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a/MODI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44초

Development of MODIS Data Application System

  • Lim, Hyo-Suk;Lee, Seon-Gu;Seo, Doo-Cheon;Lee, Dong-Han;Kim, Mi-Na;Kim, Yong-Se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47-351
    • /
    • 2002
  •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on the Earth Observing System (EOS) Terra and Aqua satellites, launched in 1999 and 2002, is directly received by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ground station facility. BURI engineers develop a system to receive direct broadcast downlink from MODIS to provide near-realtime, remotely-sensed, spaceborne data to the user community in Korea. MODIS scans a swath width of 2330 km that is sufficiently wide to cover Korean peninsular, Yellow and East Sea at once. The MODIS has 36 spectral bands between 0.415 fm and 14.235 $\mu$m, i.e. through the visible into the thermal infrared. MODIS has been observed active fires, floods, smoke transport, dust storms, severe storms since February of 2000. The KARI is preparing for distribution of direct broadcasted MODIS data to users in Korea. The MODIS database system will be designed and developed by KARI engineer for data service from year of 2003. MODIS data user group will be organiz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02.

  • PDF

Remote Sensing Data receiving and research activities using NOAA-AVHRR and Terra/Aqua-MODIS at ACRoRS, AIT

  • PHONEKEO Vivarad;SAMARAKOON Lal;YOKOYAMA Ryuz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31-33
    • /
    • 2004
  • Two receiving systems were established at the Asian Center for Research on Remote Sensing (ACRoRS) to receive remote sensing data from NOAA AVHRR and Terra/Aqua MODIS sensors in October 1997 and May 2001, respectively. The data, which has been received in the research center, are very important to support and promote the remote sensing research activities for global environmental issues in Asia. Since the day of the establishment, many research and applications, which used these data, have been conducted. The data sets have been provided to researchers and users in many countries in the region to conduct research, to strengthen the research collaboration and education.

  • PDF

한반도 국토모니터링을 위한 MODIS 자료 획득 및 처리 시스템 설계 (MODIS Data A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Design for Land Monitoring in Korea Peninsula)

  • 윤여상;윤정숙;신정일;강성진;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0-94
    • /
    • 2008
  • 1999년과 2002년 각각 Terra와 Aqua센서를 탑재하여 발사된 MODIS 위성은 36개의 분광밴드, 250m, 500m, 1km에 이르는 다양한 공간해상력 및 주.야간 각 2회의 촬영을 통하여 전 세계에서 발생되고 있는 다양한 지구환경 및 변화를 연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NASA MODIS Science Team에서는 이를 위해 44개에 이르는 표준 product를 정의하여 알고리즘 처리 결과를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상청, 국립수산과학원등에서 MODIS자료를 직수신하여 분석 및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MODIS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 국토모니터링을 위한 자료 획득 및 처리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반도 일대의 MODIS 자료를 직수신하고 있는 기관으로부터 KREONet을 이용하여 준 실시간으로 영상자료를 획득 및 저장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자료의 분석 및 처리를 위한 관련된 MODIS 표준 product를 살펴보고 이를 분석처리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S를 이용한 홍수범람지역 탐지 정보화 기법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ization Technique for Detecting Flood Inundation Area Using RS)

  • 신형진;채효석;황의호;박재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2-183
    • /
    • 2012
  • 2011년 태국 짜오프라야 강 유역에서 발생한 홍수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범람시 시공간적 침수상황이 파악 가능한 Terra MODIS 영상을 이용하여 태국 짜오프라야 강 유역의 홍수에 의한 침수지역을 추정하였다. 2011년 7월 29일에서 2012년 1월 9일까지의 500m 해상도인 MODIS product MOD09 8일 합성 영상을 수집하고 식생지수(EVI), 지표수분지수(LSWI)와 DVEL지수(식생지수와 지표수분지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홍수범람 지역과 수역관련 지역의 탐지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홍수 범람지역의 자료를 정보화하고 그 결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MODIS 자료의 이용은 시공간적 하천 홍수범람지역 탐지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한반도에서의 천리안 위성 지표면 온도 유용성 평가 (Availability of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the COMS in the Korea Peninsula)

  • 백종진;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8호
    • /
    • pp.755-765
    • /
    • 2012
  • 지표면 온도는 수문기상학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지면-대기의 상호순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지표면 온도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시 공간적으로 일정한 자료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인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의 지표면 온도 자료를 사용하여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센서를 탑재한 위성(Terra/Aqua)에서 제공되는 지표면 온도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COMS 자료의 정확성 확인을 위하여 지상관측지점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MODIS와의 비교에서는 COMS가 Aqua/Terra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과소 산정되었으며, Aqua보다는 Terra와 비슷한 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상 관측 일평균자료와의 비교에서도 COMS가 과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오차는 알고리즘 사용 인자의 차이, 자료의 시간적 차이, 외부적인 요인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전체적인 경향성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COMS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보다 정확한 검 보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COMPARISONS OF MTSAT-1R INFRARED CHANNEL MEASUREMENTS WITH MODIS/TERRA

