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rra/MODIS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udy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Detection Using Terra MODIS Satellite Image (Terra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안지하수유출 탐지 연구)

  • Shin, Hyung Jin;Ahn, Juun Gi;Kang, Seok Man;Song, S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3-383
    • /
    • 2017
  • 간척지는 바다와 접하는 하구언, 개벌로 이루어진 해안 등을 농공상업용지로 개간한 토지로서 간척지 이용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용수공급 방안 수립이 고려되어야 한다. 해안유출지하수(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는 지하수 담수체가 존재하는 마지막 장소로 염해가 없는 청정수질 용수이다. 해안유출지하수 발생 구간을 탐지하기 위해 실측자료의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인공위성 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광역규모의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고자 한다. MODIS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는 지구 생물권 활동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는 미항공우주국 Terra EOS (Earth Observation system)위성의 주센서로 해양, 육상과 대기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다목적 센서이다. MODIS는 36개의 밴드를 이용하여 대기, 지표, 해양 관련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의 효율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해안유출지하수의 최적 개발 및 이용을 위해 MODIS MOD11 product 지표면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 MODIS MOD13 product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기상청의 지중온도와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새만금 간척지를 대상으로 해안유출지하수 발생 구간을 탐지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WEB-DOWNLOADING SYSTEM ON WWW

  • Lee Sun-Gu;Jung Jae Heon;Lee Yong 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5.10a
    • /
    • pp.612-615
    • /
    • 2005
  •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l) has been receiving Terra and Aqua MODIS data at ground station of Daejeon since July 2002. MODIS data can cover whole 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Japan and The East China each almost scene and is monitoring ocean, atmosphere and land. By this time, over two thousand scenes have been archived including Terra and Aqua in the storage system and they occupied about over 10TB of disk space. In this study, Web-Downloading system of MODIS data developed on WWW is including following main functions: spectral subset (250m, 500m, 1000m chnnels) Level 1B data of HDF format, result display, ftp download and statistic viewer etc. Users using this system can directly download MODIS data on WWW with a few input parameters. This system is available via the Internet URL after October 2005 on the following, 'http://webmodis.kari.re.kr/'

  • PDF

Extraction of Heavy Snowfall Vulnerable Area for 3 Representative Facilities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GIS/RS를 이용한 3개의 대표 시설물별 폭설 취약지역 추출기법 연구)

  • Ahn, So-Ra;Shin, Hyung-Ji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12
    • /
    • 2015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eavy snowfall vulnerable area of snow load design criteria for greenhouse, cattle shed and building using ground measured snow depth data and Terra MODIS snow cover area(SCA). To analyze the heavy snowfall vulnerable area, Terra MODIS satellite images for 12 years(2001-2012) were used to obtain the characteristics of snow depth and snow cover areas respectively. By comparing the snow load design criteria for greenhouse(cm), cattle shed($kg/m^2$), and building structure($kN/m^2$) with the snow depth distribution results by Terra MODIS satellite images, the facilities located in Jeolla-do, Chungcheong-do, and Gangwon-do areas were more vulnerable to exceed the current design criteria.

Comparative Analysis of Extracted Snow Cover Area Using Terra MODIS and NOAA AVHRR Imageries for ChungJu Dam Watershed (Terra MODIS 및 NOAA AVHRR 위성영상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적설분포 추출 결과 비교분석)

