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bed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29초

평가장치를 이용한 과학 로켓 자세 제어기 테스트 (A Controller test for the Attitude Control of a sounding Rocket using a Testbed)

  • 전상운;공현철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189-189
    • /
    • 2000
  • A controller test on a sounding rocket using a testbed is discussed in the paper. Because of the high cost and the risk for the flight test the hardware simulation on the ground is performed. In this paper the conventional On/Off Controller is applied to the attitude control of a sounding rocket. The hardware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oftware simulation.

  • PDF

A Testbed for the Security Issues of Limited-resource Internet Appliances

  • Vorapojpisut, S.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762-766
    • /
    • 2004
  • This paper introduces a testbed which is suitable for the study of security issues arising in applications involving internet appliances. The testbed implements secure door locks by utilizing the intranet in the building and is composed of two main parts, namely a database server and door locks each of which equipped with a custom-made embedded system.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 platform for teaching the conflict among real-time specifications, security requirements, and limited-resource constraints. After definitions of threat, vulnerability, and attack are given, we discuss how the testbed can be applied as an education tool for these concepts. Finally, the effects of sequential and multitasking operations are given as a case study.

  • PDF

텔레매틱스 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lematics Reference Model)

  • 장정아;김경호;한은영;최혜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603-606
    • /
    • 2004
  • 최근 다양한 분야의 기반기술이 융합된 형태의 서비스로 텔레매틱스와 관련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기술표준화도 활발히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매틱스 기술 표준화를 위한 기술 프레임워크인 텔레매틱스 참조모델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있다. 텔레매틱스 참조모델에서는 텔레매틱스의 주요 구성요소로 텔레매틱스 클라이언트, 통신망 그리고 텔레매틱스 서버 부문으로 구성요소를 분류하였다. 텔레매틱스 클라이언트는 통합측위장치, 차량장치, 텔레매틱스 단말의 세가지로 구성된다. 텔레매틱스 통신망은 다양한 통신 인프라(CDMA, WLAN, DMB, WiBro 등)의 Seamless 통신이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텔레매틱스 서버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TSP 서버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가공-제공하는 CP 서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텔레매틱스 기술 개발 및 표준 추진의 제반 아키텍쳐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에뮬레이션 기반 테스트베드 활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Emulation Based Network Testbeds)

  • 이민선;유관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61-67
    • /
    • 2018
  • 에뮬랩 소프트웨어는 미국 유타주립대학교에서 개발되어 전 세계 십여 개 사이트에 설치 구축되었다. 우리나라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서 구축한 KREONET-에뮬랩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TCP성능 테스트 등 네트워크 기술 연구는 물론 분산시스템, 보안 및 융합연구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맞춤형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시스템 노드를 제공하고 있다. 테스트베드는 실험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실제로 연구자들은 테스트베드에서 지원 가능한 실험만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10년간 유타-에뮬랩을 활용한 프로젝트 목록을 토대로,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연구 형태를 확인하고 연구자의 분포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KREONET-에뮬랩의 활용 동향과 비교하였다. 또한 서비스화된 테스트베드(Testbed-As-a-Service)를 통한 차세대 테스트베드의 융합 연구 커뮤니티 서비스방안을 제시하였다.

IoT 응용을 위한 RF 에너지 전송 테스트베드 구현 및 실험 (RF Energy Transfer Testbed Based on Off-the-shelf Components for IoT Application)

  • ;;;;;최계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0호
    • /
    • pp.1912-192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의 RF 무선 에너지 전송을 실험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구현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IoT 환경은 마이크로파를 통해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송할 수 있는 전력 비콘(power beacon)과 이로부터 에너지를 수신 받아 동작하는 다수의 센서 노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 RF 에너지 전송을 실험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현하였으며 주로 상용 제품으로 테스트베드를 구성하고 소프트웨어를 통한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에너지 및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테스트베드를 통한 실험 결과를 소개하고 향후 테스트베드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오픈플로우 기반 미래인터넷 테스트베드의 독립적 운용을 위한 가상화 기능 구현 및 성능 평가 (Implementation of Virtualization Techniques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OpenFlow-based Future Internet Testbed)

  • 민석홍;김승주;김병철;이재용;홍원택;공정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호
    • /
    • pp.34-45
    • /
    • 2013
  • 최근 국내외에서는 새로운 네트워크 구조 및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활동 지원을 위한 테스트베드 및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OpenFlow 프로토콜 기반의 미래 인터넷 테스트베드 구축과 연구자들에게 독립적인 연구 공간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에 관한 연구가 함께 진행되고 있다. 네트워크 가상화는 많은 연구자들이 테스트베드를 공유하면서 각각의 연구에 대해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테스트 베드 활용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락 제어 및 사용자의 최소 대역폭 보장을 제공하는 QoS기능을 포함하는 Enhanced FlowVisor를 구현하였다. 또한, OpenFlow 프로토콜 기반의 미래인터넷 테스트베드에서 Enhnaced FlowVisor의 성능 검증을 위한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실험을 수행 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미래인터넷 테스트베드의 가상화된 네트워크에 각각의 연구들에게 서로의 트래픽 간섭없이 신뢰있고 안정적인 QoS 보장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K 텔레콤의 IMT-2000 연구개발현황

