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infrastructure

검색결과 3,968건 처리시간 0.03초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국가 지식정보인프라 통합 정보망 구축 방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Network Infrastructure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 정동열
    • 정보관리연구
    • /
    • 제35권3호
    • /
    • pp.1-28
    • /
    • 2004
  • 21세기는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자국의 인적자원개발이 국가 경쟁력의 초석이 되고 있다. 국가지식정보인프라 통합 정보망 구축을 통하여 지식과 정보의 생산, 유통 및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인적자원개발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망은 교육, 연구, 노동시장, 산학협동 그리고 평생교육 정보망으로 구성된다. 이들 영역의 정보망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체계적인 통합 정보망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 지식정보인프라 통합 정보망 구축 방향을 정보기반인프라와 정보지원인프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정보기반인프라를 위하여 지식과 정보에 대한 디지털화의 촉진, 접근성 향상, 컨텐츠 개발 등이 필요하며, 정보지원인프라를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기반 정비, 행 재정 지원체제 정비 그리고 다양한 인적자원개발 정책이 요구된다.

분산형 물 인프라의 도시 하수관리 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술적 발전방안 (Technical Advancements Needed for the Introduction of Distributed Water Infrastructure to Urban Wastewater Management Systems)

  • 최용주;이우람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6-86
    • /
    • 2023
  • We are on the verge of paradigm shift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our urban water systems from treatment- and efficiency-based to recirculation- and sustainability-based. One of the most frequently suggested alternatives to embody this paradigm shift is to decentralize the currently highly centralized urban water infrastructure. However, claims for water infrastructure decentralization are often criticized due to poor economic feasibility, unstable performance, and unprofessional operation and maintenance. The current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literature to discuss the technical advancement needs to overcome such challenges. Firstly, decentralized water infrastructure was briefly defined and the rationale for the proposal of its introduction to the next-generation urban water systems was laid down. The main discussion focused on the following water technologies, which require special attention when working with decentralized water infrastructure: i) material collection, storage, and transport; ii) easily scalable water treatment; iii) sens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nd iv) system optimization. The principles, current development status, and challenges were discussed for each of the water technologies. The discussion on the water technologies has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future research needs for their application to the next-generation urban water systems which will be designed following decentralized water infrastructure. This paper will significantly improve the current understanding on water infrastructure decentralization and provides insight on future direction of water technology development.

UAM 항공교통관리 인프라의 사이버보안 고려사항 및 대응방안 (Cyber Security Considerations and Countermeasures for UAM Air Traffic Management Infrastructure)

  • 김경욱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6호
    • /
    • pp.17-29
    • /
    • 2023
  • In this paper, we aim to propose cyber security considerations and countermeasures for infrastructure and services in the UAM(Urban Air Mobility) Air Traffic Management field, which is one of the key elements of the UAM market that has not yet bloomed. Air traffic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for safe navigation and social acceptance of UAM. In order to realize air traffic management, infrastructure and services based on solid network connectivity must be established. And for industries where connectivity is the core component, it can become an infiltration route for cyber threats. Therefore, cyber security is essential for the infrastructure and services. In detail, we will look into the definition of the existing air traffic management field and the cyber threats. In addition, we intend to identify cyber security threat scenarios that may occur in the newly designed UAM air traffic management infrastructure. Moreover, in order to study the cyber security countermeasures of the UAM air traffic management infrastructure, there will be analysis of the UAM operation concept. As a result, countermeasures applicable to the infrastructure and service fields will be suggested by referring to the cyber security frameworks.

기존 ITS 서비스의 성능 강화를 위한 능동형 ITS 인프라 관리 전략 (Active ITS Infrastructure Management Strategy for Enhanced ITS Service)

