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erate zone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6초

제주도 청수공 시추코아에서 산출된 플라이스토세 포자·화분화석의 화분층서 및 고기후적 의미 (Palynostratigraphic and paleoclimatic implications of the Pleistocene Cheongsu Core sediments, Jeju Island, Korea)

  • 문병찬;정철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6-282
    • /
    • 2005
  • 제주도 청수공에서 산출된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낙엽활엽수와 초본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풍부하게 산출되는 종류로는 소나무과, 오리나무속, 밤나무속/구실잣밤나무속,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명아주과 및 국화과 등이다. 전체적인 식생 조성에 근거하여 2개의 화분 분대를 설정하였다. 하부의 Zone I에서는 오리나무속, 명아주과 등이 우세하며 전반적으로 초본류가 풍부하게 나타난다. 상부의 Zone II에서는 전나무속, 낙우송과-측백과-주목과,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벼과 등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낙엽활엽수가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산출된다. 청수공의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그 조성에 있어 중국의 동지나해 대륙붕에서 설정된 Alnipollenites(Alnus)-Chenopodipollis(Chenopodiaceae)-Compositae 군집대와 잘 대비되며 그 지질시대는 Pleistocene으로 해석된다. 오늘날 식생분포와의 비교 및 우세종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청수공 코아는 한랭한 온대 기후 하에서 형성되었으며 당시의 제주도에는 오늘날의 한라산과 같은 지형적 기복은 아직 발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혈합육어 Trypsin의 효소적 성질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해석 (Kinetic Analyses for Enzymatic Properties of Trypsins Purified from Dark-Fleshed Fish)

  • 조득문;허민수;김형락;김두상;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4-70
    • /
    • 1996
  • 멸치, 고등어, 황다랭이 및 날개다랭이의 혈합육어에서 정제된 trypsin을 시료로 하여 각각의 BAPNA기질에 대한 반응속도와 그 관련 성질들을 분석 검토하였다. 4종의 혈합육어에서 정제된 trypsin의 Km'와 $k_{cat}$는 멸치 trypsin이 각각 $49.3{\mu}M$$90.9min^{-1}$, 고등어 trypsin A는 $53.7{\mu}M$$61.2min^{-1}$, 고등어 trypsin B는 $96.5{\mu}M$ $76.6min^{-1}$, 황다랭이 trypsin은 $62.8{\mu}M$$46.4min^{-1}$, 그리고 날개다랭이 trypsin은 $98.3{\mu}M$$47.68min^{-1}$ 이었다. TLCK에 대한 $K_i$, 값은 멸치 trypsin이$20.90{\mu}M$, 고등어 trypsin A가 $2.86{\mu}M$, 고등어 trypsin B가 $3.90{\mu}M$, 황다랭이 trypsin이 $0.96{\mu}M$, 그리고 날개다랭이 trypsin이 $1.82{\mu}M$이었으며, 황다랭이의 trypsin이 TLCK에 대하여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였다. 이들 trypsin의 효소 활성과 촉매효율은 연근해 온 대산 혈합육어인 멸치와 고등어 trypsin이 열대해역에서 온대해역에 걸쳐 널리 회유하는 혈합육어인 황다랭이와 날개다랭이의 trypsin에 비하여 높은 특징을 보였다.

  • PDF

완도지역의 붉가시나무 생육 적지예측 및 탄소저장량 추정 (Prediction of the Optimal Growth Site and Estimation of Carbon Stocks for Quercus acuta in Wando Area)

  • 황정순;강진택;손영모;전현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19-33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dict the optimal growth site and estimate carbon stocks of Quercus acuta,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warm temperate zon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criterion for the optimal site prediction was created by quantification method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growth factors of stand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survey sites of 42 plots in Q. acuta by study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f tree and site environmental factors. A program for the optimal site prediction was developed by using GIS engine tools. To prediction of the suitable growth site of Quercus acuta, developed program in this study applied to Wando in Jeollanam-do, distributing a various evergreen bread-leaved trees of warm temperate zone. In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optimal site prediction on Q. acuta,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mal site showed as follows; site environmental features of class I (the best site class for Q. acuta) was defined as 401 ~ 500 m of altitude, $21{\sim}25^{\circ}$ of slope with above hillside, residual of deposit convex of slope type with west of aspect. The area and carbon stocks of optimal site prediction by class for Q. acuta in classI showed 147.1 ha (2.5%), total 316.5 tC/ha, total $1,161tCO_2/ha/yr$ of class I, 2,703.5 ha (46.3%), total 5,817.4 tC/ha, total $21,331tCO_2/ha/yr$ of class II, 2,845.5 ha (48.6%), total 6,123.0 tC/ha, total $2,845.5tCO_2/ha/yr$ of class III and 153.7 ha (2.6%), total 330.7 tC/ha, total $1,213.7tCO_2/ha/yr$ of class IV.

