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nsion infiltrometer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ension infiltrometer를 이용한 토양의 침투특성 분석

  • 하규철;전철민;김재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362-365
    • /
    • 2004
  • 토양오염의 확산과정중의 서로 다른 지질적 기반위에 놓인 토양에 대한 침투특성과 4단계 이상의 장력을 적용하여 침투율을 산정하였다. 장력과 침투율과는 지수함수로 비선형 회귀시켜서 산정하였으며, 단지 몇단계의 장력만으로 구하여진 값보다 더 많은 불포화대수리특성과 신뢰성있는 포화수리전도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구하여진 침투율은 토양분석결과를 비교했을 경우 점토함량이 적은 시료에서 적게나오는 경향이 있고, sand가 많은 토양의 경우 높게 산정되었다.

  • PDF

현장 토양 투수계수 측정: 방법 및 사례

  • 이진용;이명재;최예권;김용철;이강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88-190
    • /
    • 2001
  • This study presents procedures and analysis methods for well known two field soil permeability tests, disc-tension infiltrometer and Guelph permeameter. Some case tests are demonstrated and then some problems involving the tests were clarified. This study may be helpful for practical field hydrogeologists.

  • PDF

Seasonal Variations of Surface Soil Hydraulic and Pore Development Properties in Two Forested Watershed (산림유역의 지표면에서의 토양공극과 수리학적 특성의 계절적 변화)

  • Joo, Seung-Hyo;Kwak, Yong-Seok;Kim,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22
    • /
    • 2009
  • 계절에 따른 토양공극의 수리학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설마천 유역의 범륜사 독립사면과 광릉 원두부 소유역의 독립사면을 대상으로 장력침투실험을 실시하였다. 토양수분 확보에 신뢰를 받기위해서 TDR(Time Domain Reflectometry)및 현장에서 토양의 불포화 투수계수 측정이 가능한 장력침투계(Tension infiltrometer)를 이용하였다. 계절에 따른 자료수집을 위해서 2008년 3월 20일 부터 약 6주간격으로 10월 29일까지 5회에서 6회 토양수분 자료 및 토양장력침투 자료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포화 및 불포화 수리전도도, 대공극 유효흐름분율(macropore flow), 대공극 유효부피분율을(effective macroporosity) 나타내었다. 분기별로 자료분석 결과 계절별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수리전도도는 3월, 5월, 10월은 유사한 반면 6월과 7월 그리고 9월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여름철에 공극 발달이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행토양수분은 수리전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공극의 발달은 삼림과 같은 복잡 경관에서는 강우사상에 따른 토양수분의 공간 분포 및 이송, 유출과정이 물순환에 영향을 미친다. 지형분석을 통한 공극의 흐름특성과 토양수분 유의성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대공극 변화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식생과 그밖에 계절적으로 발달을 일으키는 요인을 모색 하였다. 본 연구는 계절에 따라 변하는 수리전도도를 기초로 하여 불포화대에서 토양공극의 수리학적 변화와 시공간적으로 침투흐름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보여준다.

  • PDF

Groundwater Hydrological System in the Seokdae Waste Landfill, Pusan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지 및 그 주변의 지하수 수리시스템 분석)

  • 김윤영;이강근;정상용;권해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4 no.4
    • /
    • pp.191-198
    • /
    • 1997
  • The Seokdae municipal waste landfill was filled from 1987 to 1993. A disk tension infiltrometer was used to estimate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upper part of landfill cover. The estimate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ranges from 2.2$\times$$10^{-4}$~8.1$\times$$10^{-3}$ cm/sec. Net infiltration through the Seokdae municipal waste landfill is estimated from precipitation data, hydraulic conductivity and reported landfill profiles by using an unsaturated flow model, HYDRUS. Total infiltration rate is estimated to be 939 ㎥/day. Leachate level rise and leachate seepage are computed by adopting a simple model.

