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iospor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Teliospore mucilage of Puccinia miscanthi revealed through the axial imaging of secondary electrons

  • Ki Woo Kim
    • Applied Microscopy
    • /
    • 제51권
    • /
    • pp.15.1-15.2
    • /
    • 2021
  • Puccinia miscanthi teliospores were observed on the leaf surface of Miscanthus sinensis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Details of teliospore mucilage could be visualized through the axial imaging of secondary electr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pathogen behavior in rust diseases.

Ultrastructure of the Rust Fungus Puccinia miscanthi in the Teliospore Stage Interacting with the Biofuel Plant Miscanthus sinensis

  • Kim, Ki 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299-304
    • /
    • 2015
  • Interaction of the the rust fungus Puccinia miscanthi with the biofuel plant Miscanthus sinensis during the teliospore phase was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P. miscanthi telia were oval-shaped and present on both the adaxial and abaxial leaf surfaces. Teliospores were brown, one-septate (two-celled), and had pedicels attached to one e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numerous electron-translucent lipid globules in the cytoplasm of teliospores. Extensive cell wall dissolution around hyphae was not observed in the host tissues beneath the telia. Hyphae were found between mesophyll cells in the leaf tissues as well as in host cells. Intracellular hyphae, possibly haustoria, possessed electron-dense fungal cell walls encased by an electron-transparent fibrillar extrahaustorial sheath that had an electron-dense extrahaustorial membrane. The infected host cells appeared to maintain their membrane-bound structures such as nuclei and chloropla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ust fungus maintains its biotrophic phase with most mesophyll cells of M. sinensis. Such a nutritional mode would permit the rust fungus to obtain food reserves for transient growth in the course of host alteration.

Occurrence in Korea of Rust Disease on Tilia mandshurica Caused by Pucciniastrum tiliae

  • Jae Sung Lee;Ji Hyun Park;Young Joon Choi;Hyeon Dong Shin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6
    • /
    • 2023
  • Tilia mandshurica trees with rust symptoms have consistently been noticed during disease surveys in Korea since 2006. Based on the morphological examination and molecular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large subunit of ribosomal DNA, Pucciniastrum tiliae was identified as the causal fungus of rust diseas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 tiliae infection on T. mandshurica in Korea.

Ustilago maydis의 소생자 형성에 미치는 영양원, 온도, 광의 효과 및 자기보존 후의 생존력 (Effects of nutrient Source, Temperature, pH, and Light on Sporidial Production of Ustilago maydis and It Viability for Long-term Storage)

  • 박경석;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2-146
    • /
    • 1996
  • 옥수수 깜부기병균 Ustilago maydis 동포자를 풍건한 후 모래나 silica gel을 보존매체로 해서 4$^{\circ}C$나 그 이하 온도에서 24개월 두었을 때 동포자 생존율은 40~45%였다. 동포자는 28$^{\circ}C$ PDA상에서 쉽게 발아하여 많은 소생자를 형성하였다. U. maydis 동포자로부터 소생자 형성의 최적배지는 corn meal broth였고, carrot broth와 potato-dextrose broth의 순으로 좋았다. 소생자 형성에 가장 적합한 조건은 온도 28~3$0^{\circ}C$, pH5~7이었다. 소생자 형성은 암조건에서 보다 좋았다.

  • PDF

온실조건에서 Ustilago maydis의 소생자 및 동포자 접종에 의한 옥수수 유묘의깜부기병 발병유도 (Smut Induction on Corn Seedlings by Indoculation of Sporidia and Teliospores of Ustilago maydis in Greenhouse Conditions)

