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escopic dentur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초

이중관 의치에 관한 문헌 고찰 및 증례 보고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 of prosthetic rehabilitation with telescopic denture)

  • 성한결;조은혜;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08-316
    • /
    • 2018
  • 이중관 의치는 지대치 장축 방향으로의 교합력 전달, 구강위생관리 용이, 유지 및 안정의 증가, 지대치 간의 2차적인 연결 고정으로 인한 부목효과 등의 장점을 가지며 일반적인 국소의치에 비해 높은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으나 기공과정이 복잡하고 치료기간 및 비용이 증가하며 합병증의 발생이 많은 단점이 있다. 본 증례보고는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은 상악의 4점 지지의 텔레스코프관을 이용한 이중관 의치를 제작한 증례와 상악의 2점 지지의 원추관을 이용한 이중관 의치를 제작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여러 문헌을 통하여 보고되는 이중관 의치의 합병증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하여 임상 및 기공과정에서 주의할 점을 고려하여 치료를 진행하였다.

하악 소수 잔존치에서 텔레스코픽 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A case report on telescopic denture with a small number of residual teeth in mandible)

  • 오상민;이재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46-50
    • /
    • 2015
  • 하악의 잔존 치조제가 얇고 낮은 증례에서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은 잔존 치조제에서 적절한 전후방의 안정성 및 지지를 얻을 수 없어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치조제에 과도한 교합력을 주게 된다. 또한 서로 멀리 떨어진 소수의 잔존치가 남았을 경우 스플린트하기 어렵고, 스플린트를 하지 않을 경우 고립 지대치가 되어 현명한 치료가 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클래스프 의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치아에 작용하는 무리한 측방하중을 줄여주며, 안정적이고 확실한 유지력과 견고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증례는 전반적인 중등도의 치주염으로 인해 상악은 무치악, 하악은 소수 잔존치가 남은 상태에서, 상악은 총의치, 하악은 텔레스코픽 의치로 수복한 증례이다. 치료 계획 시 서로 멀리 떨어진 하악 소수 잔존치가 남고, 적절한 지지를 얻을 수 없는 치조제를 가져 클레스프 의치를 수복하더라도 많은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텔레스코픽 의치로 수복하였다.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텔레스코프 시스템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A Telescopic System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Partially Edentulous Arch)

  • 신미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2호
    • /
    • pp.139-144
    • /
    • 2007
  • Prosthodontic treatment planning for various edentulous arches is not an easy issue for dentists. Especially, in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we must have a knowledge of overall treatment procedures, and a careful approach is needed. Recently, interest of dental implant and case reports are increasing, the decrease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true, but dental implantation takes longer treatment period and it is more expensive. Also, there are still some limitations like lack of available alveolar bone,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chronic periodontitis. Therefore, sometimes implantation is impossible. Finally, implantation cannot be adapted to every single patient. Currently, the clasp type removable partial dentures are used routinely, giving patients many unesthetic and functional difficulties. With better laboratory technique,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attachment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rigid type increase patient's happiness level much more than predicted. The case presented in this article, clinically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using a telescopic system to improve esthetic and functional recovery for patients who lose multiple teeth.

편측 후방 치아 잔존시 의치 설계에 따른 지대치지지 조직과 잔존 치조제의 응력 분석에 관한 연구 (STRESS ANALYSIS AT SUPPORTING TISSUE OF ABUTMENT TEETH AND RESIDUAL RIDGE ACCORDING TO DENTURE DESIGN WITH REMAINING UNILATERAL POSTERIOR TEETH)

  • 안광호;정영완;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5-199
    • /
    • 1999
  • This study was pe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magnitude of stress at supporting tissue of abutment teeth and residual ridge tissue with remaining unilateral posterior teeth. Four type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at included clasp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attachment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elescopic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swing-lock partial denture were designed, and strain gauge was used for stress analysis. Each prosthesis was subjected to simulated vertical and oblique loa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The clasp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generally distributed simulated vertical force more evenly to the supporting structure. 2. The stress at buccal side of 1st premolar was the lowest in swing-lock partial denture and that was highest in attchment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stress at lingual side of 1st premolar was the lowest in telescopic partial denture. 3. In clasp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stress was lower at load site and ridge crest at mid-line, but it was higher at 1st premolar area on vertical load. 4. In attachment removable partial denture, stresses at buccal side of 1st premolar. lingual side of 1st premolar on vertical load, and ridge crest at midline on oblique load were higher. 5. In telescopic removable partial denture, stress at lingual side of 1st premolar was the least in all removable partial dentures, but the stress at load site was higher. 6. In swing-lock removable partial denture, stress at buccal side of 1st premolar was the lowest, and stresses at load site and distal end of residual ridge crest were higher.

