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nsile properties

검색결과 5,792건 처리시간 0.034초

소각장애시의 치환에 따른 고로슬래그 미분말 다량치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특성 (Properties of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Concrete using Recycled Aggregate with Incineration Waste Ash)

  • 한천구;이향재;김준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07-113
    • /
    • 2013
  • 연구에서는 문제시 되는 순환자원의 종류를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연구이다. 즉, 고로슬래그 미분말(BS)의 잠재 수경성반응을 순환 잔 굵은 골재의 알칼리로 반응시키고, 부족분의 알칼리를 보통포틀랜드 시멘트(OPC)로 해결하면서 소석회 처리된 소각장애시(WA)의 치환율을 실험변수로하여 최적치를 구하고자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WA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유동성과 공기량은 약간 저하하고, 염화물량은 증가하여 불리하였지만 압축 및 인장강도가 1% 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어 폐기물 유효처리 관점까지도 고려하면 WA 1% 혼합이 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순모래 사용에 따른 원전 구조물용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for Nuclear Power Plant Using Crushed Sand)

  • 박성학;김경환;최병걸;최연왕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68-17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원전 구조물용 콘크리트의 잔골재로 부순모래를 사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존의 부순모래 생산공정에서 임팩트크러셔(Impact crusher)의 성능(회전수)을 높여 입형을 개선하고 ASTM C 33에 적합하도록 입도를 조정한 부순모래의 입형 및 입도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강모래에 대한 치환률에 따라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콘크리트 배합 특성, 굳지 않은 콘크리트 특성 및 경화한 콘크리트 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대부분의 콘크리트 특성이 강모래만을 사용한 콘크리트와 동등한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강모래에 대한 치환률 50% 이상일 경우, 치환률 증가에 따라 허용 범위 내에서 공기량,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는 다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까시 꽃 추출물을 첨가한 성게 껍질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Sea Urchin Skeleton Film Containing Robinia pseudoacacia Flower Extract)

  • 양현주;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78-7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는 성게 껍질을 이용한 생분해성 필름소재를 개발하고자 gelatin을 첨가한 복합필름 및 항산화,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아까시 꽃 추출물(RFE)을 첨가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gelatin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성게 껍질 필름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고 신장률이 감소하였으며, 성게 껍질과 gelatin을 8:2 비율로 첨가하였을 때 최적의 물성을 보였다. 또한, 필름에 RFE를 첨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감소하였으나 신장률과 필름 투습도는 증가하였다. RFE 함유 성게 껍질 필름의 ABTS,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과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균 능력을 측정하였는데, RF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항균 능력이 향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RFE를 첨가한 생분해 성게 껍질 필름은 적절한 물성과 함께 항산화, 항균 능력이 있기에 가공식품의 저장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능성 포장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액상가압성형 공정을 이용한 SiC 연속섬유 강화 마그네슘 복합재료 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SiC Fiber Reinforced Magnesium Composites Using Liquid Pressing Process)

  • 조승찬;이동현;이영환;신상민;고성민;김정환;김양도;이상관;이상복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5호
    • /
    • pp.247-25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액상가압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SiC 연속섬유가 강화된 마그네슘 복합재료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액상가압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SiC 섬유가 균일 분산된 AZ91 복합재료를 제조하였으며 열처리를 통하여 석출상을 제어하였다. SiC 섬유와 기지합금의 계면에 연속적인 Mg2Si상이 형성되면서 계면 결합력이 향상되었고, 제조된 복합재료의 상온 인장강도는 479 MPa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저 융점 바인더 복합화 및 압착공정을 통한 고강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 개발 (Development of High-strength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heet Through Low Melting Point Binder Compounding and Compression Process)

  • 문재정;박옥경;김남훈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5호
    • /
    • pp.282-28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저 융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Low melting PET fiber: LMF)가 복합화된 PET 시트의 고밀도화 공정을 통해 고강도 PET 시트를 제조하였다. 복합화된 LMF는 열처리 과정에서 용융되어 개개의 PET 섬유를 연결해 섬유간의 계면결합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PET시트의 고밀도화는 거대기공밀도를 감소시키고 중첩된 PET 네트워크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압축 전 LMF-PET 시트와 비교하여 연신율은 유지하면서 약 410% 향상된 인장강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강화된 결합력은 PET 섬유 네트워크의 수축을 방지하여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화강암의 이방성에 따른 물리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nisotropy of Granite)

  • 박윤석;강추원
    • 화약ㆍ발파
    • /
    • 제21권4호
    • /
    • pp.23-3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남원지역 화강암을 대상으로 각 방향에 따른 물성간의 상관관계와 역학적 이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화강암의 수평, 수직축의 방향별 물성치는 일축압축강도 및 압열인장강도와 선형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수직방향은 나머지 두 수평방향 보다 약 10∼15%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속도 차이의 원인은 주로 암석 내에 존재하는 미세균열의 발달형태에 따르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현미경관찰 결과와 매우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점하중시험에 의한 점하중강도지수(Is(50)) 측정결과, 화강암의 경우 일축압축강도와 점하중강도지수의 비는 18∼20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축압축강도와 점하중강도지수. 슈미트해머 반발치. 압열인장강도와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중 점하중강도지수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점하중 강도지수가 일축압축강도를 추정하는데 가장 유효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온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파라 아라미드 섬유의 표면 개질 효과 및 역학적 특성(2) (Surface Modification Effect and Mechanical Property of para-aramid Fiber by Low-temperature Plasma Treatment)