  • 김충회;이현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1-296
    • /
    • 1996
  • 옥수수 유묘접종시 깜부기병이 가장 잘 발병하는 조건은 4엽기 옥수수묘를 10\ulcorner~10\ulcorner/ml 농도의 소생자 현탁액으로 경엽살포한 후 28~3$0^{\circ}C$의 습실상에서 24시간 둔 후 꺼내어 온실에 두었을 때였다. 유묘의 엽기가 이보다 어리거나 접종원 농도가 이보다 높을 때, 혹은 습실상내 처리기간이 길어지면 접종후 유묘의 이른 고사를 초래하였다. 또한 습실상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깜부기병의 발병정도도 감소하였다. 깜부기병의 발생은 소생자 현탁액의 경엽살포 및 줄기주사접종에 의해서는 가능하였지만 토양관주에 의해서는 발병하지 않았다. 소생자 현탁액은 별도의 영양원의 첨가 없이도 발병을 잘 유도하였다. 동포자 현탁액을 직접 경엽살포하거나 줄기주사접종하여도 발병하였으나 소생자 현탁액접종에 비하여 발병정도가 현저히 낮았다.

  • PDF

Puccinia klugkistiana, a Rust Fungus Occurring on Cleistogenes hackelii in Korea

  • Lee, Jae-Sung;Choi, Young-Joon;Choi, In-Young;Lee, Chong-Kyu;Shin, Hyeon-Do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53-257
    • /
    • 2021
  • Rust samples at both uredinial and telial stages were collected from Cleistogenes hackelii (Poaceae) in 2017 and 2019 in Korea. Based on the morphological examination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large subunit (LSU) rDNA, it was identified as Puccinia klugkistiana. This rust at aecial stage has previously been recorded on Ligustrum japonicum (Oleaceae) in Korea. Puccinia diplachnicola has been previously recorded on C. hackelii in Korea; however, it is believed to be unrelated to the rust collected in the present study. Conclusively,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P. klugkistiana occurrence on C. hackelii in Korea.

First Description of Coleosporium plectranthi Causing Perilla Rust in Korea

  • Yun, Hye-Young;Kim, Young-Ho;Hong, Soon-Gyu;Lee, Kyung-Jo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7-12
    • /
    • 2007
  • Perilla rust is a damaging disease in perilla cultivation in Korea. Its causal agent was identified as Coleosporium plectranthi based on description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res and spore-producing fruiting structures(in uredinial and telial stages from perilla and in aecial stage from the alternate host pine) collected in 15 locations in Korea during the disease survey from 2004 to 2006. These characteristics were yellow or orange uredinium; globose or ellipsoid urediniospore of $20.8{\mu}m{\times}18{\mu}m$ in size; verruca of $0.3mm{\times}1.2mm$; orange telium; one-celled, oblong ellipsoid teliospore of $63.1{\mu}m{\times}19.7{\mu}m$ with one-layered crusts or four-celled(when mature), internal basidium of $64.2{\mu}m{\times}19.7{\mu}m$; ellipsoid to globoid basidiospore of $20.3{\mu}m{\times}12{\mu}m$; type 2 spermogonium; yellow, broadly ellipsoid peridial cell of $35.6{\mu}m{\times}23.1{\mu}m$; and broadly ellipsoidal or subglobose aeciospore of $25.9{\mu}m{\times}18.8{\mu}m$. Phylogenetic analysis of 28S rDNA sequences revealed the closest relatedness to those of the genus Coleosporium, a monophyletic group distinguished from other rust fungi and divided into two main lineages, one of which was C. plectranthi grouped with high bootstrap value(96%). In pathogenicity test, both aeciospores and urediniospores caused rust development on perilla leaves. This is the first description of C. plectranthi causing perilla rust with the first findings of its telial stage on perilla and the first rust disease on the aecial host in Pinus densiflora. These aspects w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ntrol measures of the disease.

