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ndon sheath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5초

수부 굴곡건에 발생한 결핵성건초염 (Tuberculous Tenosynovitis of Flexor Tendon of the Hand)

  • 민희준;정윤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708-711
    • /
    • 2010
  • Purpose: The sheath of tendon is uncommon site of tuberculous involvement as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body. Especially, tuberculous tenosynovitis affecting flexor tendon of the hand is a rare condition. In recent years, furthermore, the incidence of tuberculosis is increasing in our country. Tuberculous tenosynovitis is a chronic, slowly destructive disease, which is difficult to diagnosis before operation, but can be definitively diagnosed by the pathologic microscopic examination. Early detection and surgical excision combined with antituberculous medication is important. We report a rare case of tuberculous tenosynovitis of the flexor tendon of the hand. Method: A 12-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painless, nontender mass on palmar side between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and proximal area of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e left third finger. We had surgical excision of the involved flexor tendon sheath and studied histopathologically. Result: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with caseating necrosis consistent with tuberculosis. We started antituberculous medication. Conclusion: Tuberculous tenosynovitis is a rare condition, especially involving on the flexor tendon of the hand. But because of increasing tendency of tuberculosis,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tumors of the hand.

장무지굴근 기능장애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MR Findings of Flexor Hallucis Longus Dysfunction)

  • 김지은;최혜영;최호철;이경규;전경녀;신태범;나재범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2호
    • /
    • pp.148-152
    • /
    • 2008
  • 목적 : 장무지굴근 기능장애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알아보고, 이 질환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수술로 확진된 40명의 장무지굴근 기능장애 환자 중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22명, 총 24예(2명은 양측성)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장무지굴근과 장무지굴근 건의 신호강도, 장무지굴근 건초와 건초 삼출액, 발목의 골병변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비특이적인 장무지굴근 건초 삼출액의 증가가 12예(50%)에서 나타났으며 다량의 건초 삼출액은 5예(21%)에서 관찰되었다. 장무지굴근 건은 모든 환자에서 정상적으로 관찰되었고, 1예(4%)에서 장무지굴근의 근건 접합부위 상방에 고신호 강도가 관찰되었으며, 거골의 골부종과 거골의 박리성골연골염이 각각 1예(4%)에서 나타났다. 결론 : 장무지굴근 기능장애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비특이적 장무지굴근 건초 삼출액의 증가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무지굴근 기능장애의 진단에 자기공명영상은 제한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내측 발목통증을 유발하는 건이나 골질환을 배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견관절에 발생한 활액막 연골종증의 관절경적 치료에서 소절개를 이용한 상완 이두건 건초 병변의 병행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Synovial Chondromatosis of the Shoulder Joint with Mini-open Procedure for the Lesions of Biceps Tendon Sheath)

  • 조기현;오주한;최정아;정진행;공현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9-73
    • /
    • 2008
  • 활액막 연골종증은 흔하지 않은 질환으로 견관절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15세 여자 환자가 견관절 통증을 호소하여, 단순 방사선 검사 및 MRI 검사로 활액막 연골종증으로 진단하였고, 병변이 견관절뿐만 아니라 상완 이두건 건초 내로 침범 되었다. 저자들은 견관절 병변은 관절경 시술로, 그리고 상완 이두건 건초 내 병변에 대해서는 소절개를 통한 유리체 제거 및 활액막 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비록 견관절경 시술이 적은 합병증 및 우수한 수술 시야를 제공하지만, 관절경 시술로는 이두 구내의 활액막과 건초 병변에 대한 완벽한 치료는 매우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이두 구까지 침범된 견관절에 발생한 활액막 연골종증의 완벽한 치료를 위해, 관절경적 활액막 전 절제술 및 유리체 제거술과 더불어 상완 이두건 건초의 소절개를 통한 병소의 완전 제거가 필요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견관절에 발생한 관절내 건초 섬유종 - 증례 보고 - (Intra-articular Fibroma of the Tendon Sheath in the Shoulder - A Case Report -)

  • 조수현;이춘기;조형래;황태혁;박종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6-279
    • /
    • 2009
  • 건초 섬유종은 수부나 상지에서 발생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관절내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대부분 천천히 자라는 섬유성 결절 조직으로 조직학적으로는 산재한 섬유모세포및 치밀한 기질과 미세 혈관세포들로 구성된다. 저자들은 54세 남자환자의 관절와 상완 관절 후상방 관절막에서 기시한 건초 섬유종을 경험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에서 저 강도 신호의 결절성 종물로 관찰되었으며 관절경하에서 절제하여 조직검사로 확진하였다. 관절내 건초 섬유종은 견관절 관절경 시술시 관절 내에서 관찰될 수 있는 종양의 하나로 감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있는 술식으로 전방십자인대 수술시 좋은 치료 선택의 하나로 사료된다.

  • PDF

족부에 발생한 건막 거대 세포종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n the Foot)

  • 서진수;주석규;정현욱;이우천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1-67
    • /
    • 2003
  • Purpose: We evaluate the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features of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GCTTS) in the foot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cases of GCTTS excised from foot region, at our hospital from 1999 to 2002, were analyzed. The mean duration of follow up was 19 months. The age and sex of the patient, location and size of the lesion, symptom as well as radiologic findings were evaluated.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 was painless mass in 7 patients. Three patients had pain sympton and 2 patients had tenderness. The mean duration from identification of the mass to excision was 14 months. Seven cases were located in the forefoot, most commonly in the big toe with 4 cases, 2 cases in the midfoot and 3 cases in the hindfoot. The average diameter along the long axis was 2.8cm. Conclusion: GCTTS in the foot was more common in the big toe and also plantar side same as in the hand. But bony erosion and pain were more frequent than in the hand.

