /
    • 2017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과 연관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에서 제시된 학습모듈을 파악하고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NCS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두 전문가 그룹인 대학교수와 정보시스템개발자를 대상으로 NCS의 응용SW엔지니어링 분야에 속한 26개 능력단위의 중요도를 계층화분석과정을 통해 능력단위별로 쌍대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들에 상대적 중요도는 요구사항 확인하기, UI요구사항확인하기, 물리데이터저장소설계하기, 개발자통합테스트하기와 개발자결함조치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초 중급개발자 그룹은 시스템개발 이행단계에 속한 능력단위요소를 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고급개발자 그룹은 이론중심의 설계와 관련 있는 능력단위요소를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자 그룹은 두 개발자 그룹이 각각 중요하다고 판단한 실무 및 이론적 내용 모두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시스템개발 관련 직무수행역량의 함양과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약재의 미생물허용한도 설정을 위한 모니터링(I) (A monitoring for the establishment of microbial limit of herbal medicine(I))

  • 이주현;전원경;고병섭;천진미;이아영;김호경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49-57
    • /
    • 2006
  • 한약재는 생산, 가공, 유통과정에서 적절한 보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생물 증식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한 부패나 변질이 우려되며 한약 품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한약재 미생물허용한도에 대한 각 나라별 규격기준을 보면 유렵약국, 도일약국에서는 호기성균의 미생물오염한도(microbial contamination limit)를 10 CFU/g 이하로 규격화하고 있다. 또한 미국약국 NF(US phamacopeia & National Formulary)에서는 생약의 미생물 한도치를 유럽약국과 같은 정도의 규격설정을 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일본약국방(日本藥局方) 및 국방외생약규격집(局方外生藥規格集)에 의해서 한약의 품질을 유지하고 있고, 미생물학적 품질관리 실태조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개 지역에서 각각 1곳의 약업사를 정하여 대상품목 총 30종을 선정하였다. 실험의 재료는 문헌과 자료조사에 의해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용이한 품목 18종, 육진약(六陳藥)에 속하는 6종, 그리고 육미지황환을 구성하는 6종을 구입하여 대한약전 8개정의 미생물한도 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한약재에 대한 미생물 오염 실태조사를 통하여 미생물 허용한도를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한약재 미생물 오염 실태조사 결과 WHO 미생물한도 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진균의 오염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향후 한약재에 대한 미생물오염도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길모어침에 의한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품질시험방법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Testing Method for Setting Time of Set Accelerating Agent Using Shotcrete by Gilmour Needles)

  • 김춘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95-200
    • /
    • 2011
  • KS F 2782(숏크리트용 급결제) 규격은 터널시공 또는 단면보수 보강 현장에서 사용되는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성능을 평가하기위한 규격이라 볼 수 있다. KS F 2782(숏크리트용 급결제) 규격에 의한 급결제의 품질시험방법은 단순히 급결제의 품질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많은 변수들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생산된 급결제 제품들은 실내시험에서는 거의 대부분 품질기준에 만족하지는 못하지만 현장에서 급결제가 숏크리트에 혼합되어 슈팅된 후의 품질은 상당히 만족하는 수준의 제품들이 다수이다. 즉 실내 시험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 적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실내 시험과 실제 타설 시의 품질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시험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결제와 숏크리트의 재료의 조건을 다양하게 하여 길모어침에 의한 시험결과와 압축강도를 비교하여 KS F2782(숏크리트용 급결제) 규격은 급결제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방법으로서 적합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로서 KS F 2782규격의 일부만 수정을 한다고 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점은 아니며 전반적으로 처음부터 철저하게 검토를 하여 국내 현실에 적합하고 실내 시험의 균일성이 보장되면서 현장에 적용 시 충분한 연관성이 있는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PreSPI: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서비스 시스템 (PreSPI: Protein-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Service System)

  • 한동수;김홍숙;장우혁;이성독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6호
    • /
    • pp.503-513
    • /
    • 2005
  • 계산을 통한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의 중요성이 제기되면서 많은 단백질 상호 작용 예측 기법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이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 중 예측 기법의 완성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예측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도메인 조합 기반 단백질 상호 작용 예측 기법을 이용하여 서비스 시스템으로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효모(Yeast)의 단백질 집합에 대하여 학습한 후, 학습된 단백질 집합과 공통된 도메인을 가지지만 학습 집합에 존재하지 않는 단백질 쌍들에 예측 기법을 적용하여 매우 높은 $77\%$의 민감도(sensitivity)와 $95\%$의 특이도(specificity)를 보였다. 더불어 DIP CORE, HMS-PCI, TAP 데이타의 테스트를 통해서 이 기법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시스템의 기능들은 핵심 기능, 부가 기능 그리고 일반 서비스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시스템 설계의 주요 목표인 성능, 개방성 그리고 확장성에 따라, 개별 서비스들은 병렬화, 웹 서비스 표준 준수 및 계층화된 구조화를 지원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가지 대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세한 사용 지침도 소개한다.

산업보건연구에서의 통계학적 분석 (Statistical analyses in an occupational health study)

  • 백도명;최정근;손미아
    • 응용통계연구
    • /
    • 제6권2호
    • /
    • pp.201-215
    • /
    • 1993
  • 산업보건연구의 통계학적 분석은 작업환경측정에 대한 평가방법과 산업보건에 특유한 혼란 변수의 통제 등 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평가방법에 있어 다른 보건통계분야와 구 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물공장 근로자들의 호흡기 건강상태와 작업환 경에서 폭로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산업보건연구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분석에 대한 기술을 하였다. 조사된 환경측정결과의 일부는 허용폭로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는 바, 폭 로기준의 준수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작업환경측정결과와 그들의 대수변환치들로부터 얻은 산술평균과 대수평균들이 폭로기준과 다른지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하였다. 환경측정을 비롯 한 위험요인들과 그들로 인한 건강상태와의 관계 분석을 위해, 범주적 건강측정 변수인 경 우에는 $\chi$-square 검정과 다변량 logistic분석을 시행하였고, 연속적 변수인 경우에는 다 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작업환경내의 오염물질의 농도는 그 측정장소와 측정시점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다. 이러한 작업환경의 측정결과를 평가하는데 있어 사용될 수 있는 서 로 다른 여러 지수들의 장단점과 가변적 측정결과들로 인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통계학 적 분석방법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본 조사의 폐기능검사 결과는 직업에서 폭로되는 정도 와 아무 연관성을 보이고 있지 않은 바, 이는 “건강한 그로자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