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ry Shelte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수치해석을 이용한 임시대피소 내 공기감염확산 저감장치의 성능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Airborn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Germicidal Systems in a Temporary Shelter)

  • 박정연;성민기;이재욱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7-15
    • /
    • 2015
  • Purpose : When natural disaster occurs, the victims are evacuated to temporary shelters such as indoor gymnasiums or large space buildings until their homes are recovered. If someone in this temporary shelter is infected with an airborne infectious disease, it becomes easier for the disease to spread to the other people in the shelter than it would be under normal conditions. Therefore, temporary shelters need to provide not only water and food but also hygienic indoor conditions. Methods : In this study, the use of mechanical systems such as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UVGI) systems and air cleaners were simulated using numerical analysis to find out how these systems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in temporary shelters. An indoor gymnasium was selected as a temporary shelter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model considering Korea's post-disaster response system. Influenza A virus was assumed as an airborne infectious disease and the diffusion of the virus was made by one person in the shelter.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UVGI systems disinfected the virus more effectively than the air cleaners by creating a more stable airflow after the disinfection process. The air cleaners could remove the virus but since it created an unstable airflow in the temporary shelter, the virus was condensed to a certain area to show a higher virus concentration level than the source location. Implications : In the temporary shelter, it is necessary to use UVGI systems or air cleaners for hygienic indoor conditions.

거주성 관점의 미국 이재민 임시대피시설 공간계획 관련 지침분석 (Analysis of the Space Planning Guidance about the Temporary Shelter Emphasizing Habitability for Disaster Victims in U.S.)

  • 김미경;최선미;최유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42-5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temporary shelter space planning guidance described in the U.S. shelter guidelines in terms of the habitability for disaster victims and to address the implications and potential impacts of its finding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helter design standards and guidelines in Korea. The researchers reviewed four feder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shelter field and design guidelines and attributes regarding the shelter space planning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four habitability categories: Safety, Health, Convenience, and Comfort. Three major findings emerged from this study: 1)A total of 72 items about the shelter space planning were extracted from guidelines, and the majority of items are concerned with dormitory areas and sanitary spaces. Other items were about accessibility, children respite care area, signage, health service areas, food preparation and serving areas, parking and drop-off areas, registration and waiting areas, shelter manager and staff areas, lounge and storage areas, and household pets area. 2)Most of these items are strongly related to the convenience category(66.7%), followed by comfort(40.3%), safety(30.6%), and health(25.0%). 3)The habitability of the disaster temporary shelter can be established with considerations on the needs of disaster victims and vulnerable people, minimum occupancy space per person, separate sanitary spaces for the privacy, safe and convenient access routes to the shelter, and the provision of children areas for safety and comfort. The study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isaster shelter guidelines in Korea by suggesting shelter space planning indicators related to the habitability for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mmediate and systematic responses to the disaster.

원전 사고지역에서 실내대피를 위한 임시대피시설의 거주성 확보방안 (Measures to Secure the Habitability of Temporary Shelter for Shelter in Place in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 김정동;은종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82-596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원전사고 발생 시 임시 대피시설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체르노빌, 후쿠시마, 쓰리마일섬(TMI) 원전사고에 대한 사례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방사선 비상 대응 계획은 소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내대피 개념은 단순히 주민 대피를 지원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례연구를 통해 INES-5 이상의 사고의 경우, 소개보다 실내대피를 장려하는 것이 사상자 최소화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더 나은 실내대피를 보장하기 위해 아파트를 임시 대피소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며, 아파트가 방사선 방호 기술을 갖추도록 개선사항을 제안한다. 결론: 더 나은 실내대피를 보장하기 위해 아파트를 임시 대피소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며, 차폐, 양압, 밀폐기술을 이용해서 아파트의 성능을 보완하고자 한다.

사용자의 거주성을 고려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현황 분석과 계획적 시사점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 for the Planning of Emergency Shelter Considering Users' Habitability)

  • 김미경;김은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23-31
    • /
    • 2016
  •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existing problems and suggests the implication for the planning of emergency shelter in terms of users' habit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concept of shelters for disaster victims need to set up and be distinctively defined as emergency phase and temporary residency phase. In emergency phase, the various types of buildings and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temporary shelters for disaster victims such as transitional shelters including the public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ritical review, this research proposed an analytic framework emphasizing habitability for disaster victims including vulnerable people such as the disabled, the aged, women and children. The framework is composed of four dimensions: safety, health, convenience and comfortability. The manual guidelines for emergency shelters should reflect the barrier-free design or universal design for various types of disaster victims considering habitability to provide the positive opportunity and future hope for restoration after disaster. This research can be a basis for the planning and application of temporary shelters for disaster victims.

재난·재해 시 이재민을 위한 이동형 에너지 셜터하우스 (MeSH) 계획 -실내 온열환경 성능을 중심으로- (Mobile Energy Shelter House(MeSH) for victims when a disaster occurs - Focused on Indoor Thermal Environmental Performance -)

  • 신화연;김정국;김종훈;정학근;장철용;홍원화
    • KIEAE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75-80
    • /
    • 2014
  • Development of temporary housing for victims whose house damaged is required. In this study is to plan temporary house space 'Mobile Energy Shelter House ; MeSH' that can be inhabited for a long time. And measure the indoor Environmental performance. 'Mobile Energy Shelter House : MeSH' was made by reflecting Passive Design, Universal Design. Also, thermal insulation that meets the 'Korea standard insulation' for use low energy. Winter season, measuring temperature, humidity, air velocity and radiation temperature when floor heating that temperature controllers ware installed is used. Confirmed the data for the 8:00pm to 8:00am because evening hours are expected as residents live. Average outdoor temperature was $-11.3^{\circ}C$ and Indoor temperature was from $16.09^{\circ}C$ to $20.63^{\circ}C$. Calculated the TDRi of the window surface for checked condensation risk. TDRi value was 0.185. Furthermore, PMV value was -0.08 to -0.85. It was satisfied to ISO comfort criterion ranged.