  • Hong, Woo-Yong;Shin, Hyung-Jin;Ha, Rim;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92-1096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저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적설 분포의 추출연구가 융설과 관련된 수문학적 연구에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한반도와 같이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대기에 의한 방해가 너무 큰 영상은 구름 아래 지표면의 정보를 얻을 방법이 없어 해당 날짜의 영상을 제외 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특성과 영상의 촬영 시간, 그리고 촬영 각도가 달라 서로 다른 대기의 영향을 받는 Terra MODIS 위성영상과 NOAA AVHR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적설 분포를 추출하는 방법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영상을 분석하는데 있어 구름의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겨울철의 적설이 발생한 기간을 대상으로 총 3개년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두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적설분포의 차이를 우리나라의 충주댐 유역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밴드별 파장대의 반사 특성을 이용한 MODIS snow cover와 임계값을 선정하여 구하는 NOAA AVHRR는 서로 다른 적설분포를 보였다고 판단되며, 이는 해상도와 영상 합성, snow cover 추출 알고리즘의 차이 및 대기 현상의 영향 등으로 인하여 추출면적 값이 차이를 보이는 것이라 생각된다. 두 영상에 의한 추출면적의 비교분석 결과, 적설분포의 추출에 있어서 두 영상을 서로 절충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The comparison of Sea WiFS and MODIS/Terra in the Japan/East Sea

  • Kim Hyun-cheol;Yoo Sinjae;Oh Im Sa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4.10a
    • /
    • pp.693-695
    • /
    • 2004
  •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chlorophyll a retrievals in the JES from SeaWiFS and MODIS/Terra. SeaWiFS and MODIS/Terra data over period from 2000 through 2003 were compared. The chlorophyll concentration from the SeaWiFS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from MODIS during the period. There are some possible causes for such discrepancy: differences in the sensor sensitivity, chlorophyll algorithms, and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s. We checked some of these possibilities. We also compared the data from other regions. The deviation between the two data sets was highly correlated with chlorophyll concentrations Atmospheric corrections seem the major cause of the discrepancy.

  • PDF

Mapping Technique for Heavy Snowfall Distribution Using Terra MODIS Images and Ground Measured Snowfall Data (Terra MODIS 영상과 지상 적설심 자료를 이용한 적설분포도 구축기법 연구)

  • Kim, Saet-Byul;Shin, Hyung-Jin;Lee, Ji-Wan;Yu, Young-Seok;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33-43
    • /
    • 2011
  • This study is to make snowfall distribution map for the 4 heavy snowfall events of January 2001, March of 2004, December of 2005 and January of 2010, and compare the results for three cases of construction methods. The cases are to generate the map by applying IDW(Inverse Distance Weighting) interpolation to 76 ground measured snowfall point data (Snow Depth Map; SDM), mask out the SDM with the MODIS snow cover area (MODIS SCA) of Terr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SDM+MODIS SCA; SDM_M), and consider the snowdepth lapse rate of snowfall by elevation (Digital Elevation Model; DEM) to the second case (SDM_M+DEM; SDM_MD). By applying the MODIS SCA, the SCA of 4 events was 62.9%, 44.1%, 52.0%, and 69.0% for the area of South Korea. For the average snow depth, the SDM_M decreased 0.9cm, 1.9cm, 0.8cm, and 1.5cm compared to SDM and the SDM_MD increased 1.3cm, 0.9cm, 0.4cm, and 1.2cm respectively.

Applicability of Vegetation Indices from Terra MODIS and COMS GOCI Imageries (Terra MODIS 위성영상과의 비교를 통한 COMS GOCI 위성영상의 식생지수 적용성 평가)

  • Park, Jin Ki;Kim, Bong Seop;Oh, Si Young;Park, Jong 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5 no.6
    • /
    • pp.47-55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vegetation indices on a quantitative analysis. For evaluation, the vegetation indices such as RVI, NDVI and SAVI were extracted by using COMS GOCI and Terra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imageries. The 4,000 points using simple random sampling (SRS) method were randomly extracted from land areas except ocean to compare the vegetation indices from two images. The results of linear regression showe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RVI, NDVI, and SAVI between COMS GOCI and Terra MODIS were 0.66~0.82, 0.71~0.83, and 0.71~0.83, respectively. Especially,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RVI (r=0.85), NDVI (r=0.91) and SAVI (r=0.91) were strongly related from September 2011 to January 2012. Thus, COMS GOCI can be substituted for particular periods and it needs to verify additionally.

