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ered glas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폰 강화유리의 열형광 특성 (Therm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Tempered Glass)

  • 제재용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33-437
    • /
    • 2020
  • 방사선 검출 원리에는 형광, 전리, 화학작용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액정 보호용 강화 유리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열형광특성을 분석하였다. 방사선에 의한 열형광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6 MV X-선 100 cGy를 강화유리와 강화유리를 분쇄하여 300 ℃ 열처리한 파우더에 조사하였다. 방사선이 조사된 각각의 재료에 대한 열형광량을 측정한 결과 강화유리에서 방사선 노출에 따른 열형광은 약 3배 정도 증가하였고, 강화유리를 분말로 만들어 방사선 노출에 따른 열형광은 약 2.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액정 보호 유리는 개인과 집단의 방사선 피폭과 선량을 평가하는 추적물질로 평가되어진다.

고속열차 객실 유리창 충격파손특성 비교 연구 (A Study on Impact Damage Characteristics of the Window Glass for High Speed Train)

  • 전창성;김영국;윤수환;권혁빈;박태원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17-223
    • /
    • 2012
  • 고속열차 객실 유리창 타입에 따른 충격 파손 특성을 비교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리창 내충격시험 규격을 검토하였으며, 자갈 비산에 의한 유리창 파손 특성을 고려하여 내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외부 충격면이 일반유리, 반강화유리, 강화유리 모두 팁 끝이 뾰족한 낙하체에 대해 낮은 높이에서도 파괴가 잘 일어났고, 파괴될 때의 양상은 일반유리의 경우 선 파괴가 부분적으로 발생하였고, 반강화유리의 경우 선 파괴가 전체적으로 발생하였으며, 강화유리의 경우 전체적으로 입자가 잘게 부숴지며 파괴되었다. 낙하체 팁 형상을 뾰족한 것에서부터 뭉툭한 것으로 변화시킬 때 더 높은 높이에서 파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고, 그 정도는 일반유리보다 강화유리가 팁 끝이 뭉툭한 낙하체에 대해서 더 높은 강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유리창 보호용 필름이 적용되었을 때 강도 증가의 효과가 있었다. 실제 자갈을 자유 낙하시켜 파손 특성을 비교하였는데, 3가지 경우 모두에 대해서 보호필름이 적용되지 않았을 때는 파괴되었고, 보호필름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잘 파괴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유낙하에 의한 휴대폰의 충격 해석 (Impact Analysis of Freely Falling Cellular Phone)

  • 강성수;김종수;설균호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63-968
    • /
    • 2013
  •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tructural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stresses acting on the tempered glass of a freely falling cellular phone using ANSYS 13.0, commercial finite element code. We designed a phone heavier than any contemporary cellular phone and performed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the falling speed at a height of 104 cm, which is equal to of the average leg length of Koreans. By determining the maximum stress acting on the phone's tempered glass and frame, we identified the location of large deformation. Furthermore, we evaluated the maximum/minimum equivalent stress and deformation of the reinforced glass and frame as functions of time.

사용수명이 종료된 태양광 패널에서 분리된 강화유리가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ed Tempered Glass from End-of-Life Solar Panel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Mortar )

  • 최소영;김상우;김일순;양은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77-84
    • /
    • 2023
  • 태양광 패널의 설치가 가속화됨에 따라 사용수명이 종료된 태양광 패널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수명이 종료된 태양광 패널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물질을 포함하고 쉽게 재활용되지 않으므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사용수명이 종료된 태양광 패널의 효과적인 수거, 폐기 및 재활용 방법과 같은 대처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수명이 종료된 태양광 패널 재활용 기술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설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의 재활용 기술 중 하나로, 사용수명이 종료된 태양광 패널에서 분리한 강화유리를 건설재료로 적용하는 것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수명이 종료된 태양광 패널의 분리 기술을 정리하고 추출된 강화유리를 잔골재로 사용하여 모르타르의 역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강화유리를 모르타르의 잔골재로 사용할 경우, 사용수명이 종료된 태양광 패널의 분리 기술과 관계없이 압축강도, 휨강도 및 1~3 ㎛, 200~300 ㎛ 범위의 거시공극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학 처리된 강화유리를 사용한 모르타르는 화학반응으로 인해 소산된 K2O와 CuO로 인해 주목할 만한 역학적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플라이애시를 결합재로 사용할 경우, 모르타르의 역학적 성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비용 고기능성 항균강화유리 개발을 위한 연구 (Development of Low-Cost High-Performance Antibacterial Tempered Glass)

  • 김준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62-567
    • /
    • 2021
  • 다양한 건축시설 및 생활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기능성 항균강화유리개발을 위해 국산 소재들의 항균력을 조사하여, 특정농도에서 99% 이상의 항균력을 갖는 은, 구리, 아연으로 강화유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은, 구리, 아연을 Ethylene glycol + Glycerol로 분산시킨 시편의 항균력은 모두 99% 이상으로 측정되었고, Ethylene glycol과 Glycerol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는 항균력이 감소되었다. 표면분석기를 사용하여 세척에 의한 결합된 금속소재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물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세제로 세척한 시편에서는 표면에 도포된 소재의 두께가 1% 미만으로 감소하였지만, 염기성 세제에서는 약 10%의 표면두께 감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시편의 인체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분석법을 통한 세포독성실험을 수행하였고, 항균물질들이 도포된 시편에서의 세포독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시제품의 항균력이 99% 이상임을 Bacterial Live/dead kit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공인인증기관의 필름밀착법으로 다시 한 번 시제품의 항균력을 검증하였다. 결국, 본 연구에서는 국산소재들의 항균력을 검증과 함께 이를 이용한 고기능성 항균효과 갖는 강화유리를 개발하였다.