  • PDF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Causes of failures of long-term used double crown denture and new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and tooth combined denture using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 서정교;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84-390
    • /
    • 2018
  • 치주적으로 지지가 불리한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게 있어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의치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예후를 보이는 치료가 된다. 편측 악궁에 소수 잔존치가 남고 반대측 악궁에 다수의 자연치가 존재 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자연치와 혼재된 형태의 이중관 의치를 제작 할 시 의치의 지지 및 안정요소의 향상과 더불어 저작력의 균형을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자 환자로 만성 치주염으로 인해 치주 지지가 감소한 소수 잔존치 상태에서 자연치만으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 치료를 통해 9.5년간 의치를 사용하였다. 9.5년 후 지대치 파절로 내원 하여 임플란트의 식립을 통해 자연치와 임플란트가 혼재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로 재수 복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 치료에서도 장기적 예후의 안정성을 기대 할 수 있다.

telescope형 및 Clasp형 유지장치를 이용한 국소의치 지지조직의 응력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ABUTMENT TEETH AND RESIDUAL RIDGE AREA BETWEEN TELESCOPIC AND CLASP TYPE RPD BY FEM METHOD)

  • 곽재영;김광남;장익태;허성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4-12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developed in the abutment teeth and residual ridge area by madibular unilateral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2 different retainer designs. The retainers on right and left canine and right 2nd molar were Alters clasp in one model and telescopic crown in the other model. The stress distribution of abutment teeth and residual ridge area on two model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150N and 400N forces were applied vertically, 30 degree and horizontally on the central fossa area of left 1st molar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then stress distribution patter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the magnitude and angulation of applied force were increased, the magnitude of stress on the right and central residual ridge area and the right canine of the telescopic type increased and comparing to those of the Alters clasp type. 2. As the magnitude and angulation of applied force were increased, the mesial direction of displacement on the right residual ridge area and the right tooth of the telescopic type increased and the distal direction of displacement on left residual ridge area and the left canine increased comparing to those of Akers clasp type. 3. As the vertical force was applied, the distal direction of the displacement of the right tooth were greater and that of the left canine was smaller and the upward displacement of the right canine was greater in telescopic partial denture than those of Akers clasp type. 4. As the 30 degree force was applied, the mesial direction of the displacement of the right tooth were greater and the distal direction of the displacement of the left canine was smaller and the upward displacement of the right canine was greater in telescopic partial denture than those of Akers clasp type. In the horizontal force the results were same in right area tooth but the distal direction of displacement was greater in left canine. 5. In bo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as the magnitude and degree of force were increased, the stress and displacement were increased. The compressive force was dominative than the ten sile force. 6. In bo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e magnitude of stress was greater on mucosal tissue area than that of the alveolar bone area on distal extension residual ridge area but the result was reversed on anterior residual ridge area. The displacement was always greater on mucosal tissue area than that of alveolar bone area.

  • PDF

전치부 과개교합을 가진 상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의 상악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와 하악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치료의 11년 경과관찰 증례 (Prosthetic treatment for patient with anterior overbite and partial edentulism using maxillary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 and mandibular fixed prostheses: A 11-yr follow-up)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5-421
    • /
    • 2021
  • 소수 잔존치가 남아있거나 치주적으로 불리한 경우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의 생역학적 예후가 불분명하다. 이러한 경우,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는 성공적인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치료방법의 경우 지대치 간의 이차고정 효과가 있으며 응력의 방향이 수직적이고, 지대치 발치 시에 의치의 수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장점을 보인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의 과개교합을 가진 상하악의 부분 무치악 환자에 있어 상악에는 이중관 의치, 하악에는 임플란트 및 고정성 보철치료가 시행되었다. 장기간 동안 경과관찰 및 유지관리 치료를 시행한 결과, 기능 및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편측 절제된 상악골 환자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의치를 이용한 구강 폐색기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patient with hemi-maxillectomy: Obturator combined with a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 서정교;조진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4호
    • /
    • pp.317-323
    • /
    • 2018
  • 구강암이 상악에 발생하게 되면 원발 부위의 제거를 포함한 외과적 처치 후 비구강 개통(oro-nasal communication)이 발생하게 된다. 비구강 개통으로 인한 음식물의 저류를 막고 및 원할한 발음 및 심미적 회복을 위해서는 구강 폐색장치(Obturator)를 통한 수복이 필요하다.본 증례에서는 구강암으로 인해 우측 상악 편측절제술(hemi-maxillectomy) 시행하고 두경부 방사선 치료의 영향으로 인해 잔존 지대치의 우식과 불량한 치주지지를 보이는 환자에서 구강폐색장치(obturator)를 하이브리드형 이중관의치(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로 수복하였다. 18개월 간 경과관찰에서 성공적인 예후를 보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