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tonic movemen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6초

양산단층의 구조운동과 한반도 주변 지구조사 (Movement of the Yangsan Fault and Tectonic Histor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장천중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1998
    • /
    • pp.228-234
    • /
    • 1998
  •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movement of the Yangsan fault and tectonic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six sequential paleostresses were reconstructed from 1, 033 striated small faults which were measured at 37 outcrops along the strike of the Yangsan faul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aleostresses of the Yangsan fault and the tectonic event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ere compared. As compared with the tectonic histor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movement of the Yangsan fault is interpreted as follows; The initial feature of the Yangsan fault was formed with the development of extension fractures by the NW-SE extension. The fault experienced a right-lateral strike-slip movement continuously. The movements had been continued until the Late Miocene age, which was the most active period in faulting. The left-lateral strike-slip movement was followed by subsequent tectonic events. In the last stage, the fault acted with a slight extension or right-lateral movement.

  • PDF

한반도의 지반운동 ( I ): DEM 분석을 통한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 규명 (Tectonic M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I):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ectonic Movement Identified by Terrain Analyses)

  • 박수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8-387
    • /
    • 2007
  •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한반도가 경험해온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와 그 원인을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리학계에서는 지난 반세기 동안, 지반운동과 관련된 각종 지형요소들(경동성지형, 침식면, 평탄면, 하안단구, 해안단구 등)을 대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한반도의 지반운동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 연구는 수치고도모델(Digital Elevation Model)의 분석을 통해 한반도에서 일어난 지반운동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지반운동과 지표삭박작용간의 상관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한 뒤, 과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형면을 추출하는 일련의 지형분석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유역분수계의 고도가 삭박이 이루어지기 전의 지형특성을 지시해주는 증거로 가정한 뒤, DEM으로부터 과거의 지형면(준지형면)들을 추출하는 것이었다. DEM으로부터 추출된 준지형면들은 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여줌과 동시에 일정한 방향성을 보여준다. 준지형면들을 서로 연결한 한 선을 이 연구에서는 준지형면축으로 규정하였다. 준지형면축은 다시 지반운동의 융기축을 지시해주는 융기준지형면축과, 융기와 더불어 진행되는 삭박작용에 의해 계단상의 준지형면이 관찰되는 침식준지형면축으로 구분하였다. 한반도에서는 모두 13개의 준지형면축이 나타나며, 이들의 방향성과 길이, 그리고 상대적인 융기량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준지형면의 분포와 준지형면축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한반도를 구성하는 4개의 지반운동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을 각각 북부지반운동구, 중부지반운동구, 남부지반운동구, 그리고 동해안지반운동구로 명명하였다. 북부지반운동구는 개마고원을 중심으로 지역적인 융기를 경험하였으며, 서쪽과 동쪽, 그리고 남쪽방향으로는 점진적인 융기량의 감소를 보인다. 중부지반운동구는 동해에 면한 태백산축이 원호형으로 급격한 융기를 보인 반면, 서해안쪽으로는 점진적인 융기량의 감소를 보여준다. 남부지반운동구는 이 지역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덕유산-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융기축을 중심으로 서측보다는 동측의 융기량이 높은 비대칭적 지반운동의 특성을 보여준다. 남동부해안지역과 길주-명천지구대를 중심으로는 비교적 최근까지도 활발한 지반운동을 보이는 동해안지반운동구가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한반도가 경험해왔던 지반운동의 공간적 차이를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한반도의 장기적인 지형발달과 지역적인 지형특색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GPS 자료를 이용한 남한지역의 지각변위 분석 (Analysis of South Korean Crust Deformation Using DGPS Data)

  • 박준구;조진동;임삼성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대한지구물리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4-62
    • /
    • 2004
  • According to the Korea Tectonic Map, the Korean Peninsula can be divided into seven tectonic units and each of them shows a peculiar deformation pattern. In order to estimate an amount of crustal deform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e obtained the velocity vector fields of South Korea by dealing with the data set of the years 2001 and 2002, measured from the permanent GPS stations across the country To obtain a relatively precise coordinate of each station, we used GAMIT that is a comprehensive GPS analysis package developed at MIT, Then, a Kalman filter called GLOBK is used to combine the results from GAMIT and to estimate the relative velocity vector for the crustal deformations. The crustal movement of South Korea is turned out to be about 1mm per year westward and about 0.6mm per year southward. In case of Suwon and Seosan(Gyeonggi Massif), the movement occurs slightly to the north-east direction. The movement of a relative velocity field in the tectonic unit is unidirectional, yet the magnitude of the velocity is very small.