A method for predicting approximate lateral deflections in thin glass plates

  • Xenidis, H.;Morfidis, K.;Papadopoulos, P.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3권1호
    • /
    • pp.131-146
    • /
    • 2015
  • In the present paper a three-dimensional non-linear truss element and a short computer program for the modeling and predicting approximate lateral deflections in thin glass plates by the method of incremental loading are proposed. Due to the out-of-plane large deflections of thin glass plates compared to the plate thickness within each loading increment, the equilibrium and stiffness conditions are written with respect to the deformed structure. An application is presented on a thin fully tempered monolithic rectangular glass plate, laterally supported around its perimeter subjected to uniform wind pressu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compared with published experimental results and found to have satisfactory approximation.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large deflections of a glass plate lead to a part substitution of the bending plate behavior by a tensioned membrane behavior which is favorable.

커튼월 유리의 열파손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Breakage in Curtain Wall Glazing)

  • 이재현;남중우;방중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6-237
    • /
    • 2013
  • In recent years, the use of glass applied to curtain wall as a building facade material has increased in our nation. However, the non-tempered curved double glass is very easy to broke because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quality in process of making it into double glazing. So, it is more vulnerable to thermal breakage than tempered double glass. In this paper,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 on curved double glazing was compared to that of heat strengthened glass and flat glass by conducting thermal breakage experiments. As a result, flat single glass was broken at temperature difference of 100~140 degrees but curved double glazing was broken at that of 40~60 degree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curved double glazing is more vulnerable than flat double glazing to thermal breakage,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thermal breakage when curtain wall glazing is applied as a building facade material.

  • PDF

지하철 고가교 접합강화유리 방음판의 열차진동 및 풍하중에 대한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Laminated-Tempered Glass as a Component of Noise Barrier on Metro Railway Elevated Bridge Against Train Induced Vibration and Wind Load)

  • 김석수;이호범;송재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0-41
    • /
    • 2017
  • 소음 저감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방음벽은 크게 흡음판과 방음판으로 나뉘며, 일조 및 경관을 저해하는 방음벽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투명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 추세이다. 방음벽에 사용되는 투명 방음판의 소재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황변현상과 재질변형 등으로 인해 투명도가 떨어지고 오염이 심해져 오히려 도시미관을 해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투명 방음판의 재질을 접합강화유리로의 대체가 가능하다. 본 논문은 메트로 지하철 고가교 상에서의 열차 유발진동에 따른 접합강화유리 방음판의 진동 및 풍하중에 의한 안전성을 분석하고, 접합강화유리 시스템 및 재료에 대한 휨능력 성능시험,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 시험, 충격시험 등을 수행하여 접합강화유리의 방음판으로서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태양전지(太陽電池) 폐(廢) 모듈로부터 실리콘 및 강화(彈化)유리 회수(回收)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for Recovery Silicon and Tempered Glass from Waste PV Modules)

  • 강석민;유성열;이진아;부봉현;유호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2호
    • /
    • pp.45-5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폐 모듈로부터 태양전지의 주요 구성요소인 실리콘과 강화유리를 회수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화유리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회수하였고, EVA수지는 열처리를 통하여 완전히 제거하였다. 실리콘은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혼산용액을 이용하여 표면물질을 제거하고 회수하였다. 90%이상의 높은 실리콘 회수율을 얻었다. 본 연구에 의하여 얻어진 강화유리와 실리콘은 태양전지 모듈의 원료로 재활용되어 실리콘 공급부족 문제해결, 태양전지 제조원가 및 폐기물 처리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크린 프린팅 기법을 이용한 눈부심 방지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Anti-Glare Coating Technique Using Screen Printing)

  • 최정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72-27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의 눈부심 방지 강화유리 생산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옥외용 디스플레이를 위한 커버글라스의 주요 사양은 내강도와 눈부심 방지이다. 내강도는 커버글라스를 고온로에서 열처리한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그 요구 사양을 만족시키고 눈부심 방지를 위해서는 AG(Anti-Glare)필름을 강화 유리에 접착하여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필름 형태의 눈부심 방지기술은 PET 필름자체의 내마모성이 3H정도로 취약하여 AG 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G 필름이 가지는 내구성의 단점을 보완하고 기존 강화유리 생산 공정을 이용하는 눈부심 방지 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눈부심 방지 코팅은 ZBS ($ZnO-B_2O_3-SiO_2$) 분말을 유리 표면에 도포하고 강화공정을 수행하여 내구 강도와 눈부심 방지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ZBS 분말을 유리 표면에 도포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분말이 유리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였다. 스크린 프린팅 시 고려되어야 하는 주요 변수는 분말을 희석하기 위한 오일의 농도와 메쉬 오프닝 사이즈이다. 이 두 변수의 설정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 공정에서 도포되는 ZBS 분말의 양이 조절되므로 이에 대한 상관관계를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제안된 제조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업용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haze, 표면 거칠기 및 투과도를 성능 지표로 선정하였고 눈부심 방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G필름과 비교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비교 결과 제안된 제조 방법에 의한 강화유리의 투과도는 AG필름의 89.5%보다 다소 감소한 83.1%이지만 막강도는 7H로 두배 이상 향상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