난대상록활엽수종 조림지 활착률과 영향인자 (The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Rate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 Plantations in Korea)

  • 박준형;정수영;이광수;이호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513-521
    • /
    • 2019
  • 본 연구는 전국 난대상록활엽수종의 조림지에 대한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과 활착률간의 관계특성으로부터 조림적지 의사결정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997년부터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sieboldii) 등 난대상록활엽수 10종의 신규 조림지 180ha의 148개 조사구에 대한 활착률을 모니터링 한 결과 평균 활착률은 67.0±26.9%이었다. 활착률 편차가 크게 나타난 원인은 조림 적지에 관한 실증적 현지 검증이 부족한 상황에서 다양한 입지를 대상으로 시험 조림이 이루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각 조사구별 11개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 조림전후 강수 등의 정성적 설명요인과 활착률의 정량적 요인 간의 관계특성으로부터 수량화 이론 I에 따른 활착률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조림지 상층임분 울폐도, 풍노출도, 조림 전 누적 강수량, 경사도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청원 옥산 소로리 유적지 일대 유기질 니층의 화분분석에 의한 식생변천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History of Organic Muds of Sorori Archaeological Site, Oksan-myeon, Cheongwon-gun, Korea)

  • 김주용;양동윤;봉필윤;이융조;박지훈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5-81
    • /
    • 2001
  • 한반도 내륙지역의 제4기 후기의 식생변천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충북 청원군 옥산면 소로리 유적지($36^{\circ}41'3"N$, $127^{\circ}24'49"E$)의 퇴적물을 대상으로 화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 지역 일대는 \circled1OS-1의 아고산성 침엽수림(만빙기;약 15,000yr.B.P.~10,000yr.B.P.)$\longrightarrow$\circled2OS-2의 침엽ㆍ낙엽 활엽수혼합림(후빙기 초기;약 10,000yr. B.P.경)$\longrightarrow$\circled3OS-3의 냉온대성 낙엽활엽수림(후정기 중기;약 10.000yr.B.P.~2,000yr.B.P.)$\longrightarrow$\circled4OS-4의 침엽수림(후빙기 후기;약 2,000yr.B.P.) 이후)로 변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리산 왕등재늪의 식생변천사 연구 (Vegetation History of Wangdeungjae Moor, Mt. Jiri in Korean Peninsula)

  • 장병오;신성욱;최기룡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87-293
    • /
    • 2006
  • 지리산 냉온대 낙엽활엽수립대의 식생변천사를 밝히기 위하여 왕등재늪(960 m a.s.l.) 퇴적물을 대상으로 화분 분석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요한 화분 포자의 출현율의 변화로부터 다음과 같이 3개의 화분대(Pollen zone)와 2개의 아대(Subzone)로 구분하였다. I. Quercus zone($l50{\sim}114cm$), II. Quercus-Pinus zone($114{\sim}43cm$): IIa. Quercus-Pinus subzone($114{\sim}83cm$), IIb. Quercus-Pinus-Herbs subzone($83{\sim}43cm$), Ill. Pinus-Quercus zone($43{\sim}27cm$) 퇴적물 깊이 $111{\sim}116cm$층의 방사성탄소연대는 $1,160{\pm}40yr$ B.P.로 측정되었다. 이들로부터 지리산 왕등재 일대의 삼림은 크게 신갈나무를 우점으로 하는 시대, 신갈나무의 점진적인 감소와 소나무의 증가 시대, 소나무의 급격한 증가 시대로 변천하여 왔음을 알 수 있었다. 'Medieval Warm Period (MWP)'와 'Little Ice Age (LIA)'는 적어도 지리산주변 식생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고, LIA가 최성기에 이른 시기에 습지 주변의 초지의 확장과 소나무 속의 점진적인 증가가 확인 되었다. 그 이후 소나무의 갑작스런 증가는 산지 하부 지역에 대한 인간 간섭의 급증에 의한 식생변화의 반영으로 보인다.