  • PDF

건초거대세포종의 압착도말 및 세포흡인 세포소견 - 1예 보고 - (Touch Imprint an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 A Case Report -)

  • 이종임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4
    • /
    • 2008
  • Giant cell tumor of the tendon sheath (GCTTS) is a slowly growing, benign soft tissue tumor. The tumors occur predominantly on the hands and feet. Although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are well-defined, only a few reports have described the cytologic appearance of this entity. A 26-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gradually developing circumscribed soft tissue mass near the proximal phalanx of her left little finger for one year. Imprint and fine needle aspiration (FNA) smears were obtained from the excisional biopsy specimen. The imprint smears were composed of predominantly singly dispersed bland mononuclear cells and several giant cells. The mononuclear cells were polygonal to round, and they showed a histiocyte-like appearance. Osteoclast-type multinucleated giant cells of various sizes were randomly scattered throughout the smears, and these cells contained 3 to 50 nuclei. Nuclear atypia and pleomorphism were absent in both the single and giant cells. Loose aggregates of hemosiderin-laden macrophages and binuclear stromal cells were also seen. The cytologic features of the FNA smears were similar with those of the imprint, Additionally, the FNA smears contained several clumps of densely collagenous stromal tissue that were seldom noted in previously reported cytologic material. The cytologic features were well-correlated with the concurrent histologic findings and the diagnosis of GCTTS was made. When the clinical and radiologic datas are integrated, the diagnosis of GCTTS can be strongly suggested, based on the pre-operative cytologic specimen.

양측 손목의 힘줄에 생긴 미만형의 건활막거대세포종 (Diffuse-Type Tenosynovial Giant Cell Tumor of the Tendon Sheath in Both Wrists)

  • 허선아;박선영;서진원;고성혜;이인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50-254
    • /
    • 2021
  • 건활막거대세포종은 이전에 색소성융모결절성 활막염으로 불리던 질환으로, 활막, 점액낭, 힘줄 등에 생기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미만형의 건활막거대세포종은 국소형에 비해 드물고 그중에서도 관절 외에 발생하는 것은 더 드물다. 또한 대부분은 하나의 관절을 침범하기 때문에 양측을 대칭적으로 침범한 것도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64세 여자 환자에서 양측 손목의 신전건과 굴곡건을 모두 침범한 관절 외 미만형의 건활막거대세포종의 증례에 대해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검사 소견을 중심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건수초섬유종에 의해 유발된 손목터널증후군: 비전형적인 임상 소견에 대한 증례 보고 (A Fibroma of Tendon Sheath Causing Carpal Tunnel Syndrome: A Case Report of an Atypical Clinical Presentation)

  • 고아라;이근영;김수진;이재성;황혜원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600-1605
    • /
    • 2021
  • 힘줄의 섬유종은 천천히 자라는 양성 종양이다. 드물지만, 상지에 생길 수 있고 특히 손가락 굽힘 힘줄에 잘 생긴다. 섬유종은 대부분 경계가 좋은 원형 혹은 타원형의 종괴로 보이며, 풍부한 섬유조직에 의해 자기공명영상의 모든 영상에서 어둡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섬유종은 무증상의 종괴로서 나타나지만, 드물게 증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우리는 손목의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해 손목터널증후군을 유발하는 힘줄의 섬유종과, 그와 관련된 영상 소견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Separated muscle belly of the flexor digitorum brevis for the fifth toe: a case report

  • Hyun Jin Park;Jae Wook Baeg;Mi-Sun Hur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6권3호
    • /
    • pp.401-403
    • /
    • 2023
  •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variation of the flexor digitorum brevis (FDB) with a separated muscle belly and tendon at the fifth toe. The narrow tendon and muscle belly for the fifth toe arose from the intermuscular septum between the FDB and abductor digiti minimi adjacent to the arising fibers of the FDB, separating from its other fibers. The tendon and muscle belly for the fifth toe became wider at the base of the metatarsal bones and narrower as it coursed toward the toes in a fusiform shape. The tendon and muscle belly for the fifth toe became thin at the midfoot and coursed just beneath the flexor digitorum longus tendon and entered the digital tendinous sheath. FDB variations including that described herein should be considered when performing various surgical procedures and evaluating the biomechanics of the foot.

장 족지 굴건 막의 결절종과 내측 족저 신경의 다병소성 점액성 변성을 동반한 족근 관 증후군 -1예 보고- (Ganglion of Flexor Digitorum Longus Tendon Sheath and Multifocal Myxoid Degeneration of Medial Plantar Nerve Producing Tarsal Tunnel Syndrome - A Case Report -)

  • 정화재;신헌규;강동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3-215
    • /
    • 2005
  • Tarsal tunnel syndrome caused by space occupying lesion is unusual but it rarely occur by ganglion which is presented below the flexor retinaculum due to compression neuropathy of posterior tibial nerve and its branches. The object of the current study is to report our experience of surgical treatment about tarsal tunnel syndrome caused by the ganglion of flexor digitorum longus tendon sheath and multifocal myxoid degeneration of medial plantar nerv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