  • 김병무
    • 정보와 통신
    • /
    • 제14권11호
    • /
    • pp.68-78
    • /
    • 1997
  • 본 고에서는 SK 텔레콤에서 수행해온 광대역 CDMA 및 IMT-2000 시스템에 관련된 연구개발 내용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우선 SK 텔레콤의 IMT-2000 무선접속 규격에 관하여 간략하게 기술하고 지금까지 개발한 IMT-2000 testbed 및 광대역 CDMA 시스템과 ASIC에 관하여 논하였다. 또한 IMT-2000 Network의 프로토콜 검증과 서비스 개발을 위해 수행하고 있는 network testbed의 구조와 현재 개발 진행 중인 IMT-2000 시스템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 PDF

KOREN/KREONET기반 NetFPGA/OpenFlow 스위치를 이용한 미래인터넷 테스트 베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f Future Internet Testbed Construction using NetFGA/OpenFlow Switch on KOREN/KREONET)

  • 박만규;정회진;이재용;김병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7호
    • /
    • pp.109-117
    • /
    • 2010
  • 미래인터넷 연구를 위해 대규모의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는 일은 새로운 프로토콜을 테스트하고 clean-slate 기법을 적용한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테스트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FIRST'(Future Internet Research for Sustainable Testbed)라는 프로젝트 이름으로 미래인터넷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는 연구가 금년 3월부터 추진되어 ETRI와 5개의 대학들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중 5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FIRST@PC의 경우 NetFPGA의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이용하여 오픈플로우 스위치기반의 미래인터넷 테스트베드를 KOREN과 KRONET에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FIRST@PC 프로젝트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지역별로 구축된 오픈플로우 스위치 테스트베드 간 연동을 위해 구현된 소프트웨어 기반의 MAC in IP 갭슐레이터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연구실 내의 로컬 테스트와 충남대와 광주과학기술원 간 연동 테스트한 결과를 제시한다. 실험 결과 소프트웨어 기반의 캡슐레이터를 사용하면 현재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대역폭에 대해서는 지원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인터넷 OpenFlow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한 NetFPGA기반 캡슐레이터 구현 및 성능평가 (NetFPGA based capsulator Implementation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for Future Internet OpenFlow Testbed)

  • 최윤철;민석홍;김병철;이재용;김대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7호
    • /
    • pp.118-127
    • /
    • 2010
  • 패킷 기반의 TCP/IP 프로토콜 기반으로 구축된 인터넷 환경은 30년 넘게 사용되어 왔으나, 향후 통신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다양한 사용자 요구사항의 증대로 인해 프로토콜 확장의 제약으로 인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lean Slate 설계 방법에 기반을 둔 미래인터넷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이를 실험하고 검증하기 위한 대규모 테스트베드 구축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위한 오픈 플로우 스위치 기술은 기존에 포설된 네트워크 장비를 활용하면서, 인터넷 트래픽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인 프로토콜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로 제안되었다. 국내에서도 테스트베드 구축의 한 방법으로 NetFPGA기반 오픈 플로우 스위치를 활용한 망구성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인터넷망을 통한 오픈플로우 스위치 간 연결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오픈 플로우 스위치 간 논리적인 터널링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NetFPGA 기반의 캡슐레이터를 구현하여 국내연구망인 KOREN에 구현된 여러 오픈 플로우 사이트 간에 MAC in IP 터널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고 이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기존 소프트웨어 기반의 캡슐레이터에 비해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미래인터넷 기술을 실험할 수 있는 테스트 베드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캡슐트레인 주행 동특성 분석을 위한 축소 시험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Small Scale Testbed for Running Dynam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Capsule Train)

  • 이진호;유원희;이관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43-651
    • /
    • 2020
  • 공기 저항이 적은 아진공 상태의 튜브 안을 주행함으로써 초고속주행이 가능한 캡슐트레인은 부상 공극이 커서 인프라 건설 비용 절감에 유리한 초전도 유도 반발식 부상을 채택하고 있다. 초전도 유도 반발식 부상은 부상 공극을 크게 할 수 있고, 별도의 공극 제어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공극 변동량이 크고 부상력에 댐핑 특성이 작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이 악화 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주행 동특성에 기반한 주행안정화장치를 설계하고 적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캡슐트레인의 동특성을 모사하고 주행안정화장치의 성능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는 1/10 스케일의 축소형 시험장치를 개발하였다. 시험장치는 대차의 모션을 구현할 수 있는 6 자유도 스튜어트 플랫폼, 주행안정화장치가 적용된 2차 현가장치 및 차체로 구성되어 있다. Jaschinski가 제안한 동특성 상사 법칙에 따라 축소 시험장치를 제작하였고, 가이드웨이 불규칙도와 부상 강성이 반영된 대차 모션 구현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제작된 시험장치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와 수치해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시험장치의 성능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