고속도로 비탈면 녹화용 도입초종의 생육특성 분석 (Analysis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ed Species Revegetated on the Highway Cut-slopes)

  • 우보명;오구균;김봉년;조영채;전기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20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ne 1996 to November 1997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ed species revegetated on highway cut-slopes. The number of revegetation measures type surveyed were fourteen such as seed-spraying measures, block-sod pitching measures, and hydro-seeding measures with seed-fertilizer-soil materials. The introduced species for revegetation measures were mostly Festuca arundinancea(cool season grass), Eragrostic curvula(warm season grass), Lolium perenne(cool season grass), Dactylis glomerata(cool season grass), Poa pratensia(cool season gras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upper part on highway cut-slopes were greater than that of the middle part and lower part. The growth of introduced species was good on north-facing cut-slope than the others and that was flourish in temperate north forest zone. Also, the introduced species seemed to decrease or disappear, while the ratio of native woody and herb species which were in mature stage seemed to increase.

  • PDF

뽕나무의 현존량추정법과 생산력에 대한 연구 (On the Measurement of Biomass and the Productivity of the Cultivated Mulberry Plants)

  • 김준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8권3호
    • /
    • pp.122-128
    • /
    • 1975
  • With the cultivated mulberry plant which feeds silkworm on its leaves in sericulture, the measuring methods of biomass of terrestrial organs were compared and the annual net productivity was estimated. The measurement of the standing crops by means of allometric method on basis of 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 D230H, square of the diameter of the branch on 30cm high above ground($D{\frac}{2}{30}$) multiplied by its height(H), and the amount of leaves(WL) or of branch (Ws) was more accurate than other methods on basis of correlation between a character of the branch such as H, D30 or D230 and WL or Ws. The estimate of value of the net productivity of terrestrial parts of mulberry was 9.06-12.54 ton/ha.year, which was similar to that obtained from secondary forests in cool temperate zone.

  • PDF

한국 목포 연해안해수내의 효모 분포 및 집단밀도와 해조류상의 효모상 (The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ies of Yeasts and their Epiflora on Seaweeds in Inshore Waters of Mok-po, Korea)

  • 전순배;박명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57-164
    • /
    • 1975
  • The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ies of yeasts including their epiflora on seaweeds were estimated over two months in inshore waters of Mok-po, Korea. Nine species of 48 isolates were obtained from this area. Rhodotorula, Torulopsis and Debaryomyces that are widespread in estuaries were of common occurrence in this water body. The highest counts belonged to Torulopsis candida which was predominated in temperate estuarine zone. The distribution of sea weeds seems to be correlated with the population densities of yeasts. Two species of marine algae harbored yeasts during May and July, 1975. Among seaweeds isolates, the highest numbers werre of the species Rhodotorula glutinis var. glutinis. A dominant colonization of this strain on Chlorophyceae and Phaeophyta and a role of water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yeasts are discussed.

  • PDF

장산봉(부산)의 식물상 (The Flora of Jangsanbong)

  • 이정훈;문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8호
    • /
    • pp.881-889
    • /
    • 2007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Jangsanbong located at Busan Metropolitan City was investigated from April 2003 to April 2004. Vascular plants in the surveyed area were 254 taxa that belonged to 78 families, 175 genera, 218 species, 34 varieties, and 2 forma. Among them, 20 taxa of evergreen broad trees, 3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especially Rubus trifidus was first recorded in Busan. In the upper part of a circular road dominant species was Pinus thunbergii. In the lower part of a circular road and the coastal area, dominant species were Platycarya strobilacea, Clerodendron trichotomum, Euscaphis japonica, Quercus aliena, Quercus dentata, Mallotus japonicus, which distribute mainly in the subtropical and temperate zone. In the surveyed area, the canopy consistsed of tall trees, Pinus thunbergii, and the understratum were trees such as Eurya japonica, Ficus erecta, Ligustrum japonicum, Prunus sargentii, and Celtis sinensis var. japon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