  • 최동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5-5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ITS로 주목받고 있는 국내외 C-ITS 기술 동향을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해외 선진국들의 추진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C-ITS 정책이 기존의 ITS 인프라와의 연계 모색이 미흡함을 지적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ITS 인프라가 C-ITS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세 가지 방향성을 제시한다. 첫째, 기존 인프라 설비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자동화하는 기술을 개발(Performance-enhanced ITS)하고, 둘째, 능동형 센서 및 융합 센서를 개발하여 V2X 통신 기술과 더불어 선제적 안전 운행 지원 기술을 개발(Safety-enhanced ITS)하며, 셋째 Nomadic Device의 보급으로 발생하는 비정형 교통 데이터를 기존 ITS 설비로 수집한 데이터와 융합하여 고급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기술 개발(Cloud-ITS)이다. 이와 같이 기존 ITS 인프라에 V2X 통신 환경에 필요한 기능을 추가하고 효율적인 유지관리 기술을 개발한다면 C-ITS에서 추구하는 차량과 차량, 차량과 노변 장비와의 상호 협력적인 기술 기반이 조성되고, 예산의 중복 투자 방지가 가능해져 C-ITS 도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건설안전 제도개선 연구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 박경수;임석빈;김세훈;구기영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9-1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현장에서 스마트건설기술의 원활한 도입을 위한 제도적 개선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수행절차를 따른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건설안전의 개념을 정의한다. 둘째, 건설재해 통계자료 분석 및 국내·외 선진국의 건설 안전관리 체계 및 제도를 분석한다. 셋째, 건설업 및 관련 산업의 스마트 안전기술의 적용 사례를 통해 스마트 안전 기술의 적용성을 고찰한다. 넷째, 기술 적용과 관련한 제도적 문제점 분석하고 정책 방향 및 개선점을 제시한다. 그 결과, 소규모 건설현장에서의 근로자 안전을 위한 기술의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스마트 건설안전 체계를 위한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 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제도적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SWOT-AHP 분석을 이용한 수소에너지 산업 인프라 전략 개발 (A Strategy Development of Hydrogen Energy Industrial Infrastructure by Using SWOT/AHP Method)

  • 한장협;김수지;김채복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822-847
    • /
    • 2016
  • 미래 산업 유지를 위하여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중 수소에너지는 청정에너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소에너지산업 인프라 구축시에 필요한 전략 수립을 위하여 SWOT/AHP 분석을 적용하였다. 우선 수소에너지 산업 인프라 구축시 요구되는 요인들을 추출하였고, SWOT matrix를 재구성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쌍대비교를 하여 개발된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기 위하여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SWOT 분석과 AHP 분석을 적용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수소에너지산업 인프라와 관련된 전략 계획의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지역 미활용 에너지의 타당성에 관한 사례 분석: 기술·제도·인프라를 중심으로 (The Feasibility Analysis of Urban Unused Energy: Focusing on Technology, Institution and Infrastructure)

  • 진상현;홍은정
    • KIEAE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7-28
    • /
    • 2013
  • Most governments have an interest in unused energy, because of high oil price and climate change. Particularly, it is very important to urban governments which have less renewable energy than other local governments. So Seoul, the capital of Korea, establishe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unused energy in 2007. But it has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feasibility of this plan. So this paper checked and reviewe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unused energy development cases in four cities by using three sub elements: technology, infrastructure, institution. As a result, it discovered that these urban governments have technological feasibility because they are located near big river or ocean. And they used the existing infrastructure and received the institutional subsidies from central govern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unused energy development projects. In conclusion, local governments of Korea have to try to seek how they can utilize the existing infrastructure for unused energy development in the situation that there are few institutional support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Economic Impacts of Transportation Investment on Regional Growth: Evidence from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on Japan's Cross-Prefectural-Border Region

  • Thi Thu Trang, HA;Hiroyuki, SHIBUSAW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0권2호
    • /
    • pp.183-193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nd examines the economic impact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on the San-En-Nanshin region in the Chubu area of Japan. We develop a single transportation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for each subregion within the San-En-Nanshin region. The explicit modeling of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defined based on interregional commuting flows and business trips, consider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San-En-Nanshin economy. A CGE model is integrated with an interregional transportation network model to enhance the framework's potential for understanding the infrastructure's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To evaluate the economic impact of transportation improvement, we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ravel time savings and regional output and income. The economic impact analysis under the CGE framework reveals how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systems affect firm and household behavior and therefore induce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ommodities and transportation services. The proposed theoretical model was tested by using data from the 2005 IO tables of each subregion and the 2006 transport flow dataset issu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in Japan. As a result, the paper confirms the positive effect of transportation investment on the total output and income of the studied region. Specifically, we found that while economic benefits typically appear in urban areas, rural areas can still potentially benefit from transportation improvement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