방재디자인기반 구호소 가변식 에어매트 개발 (Development of Variable Air Mattresses for Shelter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Design)

  • 노황우;정용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80-87
    • /
    • 2022
  • 국내에서 이재민과 재해가 예상되는 일시 대피자에게 제공되는 재해구호용품 중 대부분이 임시주거시설인 구호소 환경에 맞지 않고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기능이나, 크기,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재해구호용품 중 구호소 매트리스의 사용환경에 대한 문제점 제시를 통해 사용자 Need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방재디자인 기반 구호소 가변식 에어매트리스를 개발하였다. 사용성, 편의성, 내구성 등에 객관성을 확보하기에는 연구 데이터의 한계점이 있지만 기존 섬유 매트의 대량 보급의 어려움과 발포플라스틱 계열 매트의 기능적 단점을 가변형 에어 매트리스로 해결하였다. 개발된 가변형 에어매트리스는 이재민과 일시대피자가 장기간 구호소 생활시 생길 수 있는 육체피로, 질병 악화, 수면부족 등에 도움을 주고 생활안정을 도모하여 재활의지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비상대피시설의 거주 공간 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ystem Improvement for the Utilization of Residential Spaces of the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in Responding to War)

  • 김유진;황은경;함은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78-86
    • /
    • 2013
  • 몇 년전 발생 한 천안함 피격 및 연평도 포격사건부터 최근 북한의 핵실험까지 남북한 전쟁에 대한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쟁이 발발하였을 경우 국민들이 일정기간 동안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는 임시거주 공간 확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소방방재청의 재해구호계획 수립지침에서는 자연재해에 대비한 임시거주 공간에 대한 기준은 있으나, 전쟁에 대응한 임시거주 공간에 대한 기준은 없는 상황이다. 특히, 대규모 이재민을 수용할 수 있는 지하 임시거주 공간에 대한 기준 마련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쟁 이재민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도 분석 및 재해 관련 법령 간 비교 분석을 통해 전쟁 대응 임시거주 시설 활용을 위한 관현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해 설정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Children's Shelter in Korea using DEA Analysis Method

  • Jeong, Seong-Bae;Joo, Mi-y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207-217
    • /
    • 2020
  • 본 연구는 DEA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 아동복지시설의 효율성을 분석한 후 한국 아동복지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정책 제안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는 종사자수, 시설수, 정원수로 하였고, 산출 변수는 현원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CCR분석 결과 효율적인 시설은 양육시설, 보호치료시설, 자립지원시설로 나타났고, 비효율적 시설은 일시보호시설, 종합시설로 나타났다. BCC분석 결과 효율적인 시설은 양육시설, 보호치료시설, 자립지원시설, 종합시설로 나타났고, 비효율적인 시설은 일시보호시설로 나타났다. SE분석 결과 자립지원시설이 가장 초효율적이었고, 가장 비효율적인 시설은 일시보호시설로 나타났다. 기여도 분석결과 시설 수와 종사자 수가 가장 기여도가 높고, 가장 비효율적인 시설인 일시보호시설의 개선 가능성은 정원을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겠다. 첫째, 일시보호시설의 정원 조정이 요구된다. 둘째,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가 요구된다. 셋째, 아동복지시설장의 전문성 강화가 요구된다.

단기 임시주거를 위한 설계계획 및 목업을 통한 성능평가 (Design Planning and Evaluation using Mock-up for the Short-term Temporary Housing)

  • 이원학;이병연;조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09-61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재난 재해시 이재민의 주거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기 임시주거시설에 대한 설계 계획과 목업 제작을 통한 시공성, 주거환경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재난 재해발생시 이주민이 응급구호시설로 인근 학교의 강당 또는 체육관을 활용하고 있지만 거주성이 확보에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30일 이내 거주하는 단기 임시주택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량이면서 단열이 확보가능한 복합패널을 선정하여 목업을 제작하였다. 복합 패널을 활용한 목업은 약 1시간안에 완성하여, 시공 용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업을 통해 실험실에서 결로와 누수실험을 진행하였다. 외부온도 약 $0^{\circ}C$, 실내온도 약 $32^{\circ}C$로 온도에서 결로현상은 발생하지 않았고,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확인해보면 단열성능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시간당 60 mm의 강우를 모사하여 누수 실험을 진행한 결과 누수가 확인되지 않아 방수성능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 임시주거시설에서 모듈화된 평면, 시제품제작을 통한 시공용이성 확보, 향후 적재의 용이성을 확인하였다. 단열 및 방수성능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단기 임시주거시설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grams of Shelters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 이기련;박옥임;김종성;이정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3-114
    • /
    • 2005
  •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s for domestic welfare through solving domestic problem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domestic violence facilities, but their poor financial condition and lack of human resources make it difficult to meet all need of shelter users. Second, people who use domestic violence shelters can't receive proper care and they go back to their homes in which violence still remains. It is like a vicious cycle making their situation worse and worse. Third, counseling given to abused women in shelters is arranged individually or in groups, but there are not enough programs providing proper care for them. On the basis of the realities mentioned abov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ave the way to work out the improvement programs as follows: First, it is critical that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should be increas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raining of personnel concerned with the handling of domestic violence cases. Third,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at children of abused women should be taken care of safely, and temporary jobs for the women should be secured. This will allow domestic violence shelters to serve their true purpose. Lastly, more adequate counseling services such as more instrumental 1366 phone lin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the follow-up counseling should be reinforc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