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tonic invers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9초

수정된 Levenberg-Marquardt 역산방법에 의한 한반도 남부의 추계학적 지진 요소 평가 (Inversion of Stochastic Earthquake Model Parameters using the Modified Levenberg-Marquardt′s method in Korea)

  • 연관희;;박동희;장천중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27
    • /
    • 2002
  • Conventional Levenberg-Marquardt's nonlinear inversion method is simply modifi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second derivatives of the Hessian matrix so as to give robust inversion results. The weight of the second derivative terms is determined by the value of so-called λ in Levenberg-Marquardt's method. The new inversion method is applied to observed data from small-to-moderate earthquakes to simultaneously evaluate the modes parameters of the stochastic point-source model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est estimates of the stochastic model parameters are obtained along with their statistics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 results.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parameters are found to be more of those of interplate than intraplate tectonic region.

  • PDF

신안 앞바다 인근 규모 4.0 이상 지진들의 지진원 상수 (The Source Parameters of Offshore Earthquakes with Magnitude Larger than 4.0 Nearby Sinan)

  • 최호선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213-219
    • /
    • 2014
  • The source parameters of four earthquakes with magnitude larger than 4.0 nearby the offshore Sinan are analyzed. The waveform inversion method is used for analyzing the source parameters of two events (20 August 2012 and 21 April 2013) with C&B and AK135-c crustal velocity structure models. The source parameters of the other two events (26 July 1994 and 23 March 2003) are obtained from references. Focal mechanisms of the events are strike slip faulting or strike slip faulting with a thrust component. The directions of P-axes of the events are ENE-WSW or NE-SW which a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on P-ax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ith regard to the events nearby the offshore Sinan, the regional stress, rather than being local stress, is seen to be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ectonic forces from the compression of plates colliding to the Eurasian Plate.

한국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까치-1공의 층서 (Stratigraphy of the Kachi-1 Well, Kunsan Basin, Offshore Western Korea)

  • 유인창;김태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4호
    • /
    • pp.473-490
    • /
    • 2007
  •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까치-1공의 퇴적층을 통합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까치-1공 내에서 (1)트라이아스기 돌로마이트 기반암층, (2) 후기 쥬라기 말-전기 백악기 초 퇴적층, (3) 전기 백악기 퇴적층, (4) 후기 백악기 퇴적층 및 (5) 중기 마이오세 이후 퇴적층 등 5개의 단위층들이 인지되었다. 각 단위층은 부정합에 의해 경계되는 구조층서 단위층으로 군산분지의 형성, 퇴적 및 변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후기 쥬라기 말에 들어와 탄루탄층대를 따라 이차 및 삼차 순위의 주향이동 단층들이 분지되면서 소규모 열개 분지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전기 백악기 이후 팔레오세 말까지 지속된 분지단층들의 좌수향 이동에 의해 군산분지는 대규모의 인장력을 받게 되어 소규모 열개 분지들은 대규모의 인리형 분지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팔레오세 말에 시작된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연성충돌에 의한 1차 히말라야 조산운동의 영향으로 탄루단층이 우수향으로 이동을 시작하면서 군산분지는 서서히 변형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에오세 중기에 일어났던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강성충돌에 의한 2차 히말라야 조산운동에 의해 탄루단층의 우수향 이동이 본격화되면서 군산분지는 극심한 구조역전의 현상이 일어났다. 따라서 에오세 말과 올리고세 동안 군산분지에서는 심한 구조역전에 의한 분지변형이 일어났다. 올리고세 이후 현재까지, 군산분지는 간헐적인 해침과 함께 광역적인 침강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대륙 연변부 침강분지로 전이되었다.

해양효과가 보정된 제주도 자기지전류 탐사 자료의 2차원 역산 (Two-dimensional Inversion of Sea-effect-corrected Magnetotelluric (MT) Data in Jeju Island)