  • PDF

Permeability Coefficient of Unsaturated Soil in Steep Slope Failure Area (붕괴가 발생한 급경사지의 현장 투수계수)

  • Choi, Eun-Kyeong;Kim, Sung-Wook;Park, Dug-Keun;Oh, Jeong-R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3a
    • /
    • pp.921-926
    • /
    • 2010
  • To examine saturation characteristics of an unsaturated soil in the steep slope area with collapse, it separated dry season from rainy season and measured water content and permeability, and measured permeability by using a tension infiltrometer in the site. In addition, it conducte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o look into thickness of ground and geological structure of underground. The collapsed slope increased depth of weathered zone compared to upper slope, and there electrical resistivity anomalous zone caused by the filtrated underground water was observed. The permeability of the collapsed area was observed high compared to upper and lower slopes of retarding basin without collapse, and the permeability measured by dividing the dry season and rainy season was measured high in case of dry season.

  • PDF

Comparison of Disk Tension Infiltrometer and van Genuchten-Mualem Model on Estimation of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장력 침투계(Disk Tension Infiltrometer)와 van Genuchten-Mualem 모형 적용에 따른 불포화수리 전도도의 비교 해석)

  • Hur, Seung-Oh;Jung, Kang-Ho;Park, Chan-Won;Ha, Sang-Keun;Kim, Geong-Gy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9 no.5
    • /
    • pp.259-267
    • /
    • 2006
  • Hydraulic conductivity is the rate of water flux on hydraulic gradient. The van Genuchten Mualem (VGM) model is frequently used for describing unsaturated state of soils, that is composed with the function of soil water potential and soil water content and requests various parameters. This study is to get the value of VGM parameters used Rosetta computer program based on neural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o calculate VGM parameters. VGM parameters included Ko(effectiv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theta}r$(residual soil water content), ${\theta}s$(saturated soil water content), L, n and m. The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t 10 kPa was calculated by using Rosetta program.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ies of 17 soil series at 1, 3, 5, 7 kPa were also obtained by applying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by disk tension infiltrometer based on Gardner and Wooding's equation. Water flow at the water potential of 3 kPa was very low except Namgye, Hagog, Baegsan, Sangju, Seogcheon, Yesan soil series.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t 1 kPa showed the highest value for Samgag soil series and was in order of Yesan, Hwabong, Hagog and Baegsan soil series. Those of Gacheon, Seocheon and Ugog soil series were very low. When the value by VGM was compared with the value by disc tension infiltrometer, there was a tendency with exponential function to soils without gravel but there was no tendency to soils including gravel. Conclusively, it would be limited that VGM model for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alysis applies to Korean agricultural land including gravel and having steep slope, shallow soil depth.

Estimation of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by Tension Infiltrometer (Tension Infiltrometer를 이용한 불포화수리전도도의 추정)

  • Hur, Seung-Oh;Jung, Kang-Ho;Ha, Sang-Keon;Kim, J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0-188
    • /
    • 2006
  • 수리 전도도는 hydraulic gradient에 대한 flux의 비율 또는, flux-hydraulic gradient 직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며, 포화된 토양에서의 물의 이동이 포화수리 전도도이고 불포화된 토양에서의 이동이 불포화수리전도도이다. 일반적인 밭 상태에서의 토양수분 조건은 불포화수리 전도도로 표시하는 것이 적절하나 그 상태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토양의 불포화 상태를 나타내는데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VGM(van Genuchten Mualem) 모형은 토양수분 포텐셜과 수분함량의 함수로 구성된 모형이며 몇 가지 매개변수가 필요하다. VGM 모형의 매개변수를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VGM 모형의 매개변수를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인 Rosetta를 사용하였다. Rosetta 모형은 신경그물 얼개(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토양의 물리적 자료들인 토성이나 모래, 미사, 점토 함량 또는 용적밀도나 33kPa, 1500kPa에서의 토양수분 함량 자료를 가지고 VGM의 매개변수인 Ko(effectiv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theta}r$(residual soil water content), ${\theta}s$(saturated soil water content), L, n, m(=1-1/n)을 예측하는 모형으로 미국 농무성(USDA-ARS)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Rosetta를 이용하여 10kPa에서의 불포화수리 전도도를 예측하였다. 또한 Gardner(1958)와 Wooding (1968)의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tension infiltrometer의 포화수리 전도도 값을 Gardner 식에 적용하여 1, 3, 5, 7kPa에서의 불포화수리 전도도 값을 17개 토양통을 대상으로 하여 구했다. 토양수분 potential이 3kPa에서는 물의 이동이 거의 없는 토양들이 있었는데 반해 남계통을 비롯한 학곡통, 회곡통, 백산통, 상주통, 석천통, 예산통 등 7개의 토양은 3kPa에서도 약간의 물의 이동이 있었다. 이는 모암이 화강 편마암인 관계로 토양 내에 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갈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고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내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1kPa에서 물의 이동은 삼각통에서 35.21 cm/day로 이동 속도가 가장 컸으며 그 뒤로 예산통, 화봉통, 학곡통, 백산통 등이 토양에서 빠른 속도로 이동하였다. 가천통이나 석천통 및 우곡통은 1kPa에서의 이동 속도가 아주 느린 토양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포화되지 않은 상태인 1kPa에서 물의 이동 속도를 VGM 모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측정된 값으로 비교하였을 때 불포화 수리 전도도가 예측되지 않은 토양(석천통, 지곡통, 풍천통)이 존재하여 불포화 수리 전도도 특성평가에 대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문제를 보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논이라는 영농형태가 존재하는 우리나라에서 토양의 수리적 특성해석을 위한 VGM 모형의 적용성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pore Flow Percentage and Macroporosities in the Gwangneung Forest Catchment (광릉 산림 소유역에서의 대공극흐름율과 유효대공극부피분율의 공간 분포)