  • Han, Hyo-Jin;Sohn, Byung-Ju;Park, Hye-Su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651-654
    • /
    • 2006
  • Infrared channels of newly launched Japanese geostationary satellite, MTSAT-1R are compared with well calibrated MODIS/Terra infrared measurements at 3.7, 6.7, 11, 12 ${\mu}m$ bands. There are four steps in this intercalibration method: 1) data collection, 2) spectral response function correction, 3) data collocation, and 4) calculation of mean bias and conversion coefficients. In order to minimize the navigation error of MTSAT-1R, comparisons are made over the area in which the viewing angle of MTSAT-1R is less than 50$^{\circ}$. The calibration method was tested for August 2005 and within the 40$^{\circ}N$-40$^{\circ}S$, 100$^{\circ}$E-180$^{\circ}$E domain. The differences of spectral response functions were corrected through radiative transfer model simulation. Constructing collocated data differences in viewing geometry, observation time and space wer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avoid the radiance variation induced by cloud presence, clear-sky targets are selected as intercalibration target. The mean biases of 11, 12, 6.7, and 3.7 ${\mu}m$ bands are about -0.16, 0.36, 1.31, and -6.69 K, suggesting that accuracies of 3.7 ${\mu}m$ is questionable while other channels are comparable to MODIS

  • PDF

Terra MODIS 위성영상 증발산량을 활용한 밭작물 가뭄 분석 (Characterization of Drought Stress for Upland Crops using Terra MODIS Evapotranspiration Satellite Image)

  • 전민기;남원호;홍은미;황선아;한경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8-128
    • /
    • 2019
  • 증발산량은 수표면이나 토양면에서 수증기의 형태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증발량과 식물의 엽면을 통해 지중의 물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증산량의 합으로, 기상학과 수문학에 사용되는 중요한 농업기상 매개 변수이다. 증발산량을 관측하는 방법으로는 라이시미터 (Lysimeter)와 같은 관측장비를 통해 실제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방법과, FAO-56 Penman-Monteith (PM)과 같은 증발산량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방법이 있다. 국내의 경우 기상관측소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발산량 추정공식을 통해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위성영상에 기반하여 증발산을 추정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항공우주국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에서 추진하는 위성을 이용한 지구 전역의 장기관측 계획 EOS (Earth Observing System)에 의해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인 MODIS Terra 위성에서 제공되는 MOD16A2 위성영상을 사용하였다. MOD16A2 위성영상은 2001년부터 현재까지 500m의 픽셀 단위로 제공되는 8일 간격의 전지구 규모의 위성영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관측소에서 관측된 기상인자를 PM 공식에 입력하여 산정된 증발산량 값과 MOD16A2 위성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우리나라 MOD16A2 위성영상 적용성 및 밭작물 가뭄분석에 적용하였다.

  • PDF

스마트팜맵과 토양물리특성을 활용한 Terra MODIS 기반의 농지 토양수분 및 가뭄 현황 분석 (Analysis of soil moisture and drought in agricultural lands based on Terra MODIS using smart farm map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 정지훈;이용관;강찬;방종한;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5-375
    • /
    • 2023
  • 본 연구는 농지를 대상으로 토양수분 및 가뭄 현황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토양수분을 파악하기 위해 Terra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영상기반의 토양수분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해당 모형은 MODIS LST(Land Surface Temperature) 및 NDVI(Normalized Difference Deficit Index)를 기반으로 SCS-CN(Soil Conservation Service-Curve Number) 방법에서 착안한 수문학적 개념 5일 선행강우 및 무강우일수를 입력자료로 하며, 토양 종류 및 계절에 따른 토양수분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MODIS LST 및 NDVI 영상을 2013년부터 2022년까지 각각 일별 및 16일 단위로 구축하였으며, 동 기간에 대해 전국 88개소의 기상청 종관기상관측소의 강수량 및 LST 자료를 수집하였다. MODIS LST는 실측 LST 자료를 활용해 조건부합성기법을 적용하여 상세화하였고, 수집된 강수량자료는 역거리가중법을 활용해 공간 보간을 수행하였다. 토양특성의 구분은 농촌진흥청에서 정밀토양도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공간 분포된 토양수분에서 농지에 해당하는 토양수분을 추출하기 위해 스마트팜맵을 구축하고, 농지 속성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조회 후 이를 시군구별로 평균하여 일별 평균 토양수분값을 산정하였다. 토양수분 기반의 가뭄 현황 분석을 위해 구축된 정밀토양도에서 작물 생장과 관련된 영구위조점 및 포장용수량을 활용해 5단계(정상,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가뭄 위험도를 산정하였으며, 실제 가뭄 현황과의 비교를 통해 토양수분기반의 가뭄 위험도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Terra/Aqua MODIS LST를 이용한 폭염 및 한파기간 동안 습지의 지면온도 완화효과 분석 (Assessment of Surface Temperature Mitigation Effects of Wetlands During Heat and Cold Waves Using Daytime and Nighttime MODIS Land Surface Temperature)

  • 정지훈;이용관;김성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123-133
    • /
    • 2019
  • 본 연구는 2018년에 발생한 폭염 및 한파 발생 기간을 대상으로 습지의 지면온도 완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위성관측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와 지상 관측 기온 자료를 활용해 토지 이용별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폭염 기간에는 폭염주의보 발령 기준인 최고기온 33℃ 이상인 지역, 한파 기간은 한파주의보 발령 기준인 최저기온 -12℃ 이하의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성 자료로는 Terra/Aqua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의 Daytime, Nighttime LST 자료, 지상 관측 기온 자료로는 전국 86개소의 종관기상관측장비(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 지점에 대한 최고 및 최저 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한파 기간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산림의 지면온도의 평균이 -12.7℃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밭과 습지가 각각 -12.9℃와 -13.0℃로 나타나 평균이 가장 낮은 도시의 -14.4℃에 비해 1.4℃ 더 높았다. 폭염 기간에도 도시지역의 평균이 34.6℃로 가장 높았고 습지는 33.0℃로 도시지역과 - 1.6℃의 차이를 보여 습지의 지면온도 완화효과를 확인하였다. 습지는 기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지면온도의 완화 기능을 발휘하였고, 원격탐사 영상을 이용한 확인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