  • 박성민;손현식;심지현;김주용;김태경;배진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26
    • /
    • 2015
  • para-aramid fibers were treated by atmosphere air plasma to improve the interfacial adhesion. The wettability of plasma-treated aramid fiber was observed by means of dynamic contact angle surface free energy measurement. Surface roughness were investigated with the help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The tensile test of aramid fiber roving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plasma surface treatmen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bers. A pull-out force test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interfacial adhesion effect with matrix material. It was found that surface modification and a chemical component ratio of the aramid fibers improved wettability and adhesion characterization. After oxygen plasma, it was indicated that modified the surface roughness of aramid fiber increased mechanical interlocking between the fiber surface and vinylester resin. Consequently the oxygen plasma treatment is able to improve fiber-matrix adhesion through excited functional group and etching effect on fiber surface.

광·열경화형 수지를 이용한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의 물리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CF Laminated Prepreg with UV-thermal Dual Curable Epoxy Resin)

  • 심지현;김지혜;박성민;구광회;장기욱;배진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4
    • /
    • 2017
  • An issue of major concern in the utilization of laminated composites based epoxy resin i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delaminations or interlaminar cracks, which may be related to manufacturing defects or are induced in service by low-velocity impacts. A strong interfacial filament/brittle epoxy resin bonding can, however, be combined with the high fracture toughness of weak interfacial bonding, when the filaments are arranged to have alternate sections of shear stress. To improve this drawback of the epoxy resin, UV-thermal dual curable resin were developed. This paper presents UV-thermal dual curable resin which were prepared using epoxy acrylate oligomer, photoinitiators, a thermal-curing agent and thermoset epoxy resin. The UV curing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UV-thermal dual curable epoxy resin were investigated using Photo-DSC, DMA and FTIR-ATR spectroscopy.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UV-thermal dual curable epoxy resin impregnated CF prepreg by UV curable resin content were measured with Tensile, Flextural, ILSS and Sharpy impact test.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UV curable resin content improves the epoxy toughness.

미더덕껍질과 천연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The Preparation of Mask-pack Sheet Blended with Styela clava tunics and Natural Polymer)

  • 윤우빈;이예찬;김다솜;김지은;성지은;이현아;손홍주;황대연;정영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5-54
    • /
    • 2017
  • Ultraviolet radiation have much influenced with a deep wrinkles, roughness, laxity of skin damage and pigmentation through oxidative stress and oxidative photo-dam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hydrogel facial mask sheets made from agar, Styela clava tunics and Broussonetia papyrifera tunics. The skin of S. clava is covered with a hard cellulose containing glycoprotein, glycosaminoglycan and chondroitin sulfate. B. papyrifera is better known as Paper mulberry. It contains kazinol which serves as a tyrosinase inhibitor and skin whitening agent. The tensile strength of facial mask sheet was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the water absorption and moisture permeability of facial mask sheet were measured by dryer. Additionally, the DPPH assay and MTT assay were conducted for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acial mask sheet. The whitening effect of the facial mask sheet was measured by tyrosinase inhibitor assay. These tests showed that the three ingredients are suitable cosmetic materials. The results reveal that they produce a high quality hydrogel facial mask sheet when the membrane contains 1%(W/V) of agar, 0.1%(W/V) of B. papyrifera tunics and 0.05%(W/V) of S. clava tunics.

ABS 중에 첨가된 저분자 화합물의 파단 거동에 미치는 영향 (Fracture Behaviour of Lubricants in ABS Terpolymer)

  • 돈윤승;심미자;김상욱
    • 공업화학
    • /
    • 제5권5호
    • /
    • pp.878-888
    • /
    • 1994
  • ABS 수지의 파단 거동을 살펴 보기 위해 rubber content, molecular weight, lubricant의 종류 및 양과 파단 speed, 주위 환경온도를 변수로 측정한 후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그 파단면을 살펴 보았다. Tension하에서 rubber content와 lubricant content는 감소할수록, molecular weight와 tension speed는 증가할수록 strength는 증가하였으며, 파단면은 rubber content, speed, molecular weight는 감소할수록, liquid lubricant를 사용할수록 파단부위 주변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파단면도 수지가 서로 미끄러져 파단되는 상태가 아닌 상분리와 같은 형상으로 분리파단되었다. Impact하에서 rubber content, molecular weight, 주위 환경온도, lubricant content가 증가할수록 strength도 증가하였으며, 파단면은 사진상의 파단표면적이 작은 것이 높은 strength를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