  • Gwak, Yong-Seok;Kim, Su-Jin;Kim, Joon;Lim, Jong-Hwan;Kim, Sang-Hyu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9 no.4
    • /
    • pp.234-246
    • /
    • 2007
  • The role of macropore in the hydrological processes is important at the hillslope scale. Developments and distribution of macropore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conjun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llslope such as topography, soil property, and soil moisture. In this study, macropore properties, such as macropore flow and saturation hydraulic conductivity were measured at a hillslope located in Gwangneung Research Forest, Pochun-gun, Gyeonggi-do, South Korea. An intensive field survey provided a refined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or surface and subsurface topography. Spatial distributions of upslope area and topographic index were obtained through the digital terrain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monitoring points was 22, and the selected points were distributed along the transect of the digital contour map. Vertical fluxes through macropores were measured using a tension infiltrometer at the depth of 0.1 m from the surfac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soil moisture were obtained using an on-line measurement system, TRASE, installed in the study area. Soil moisture for the aforementioned points was measured at 0.1 and 0.3m depths below the surface. The results from tension infiltrometer experiments present that the macropore flows ranged between 21 and 94%, and the measured macroporosities varied from 1.4 to 47%. Macropore flows and macroporosities tended to increase as the measurement location moved to downslope. The ability for water conduction through macropores becomes increasingly developed as the location approaches the outlet of the hillslope.

임기광산 폐석적치장의 수리침투특성 분석

  • 지상우;정영욱;임길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394-398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lan the prevention of the generation and discharge of acid mine drainage (AMD). Hydraulic characteristics were tested with the disk tension infiltrometer around the waste rock dump of the Imgi abandoned pyrophyllite mine in Busan, Korea. Because the waste rock dump of the Imgi mine have very low infiltration rate, most of rain was expected flowing into adjoined stream through the slope or plane as surface flow rather then throughflow or ground water. But slopes of the waste rock dump have many 'V' type erosion gullies and consist multi-layers. These gullies and multi-layers have coarse clastic particle layer which have very large hydraulic conductivity. So through these coarse clastic particle layers a large part of rain flow into ground. And also these layers could be played a function of aeration path, which induced oxidation of sulfide minerals and generation of AMD continuously.tinuously.

  • PDF

난지도 매립지의 침출수와 가스 거동에 관한 수리 지질학적 해석

  • 김윤영;이강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6.11a
    • /
    • pp.102-105
    • /
    • 1996
  • 난지도 매립지는 매립충의 불균질성과 고온의 침출수 및 가스의 흐름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현상 때문에 수리지질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지역이다. 난지도의 수문층서단위 조사와 디스크-장력 침투계(Disc tension Infiltrometer)로 불포화대 수리 특성을 추정하였으며 가스 거동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지온을 측정하였다. 매립지 주변의 지하수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양수정과 다중-수위관측정(Multi-Level Monitoring Well)에서 수위변화를 관측하였다. 불포화대 수리특성과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매립지로의 순침투량을 추정하였다. 이것을 근거로 총 침출수 발생량을 추정하였으며, 기저 지하수면 상부에 분포하는 포화 침출수대, 즉 부유침출수의 생성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