Entyloma cosmi에 의한 코스모스 흰깜부기병 발생 (Occurrence of White Smut Caused by Entyloma cosmi on Cosmos bipinnatus in Korea)

  • 박지현;조성은;박미정;홍선희;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50-254
    • /
    • 2012
  • 2011년 7월 남양주에서 코스모스에 흰깜부기병이 크게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중부지방의 코스모스 집단식재지 9곳을 답사한 결과, 모두 50% 이상의 발병률을 보였다. 초기 병징은 잎에 담녹색이거나 퇴색부위가 생기고, 이어서 병반에는 흰 곰팡이가 서릿발처럼 밀생하였다. 각 병반이 융합되고 괴사되면서 식물체의 관상적 가치는 크게 훼손되었다. 분생포자다발은 잎 뒷면에 생기나 발병 후기에는 앞면에서도 관찰되었다. 분생포자경은 10-40개 정도가 다소 빽빽한 다발을 형성하며, 무색이며, 대부분 기름방울을 가지며, 길이 $20-45{\mu}m$에 폭 $2-4{\mu}m$이며, 꼭대기는 대체로 둥근 편이며, 분생포자흔은 뚜렷하지 않았다. 분생포자는 단생하며, 소시지 모양이며, 무색이며, 단세포이며, 대부분 기름방울을 가지며, 위쪽은 둥글며, 아래쪽은 둥글거나 절단형이며, 길이 $17-24{\mu}m$에 폭 $3.5-5{\mu}m$이며, 배꼽은 뚜렷하지 않았다. 포자퇴는 둥글거나 길쭉하며, 초기에는 희끗하게 보이나 후기에는 갈색의 점처럼 보였다. 겨울포자는 잎 조직 속에 박혀있으며, 근원형이거나 타원형이며, 무색에 가깝거나 옅은 황갈색이며, 길이 $12.5-20{\mu}m$에 폭 $10-15{\mu}m$였다. 이러한 균학적 특징은 코스모스 흰깜부기병균 E. cosmi V$\acute{a}$nky, Horita & Jage와 일치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E. cosmi에 의한 코스모스 흰깜부기병의 최초 보고이다.

시설 내 상대습도 및 온도 조건에 따른 국화 '백마'의 생육과 흰녹병 발생 (Occurrence of White Rust and Growth of Chrysanthemum 'Baekma' under Various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Greenhouse)

  • 유용권;노용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03-811
    • /
    • 2014
  •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백마'의 흰녹병 발생과 생육에 미치는 시설 내의 상대습도(70, 80, 90, 95%)의 영향을 조사한 후, 온도(15, 20, $25^{\circ}C$)와 상대습도(60, 70, 80, 90%)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한 흰녹병의 발생 초기부터 동포자퇴에서 소생자가 형성될 때까지 병 발생 단계를 관찰하였다. 국화 '백마'를 시설 재배 시 상대습도를 90% 이상 조건에서 40일간 처리되었을 때, 흰녹병 발생률이 97%, 주당 발병엽수가 10개, 발병엽당 병징수가 55개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습도를 70% 이하로 유지하면 흰녹병 발생률을 30% 낮출 수 있고, 한 주당 1-2개의 감염된 잎에 2개의 병징만 나타나 병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생체중과 엽수와 같은 절화의 품질은 다른 처리보다 상대습도 70%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상대습도 90% 처리구에서 흰녹병에 감염된 국화를 정식한 후 6일 후에 첫 병징인 흰색 반점이 나타났고 (1단계), 1일 경과 후에 동포자가 잎의 표피 조직을 뚫고 나왔으며(2단계), 1-2일 후에 동포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동포자퇴가 크게 형성되었다(3단계). 동포자에서 1-2일 후에 전균사체가 발달하였고(4단계), 4-5일 경과된 후 전균사체에서 소생자가 형성되었다(5단계). 시설 내 온도를 $25^{\circ}C$로 처리했을 때, 상대습도에 관계없이 흰녹병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시설 내 온도가 $20^{\circ}C$에서는 상대습도에 관계없이 소생자수가 많았으나, 60%와 70%에서는 흰녹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시설 내 온도가 $15^{\circ}C$에서는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소생자수가 많았고, 흰녹병 발생률도 높아졌으나, 상대습도가 낮은 60-70% 처리에서는 흰녹병 발생률이 14% 이하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