  • PDF

러시아 구성주의 조각의 텍토닉(Tectonic)적 공간 특성 - 밀라노 엑스포(Milan Expo, 2015) 파빌리온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Construction of Tectonic in Russia Constructivism's Sculpture - Focused on the Milan Expo, 2015 Pavilion -)

  • 김민아;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07-118
    • /
    • 2015
  • Today, The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space is experimented with shape and surface of the de-structural point of view to make architecture and space, in terms of not being able to make defined by single regulation. However, it can cor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modern, but it is easy to fade of architecture fundamental meaning. Along with the need for the rise of the construction of fundamental space, should be built a 'tectonic' spatial, which is said to be building of logos. Tectonic, as norms for expressing the fundamental meaning of architecture, as to expression of construction, be unfolded with dualism such as science and art, technology and express, structure and formation, and it was introduced into the architecture through the construction expression of space that was a tectonic discussion of 19c german architects. On the other hand Constructivism which is avant-garde formative movement with Russia revolution, constructed 'sculpture' with the formative principles as tectonic. Tectonic's Formative characteristics can draw a conclusion with of tectonic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m sculpture, space of logos will be realized through its study. Other hand, The pavilion, as symbol space, can be analyzed by tectonic properties, Pavilion, meaning the space is expressed in a variety of tectonic expression. As tectonic construction, fundamental ideology and symbolization of space is revealed metaphorically and visually.

고응력 분석을 통한 양산단층의 구조운동사 (Movement History of the Yangsan Fault based on Paleostress Analysis)

  • 장천중;장태우
    • 지질공학
    • /
    • 제8권1호
    • /
    • pp.35-49
    • /
    • 1998
  • 양산단층의 구조운동사를 해석하기 위하여 양산단층의 주향을 따라양산시에서 경북 신광면까지 37개 지점에서 단층조선이 발달된 약 1,000개의 소단층과 330개의 인장절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순서별로 (I)NW-SE 신장, (Il) ENE-WSW 압축과 NNW-SSE 신장, (III) NW-SE 압축, (VI) NNE-SSW 신장, (V) E-W 압추과 N-S 신장, 그리고 (VI) NNE-SSW 압축과 신장의 6개의 지구조 사건이 복원되었다.이렇게 얻어진 6개의 순차적인 지구조 사건으로부터 북북동향하는 양산단층의 운동를 해석할때, 양산단츠의 형성 초기에는 NW-SE 신장기를 갖는 지구조 사건 (I)과 연관된 인장절리가 발달하였고, 후에 지구조 사건(I)과 매우 밀접한 사건(Il)에 의해 우수향 주향이동을 하였다. 이러한 운동은 마이오세 말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시기가 양상단층이 가장 활발이 운동했던 시기로 해석된다. 후속되는 지구조 사건(III)과 (VI)에 의해 양상단층은 좌수향 주향이동을 하였다. 그 후 양산단층의 운동은 단층주향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사건 (V)에 의해 일시적으로 접지도었다. 이기간은 시기적으로 매우 일시적이었으며 응력의 크기도 역기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지구조 사건 (VI)에 의한 미약한 신장 혹은 우수향 주향이동을 하였다.