  • 양준모;이희순;이춘기;박계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02-612
    • /
    • 2011
  • 제주도는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화산섬으로서, 화산활동 및 한반도와의 지체구조적 연결성과 관련된 중요성 때문에 오랫동안 지질학적/지구물리학적 연구의 대상이었다. 최근 제주도에서 심부지열자원 조사를 위한 다수의 저주파수 MT 자료가 획득됨에 따라 제주도 심부구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제주도와 같은 섬환경에서는 주변 해양의 영향으로 저주파수 MT 자료가 왜곡되며, 이는 섬의 심부구조 규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획득된 총 102 측점의 MT 자료에 대해 해양효과 보정을 실시하였다. 해양효과 보정은 1 Hz 이하에서 XY 모드와 YX 모드 전기비저항과 위상을 매우 유사하게 만들며, 전도성 하부지각의 존재를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제주도 남쪽 및 북쪽 측선의 보정된 MT 자료에 대해 2차원 역산을 수행한 결과, 평균적으로 깊이 20 km에서 고비저항 상부지각과 저비저항 하부지각의 경계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Revised Geology of the Deokjeok and Soya Islands in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 Park, Jeong-Yeong;Park, Seung-Ik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5호
    • /
    • pp.631-643
    • /
    • 2020
  •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contains records of an Early Mesozoic collisional event related to the final amalgamation of the East Asian continent. Here, we present a renewed geologic map of the Deokjeok and Soya islands in the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and its explanatory note. Our geologic map was based on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northeastern area of both islands, which is characterized by a complex fault and shear zone system that accommodated the crustal deformation related to the Mesozoic post-collisional orogenic collapse and the subsequent structural inversion. We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study aiming at addressing issues regarding the deformational responses of crust to the Mesozoic tectonic transition and orogenic cycles.

Revised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Northeastern Chungnam Basin in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 Yujung Kwak;Seung-Ik Park;Jeong-Yeong Park;Taejin Choi;Eun Hye Jeong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6호
    • /
    • pp.597-616
    • /
    • 2022
  • The Chungnam basin is a crucial area for studying the Mesozoic crustal evolutionary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reports the revised geology and new isotopic ages from the northeastern Chungnam Basin based on detailed geological mapping and LA-ICP-MS zircon U-Pb analysis. Our renewed geologic map defines intra-basin, basin-bounding, and basement fault systems closely related to hydrothermal gold-bearing quartz vein injections. Here, we propose the directions of (micro)structural and geochronological future work to address issu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tonic process, basin evolution, and hydrothermal fluid migration in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남한 제3기 분지지역에 대한 고자기 연구 : 2. 포항분지 중부의 현무암질암 (Palaeomagnetism of Tertiary Basins in Southern Korea: 2. Basaltic Rocks in the Central Part of Pohang Basin)

  • 손문;김인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3호
    • /
    • pp.369-380
    • /
    • 1996
  • In order to determine the emplacement time and stratigraphic position of basaltic rocks in the central part of Pohang basin, palaeomagnetic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on 111 samples collected from 6 sites. Formation mean built from site-mean ChRM directions is $d=340.7^{\circ}$, $i=52.2^{\circ}$ (${\alpha}_{95}=6.0^{\circ}$, k=91) in the geographic coordinates. If "tilt" correction is applied regarding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s of columnar joint as palaeohorizon, the formation mean becomes $d=328.7^{\circ}$, $i=43.8^{\circ}$ (${\alpha}_{95}=17.1^{\circ}$, k=13).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formation mean is deflected significantly (about $20{\sim}30^{\circ}$) counterclockwise from the Tertiary reference geomagnetic field of Eurasia, independent of "tilt" correction. This situation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clockwise rotation of ChRM directions which has been ubiquitously observed in other Tertiary basins of south Korea, and indicates sinistral regional simple-shearing during the emplacement times of the basaltic rocks. Considering previous palaeomagnetic and AMS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data from other Tertiary regions of south Korea, the time of this sinistral shearing should be 15 Ma or directly thereafter, and this time point represents inversion from extensional to compressional tectonic regime. Magnetic foliation data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 WNW-ESN compression during or directly after emplacement of the basaltic rocks, while it has known from regional tectonic study that the time of the WNW-ESN compression is about 15 Ma, when SW Honshu was rotated and the Korean strait was narrowed.