The Possibility of Drought Expression by Late March Dryness in Rice Paddy Areas Using Terra MODIS NDVI (Terra MODIS NDVI를 활용한 3월말 논지역 건조상태에 따른 가뭄표현 가능성 연구)

  • LEE, Ji-Wan;LEE, Yong-Gwa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3
    • /
    • pp.27-4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ossibility of future drought expression by late March dryness in rice paddy areas using Terra MODI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We tested the degree of dryness by comparing the 2000-2015 average NDVI with yearly NDVI, which we name DCI (Dry Condition Index). The 16-day interval DCIs from March 6 to May 25 were evaluated with spatio-temporal expression of South Korea. In particular, we find that the DCI for April 7 (March 23 to April 7) offered reasonable prediction of paddy dryness during drought years. The April 7 DCI value for dry conditions ranged from 0.04 to 0.08 while the DCI for normal conditions ranged from -0.04 to 0.01. The DCI can be one of the indicators used to evaluate the dryness of rice paddy areas at the beginning of the spring season.

Accuracy Assessment of Atmospheric Sounding Data from Terra/MODIS

  • Lee, Mi-Suk;Kim, Young-Seup;Kwon, Byung-Hyuk;Hong, Ki-Man;Park, Kyung-W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01-203
    • /
    • 2003
  • Two MODIS instruments on board the Terra and Aqua Satellites are operational for global remote sensing of the land, ocean and atmosphere. Atmospheric sounding data with a high spatial resolution from MODIS will provide a wealth of useful information. The vertical air temperature and moisture data were retrieved using the MODIS data, and compared with the radiosonde data obtain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re 0.99 and 0.89 for air temperature and moisture cases, respectively. Air temperature data were relatively good agreement, but the moisture data from MODIS were underestimated.

  • PDF

Visualization methods of Terra MODIS and GPM satellite orbits for Water Hazrd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수재해 정보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Terra MODIS, GPM 궤도의 시각화 방안)

  • PARK, Gwang-Ha;CHAE, Hyo-Sok;HWANG, Eui-Ho;LEE, J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8-318
    • /
    • 2016
  • 위성은 준 실시간으로 국토 전체의 관측과 미계측/비접근 지역의 관측도 가능하여 가뭄, 홍수 등 수재해와 관련된 분석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위성 기반의 수재해 모니터링 적용성에 대한 연구 또한 수행되고 있다. 위성에서 관측된 자료는 NASA, JAXA 등의 위성 관리 센터에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터넷으로 제공하고, 최근 K-water에서는 수자원분야의 위성활용을 위해 위성 자료 수집 시스템을 갖추어 Aqua/Terra MODIS, GPM, GCOM-W1 등의 위성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위성 자료는 5분~16일 등의 다양한 주기로 제공되고 있으며, 자료 타입, 측정 시간 등의 간단한 정보만 파일명으로 표시되어 위성의 위치(경위도) 및 해당 지점의 위성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위성 자료를 확인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으로 관측된 위성 자료의 시 공간적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영상과 함께 맵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위성 궤도의 시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위성 궤도의 시각화 방안으로 사용된 위성 자료는 Terra MODIS의 'MOD02SSH', GPM GMI 센서의 'GPROF' 자료 타입을 사용하였다. 'MOD02SSH'는 5분 동안 5km의 공간해상도로 측정한 자료가 1개의 파일이며, 'GPROF'는 5분 동안 4km의 공간해상도로 측정한다. 공전 주기의 검증을 위해 케플러의 제3법칙을 적용한 Terra 위성의 공전주기는 98.75분으로 계산되며, 위성 자료의 공전주기는 98.87분으로 나타난다. 검증 결과 약 0.12초의 오차가 발생하며, 정확한 위성 고도와 높은 해상도의 위성 자료를 통해 오차의 감소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시각화 된 동적 시계열 이미지는 시간에 따른 위성 궤도의 정보를 추출 할 수 있다. 이는 수재해 정보시스템의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 가능하고, 시간에 따른 위성 궤도 정보를 통하여 필요한 시간대의 위성 위치 정보, 해당 지점의 관측 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자료 수집을 위한 시간 단축이 가능하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를 위한 모니터링 수행 또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