  • PDF

중국 연산지역의 인지운동(印支運動)의 특징 및 연산운동(燕山運動)과의 비교 (The Feature of Indosinian Movement and its comparison with Yanshanian Movement in the Yanshanian area, China)

  • 조성윤;김형식
    • 암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5-51
    • /
    • 1997
  • 중생대 시기의 조구조 운동은 중국 동부 서태평양지역의 구조 발달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 운동이다. 연산지역은 중생대의 전형적인 구조가 형성, 노출된 곳이며 쥬라기-백악기에 발생한 연산운동의 명명지이다. 과거에는 이 지역 대부분의 구조들은 연산운동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정되어 왔지만, 다수의 습곡들은 삼첩기 후반에 발생한 인지운동에 의해 형성되었고 동시에 많은 대다수 단층들을 형성한 강렬한 활동이 있었음이 최근의 종합적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인지 운동이 발생한 조구조의 동역학적 환경은, 중·한지괴(Sino-Korean Massif)가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대체로 E-W방향인 흥안-몽골 습곡대에 부딛쳐 생성된 N-S 방향의 압축응력 체제하에서 닫침 습곡(그 중 일부는 역전 습곡)이 형성되었으며, 연산운동의 몇차례 변형이 비공축(non-coaxial)으로 중첩(surperposed)되었다. 연산지역에서 중생대의 단층활동의 주요한 특성으로 인지운동시기에는 압축응력 작용에 의한 드러스트(thrust)가 주로 형성되었고, 연산운동시기에는 압축전단응력에 의한 사교 드러스트(oblique-thrust)가 주로 형성되었다.

  • PDF

한반도 남부 해안의 융기율 비교 (Comparison of Uplift Rate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이광률;박충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5-67
    • /
    • 2019
  • This study tries to reveal and compare uplift rates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absolute ages from coastal terrace on the coast. The uplift rate in the East Coast from previous study ranges from 0.258 to 0.357 m/ka with a median rate of 0.262 m/ka and shows an increase trend from north to south. Median uplift rate of 0.082 m/ka with minimum and maximum rates of 0.053 m/ka and 0.127 m/ka, respectively, is calculated in the South Coast from previous and this studies. The uplift rate in the West Coast from 3 absolute ages in this study is 0.082~0.112 m/ka with a median rate of 0.090 m/ka. Based on these uplift rates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t can be concluded that since MIS 5, the East Coast has experienced 3 to 4 times faster uplift rate than the West and South Coast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discussion on whether these uplift rates are long-term tectonic movement associated with tilted warping movement since the Tertiary or short-term tectonic movement associated with isostatic rebound due to sea level change since the Last Interglacial is needed.

제주도의 제4기 지구조운동 (Quaternary Tectonic Movement on Cheju Island)

  • 황재하;이병주;송교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2호
    • /
    • pp.209-212
    • /
    • 1994
  • Cheju Island was formed by volcanic activity probably related to the inferred geodynamics in the early Quaternary times. Paleostress analysis, in spite of a few fault slip data collected near Sanbangsan trachyte dome (dated 0.87 Ma) represents an extentional tectonic event with the direction ENE-WSW. Joint anayses in the vicinity of Seahwa reveal three extensional tectonic events of directions NW-SE, NE-SW and ENE-WSW. Especially the extensional event with the direction ENE-WSW affected the whole Cheju area during the most recent time.

  • PDF

울산단층 동부 지괴의 융기율 (Uplift Rate in the Ea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 이광률;박충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39
    • /
    • 2020
  • This study estimated influences of the Ulsan Fault on tectonic movement and uplif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The averaged uplift rate in the Northern Coast of the Eastern Block was 0.202 m/ka, while the site in Seokbyeong-ri, Guryongpo-eup, Pohang-si, showed relatively high rate of 0.249 m/ka, attributable to influences of small fault movement, called the Gangsa Fault. Higher averaged rate of 0.270 m/ka than in the Northern Coast was calcul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ern Block. The site in north of Haseo-ri, Yangnam-myeon, Gyeongju-si, showed the highest rate, suggesting influences of the Eupcheon Fault. The We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indicated the averaged rate of 0.208 m/ka, similar to that of the Northern Coast. The sites approximately 10 km apart from the Ulsan Fault showed 1.3 times higher rate in the Eastern Block than in the Western Block, while similar rates were calculated in the sites >20 km apart from the Ulsan Fault. These distributions of the rate suggest that the Ulsan Fault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 and tectonic movement in the study area, while local fault movements have also played a r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