  • PDF

중국 연산지역의 인지운동(印支運動)의 특징 및 연산운동(燕山運動)과의 비교 (The Feature of Indosinian Movement and its comparison with Yanshanian Movement in the Yanshanian area, China)

  • 조성윤;김형식
    • 암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5-51
    • /
    • 1997
  • 중생대 시기의 조구조 운동은 중국 동부 서태평양지역의 구조 발달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 운동이다. 연산지역은 중생대의 전형적인 구조가 형성, 노출된 곳이며 쥬라기-백악기에 발생한 연산운동의 명명지이다. 과거에는 이 지역 대부분의 구조들은 연산운동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정되어 왔지만, 다수의 습곡들은 삼첩기 후반에 발생한 인지운동에 의해 형성되었고 동시에 많은 대다수 단층들을 형성한 강렬한 활동이 있었음이 최근의 종합적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인지 운동이 발생한 조구조의 동역학적 환경은, 중·한지괴(Sino-Korean Massif)가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대체로 E-W방향인 흥안-몽골 습곡대에 부딛쳐 생성된 N-S 방향의 압축응력 체제하에서 닫침 습곡(그 중 일부는 역전 습곡)이 형성되었으며, 연산운동의 몇차례 변형이 비공축(non-coaxial)으로 중첩(surperposed)되었다. 연산지역에서 중생대의 단층활동의 주요한 특성으로 인지운동시기에는 압축응력 작용에 의한 드러스트(thrust)가 주로 형성되었고, 연산운동시기에는 압축전단응력에 의한 사교 드러스트(oblique-thrust)가 주로 형성되었다.

  • PDF

포텐셜 자료를 이용한 울릉분지와 독도 주변 지체구조 연구 (Tectonic Structure Modeling around the Ulleung Basin and Dokdo Using Potential Data)

  • 박계순;박준석;권병두;김창환;박찬홍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5-175
    • /
    • 2009
  • 연구지역을 포함하는 동해는 환태평양 화산 및 지진대 뒤쪽에 형성된 전형적인 후열도해이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동해는 인장력을 받아 열리기 시작하여 현재 동해의 모습을 갖추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해의 지체구조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선상에서 측정된 중 자력 자료 및 인공위성 중력 자료를 이용하여 울릉분지와 독도 주변 동해 지역의 지체구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3차원 심도역산 결과, 연구지역의 모호면은 13-25km정도의 심도를 갖으며 지각의 두께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동해의 확장과 함께 생성된 울릉분지는 인장력으로 인해 그 중심으로 갈수록 지각 두께가 감소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반도 동남부 백악기 경상분지의 형성과 변형에 관한 질의 (An Inquiry into the Formation and Deforma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Ky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 유인창;최선규;위수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2호
    • /
    • pp.129-149
    • /
    • 2006
  •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는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적 진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기존에 발표되었던 층서퇴적학, 고생물학, 고지자기학 및 지구물리학 자료들이 재검토되었다. 이들 자료와 분지 내 화성활동 및 광화작용에 대한 지질연대 자료와의 통합을 통해 경상분지에 대한 새로운 층서틀 및 경상분지 형성과 변형에 관한 구조적 모델이 제안 되었다. 새로운 층서틀은 경상분지 내 퇴적층이 전열개, 동시열개, 변형 I, 변형 II, 변형 III단계로 대표되는 5개의 층서단위로 세분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경상분지는 쥬라기 말 남-북 방향의 신장응력에 의한 전열개 단계와 전기 백악기의 동서 방향의 신장응력에 의한 동시열개 단계를 거쳐 분지가 형성되었다. 후기 백악기에 들어오면서 남-북 및 북서-남동, 동-서 방향의 3단계 순차적인 압축응력에 의해 분지가 변형되었다. 이러한 경상분지의 발달사는 백악기 동안에 북에서 북서 방향으로 전이되어진 이자나기판의 이동 방향의 변환에 의해 지배된 것으로 나타난다 .전기백악기에 이자나기판은 북쪽을 향하여 유라시아판 밑으로 섭입을 시작하였으며, 한반도 남부에 좌수향의 주향이동성 단층계를 형성시켰다. 이 주향이동성 단층계의 좌수향 이동에 의해 한반도 동남부에 동서 방향의 신장응력이 발생되어 경상분지와 같은 인리형 분지들이 발달되었다. 그러나 후기 백악기 동안에 일어난 이자나기판의 북서 방향으로의 섭입은 분지 내 광범위한 화산활동과 함께 순차적인 변형을 주도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경상분지에 대한 새로운 층서틀 및 분지발달 모델은 한반도 백악기 경상분지에 대한 새로운 지사의 정립과 함께 분지 내 부존되어 있는 유용자원의 탐사와 개발에 있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인접 지역에 위치하는 백악기 퇴적분지들과의 시간 및 공간적 대비를 통해 동아시아 백악기 지체규조운동 발달사 연구를 위한 새로운 지질학적 사고의 틀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