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addiction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1초

인터넷게임 중독논쟁의 기술사회적 함의 (Techno-Sociological Analysis on Internet Game Addiction Controversy)

  • 김지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1-92
    • /
    • 2014
  • 2011년 도입된 청소년보호법 제26조는 '인터넷게임중독'이 실재한다고 전제하여 인터넷게임에 대한 접근을 일정시간동안 제한하는 기술적 조치이다. 이 조항은 도입과 함께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었다. 이 제도는 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저항을 잘 보여주는 논쟁사례이다. 우리는 '인터넷게임중독'이라는 용어가 학술적으로 여전히 논쟁적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었던 배경을 진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논쟁을 기술사회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국가 주도적 기술도입이 불러온 기술혐오를 발견할 수 있다. 기술혐오에 대한 해법은 병리적 프레임 보다 기술에 대한 비판담론 프레임으로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Facebook: Hate it or Love it, But Can You Ignore it? A Comparative Study of US and India

  • Arora, Shivani;Okunbor, Daniel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1호
    • /
    • pp.65-73
    • /
    • 2016
  • Facebook has been a part of our lives for the last decade. For a company started in 2004 to have penetrated the lives of people across the globe is commendable. The perpetuation of Facebook has led to a phenomena called Facebook Addiction Disorder. Companies are using Facebook to promote their business and people are using it to promote themselves, in addition to staying connected. In this paper, an effort is made to study respondents from Indi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order to gauge their dependence on Facebook, and a comparative view of it is presented.

Emergence of the Metaverse and Psychiatric Concer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Soyeon Kim;Eunjoo Ki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4호
    • /
    • pp.215-221
    • /
    • 2023
  • Advancements in digital technology have led to increased usage of digital devices among teenagers.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and the subsequent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policies have further accelerated this change. Consequently, a new concept called the metaverse has emerged. The metaverse is a combination of a virtual reality universe that allows individuals to meet, socialize, work, play, entertain, and create.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oncept and main features of the metaverse and examples of its utilization in the real world. It also explains the uniqu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as well as the possible negative influences of the metaverse on them, including addiction, antisocial behavior, cyberbullying, and identity confusion. This review summarizes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ecause the metaverse is a relatively new concept.

사용자 작업 추론에 기반한 인터넷 중독 방지 시스템 설계 (Design of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System based on User Task Inference)

  • 이상훈;김수연;김종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82-28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능적으로 인터넷 중독을 방지하는 시스템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인터넷 사용시간 제한 및 유해정보 차단 분야에서 사용자 본인이 등록한 인터넷 이용 범위와 목적과의 연관성을 추론하여 사용자의 작업과 무관한 인터넷의 과도한 사용을 방지하는 사용자 작업 추론을 통한 효과적인 인터넷 중독 방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련 특허 중심으로 비교한다.

  • PDF

성인 인터넷 중독진단을 위한 K-척도와 KS-A 척도 비교 (Comparison of K-scale and KS-A scale for Adult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 김희재;김종완;황병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24-2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인터넷 중독진단 척도인 K-척도와 2012년 새롭게 발표된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간략형 척도인 KS-A를 비교함으로써 성인 인터넷 중독진단의 현황과 문제점을 확인한다.

  • PDF

무선 통신을 활용한 기능성 미로 찾기 장치 (Find Maze Functional Devic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김호준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78-482
    • /
    • 2015
  • 치료적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로 게임놀이치료가 ADHD, 틱장애, 의사소통 발달 장애, 자폐성 등과 같은 장애를 가진 아동의 주의집중력, 과잉행동 및 틱증상 감소, 언어적 의사소통 증가,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 감소 등과 같은 사회 정서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병합한 디지로그 방식의 놀이치료 컨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일반인을 비롯하여 치매노인, 지적장애인등의 치료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라 판단이 된다. 또한 아날로그 놀이와 디지털적 요소들을 융합하여 유아 스마트폰 중독이 초래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디지로그적 관점의 새로운 놀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소아치과 내원 환아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y of Pediatric Patients)

  • 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84-389
    • /
    • 2017
  • 치과에 대한 거부감은 치과 치료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역사와 함께한 치과 치료 기술은 절개와 절삭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치료와 함께 통증을 최소화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전하였으나 치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기술의 발전만큼 감소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소아치과 환자들은 외부 자극에 대한 저항성, 정신적 발육, 인내심 등의 부족과 함께 부모의 영향을 포함하는 양육 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DFA(dental fear and anxiety) 및 DBMP(dental behavior management problem)을 경험할 수 있다. 치과에 내원하는 환아가 경험하는 다양한 자극들 가운데 심리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로는 치과의사, 치과 진료 기구들이 있으며 치과의사와 관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사회적인 요인이 존재한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관련한 중독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사용이 구강에 미치는 영향과 치과에서 보이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The OAuth 2.0 Web Authorization Protocol for the Internet Addiction Bioinformatics (IABio) Database

  • Choi, Jeongseok;Kim, Jaekwon;Lee, Dong Kyun;Jang, Kwang Soo;Kim, Dai-Jin;Choi, In You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4권1호
    • /
    • pp.20-28
    • /
    • 2016
  • Internet addiction (IA) has become a widespread and problematic phenomenon as smart devices pervade society. Moreover, internet gaming disorder leads to increases in social expenditures for both individuals and nations alike. Although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A are getting more important, the diagnosis of IA remains problematic. Understanding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 of behavioral addictions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 and effective treatments. Although there are many databases related to other addictions, a database for IA has not been developed yet. In addition, bioinformatics databases, especially genetic databases, require a high level of security and should be designed based on medical information standards. In this respect, our study proposes the OAuth standard protocol for database access authorization. The proposed IA Bioinformatics (IABio) database system is based on internet user authentication, which is a guideline for medical information standards, and uses OAuth 2.0 for access control technology. This study designed and developed the system requirements and configuration. The OAuth 2.0 protocol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security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d be applied to genomic research on IA.

카지노 인근에 머무는 도박중독자가 체험한 공간성 (The Research on the Lived Experiences of Gambling Addicts who stay near the Casino)

  • 송진아;김선민;김용근;신행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1호
    • /
    • pp.193-216
    • /
    • 2013
  • 본 연구는 도박장 인근에 사는 도박중독자들의 체험을 집중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카지노 인근 지역에 머무는 도박중독자 4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이들이 체험하는 공간성이 무엇이며 그 의미가 어떠한지에 대하여 van-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삶의 체험에 본질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고향도 아닌, 제 2의 정착지도 아닌 카지노 인근에 머문다는 현상 자체였다. 이들은 거주공간을 스스로 이탈하여 카지노 인근 지역에 유입되었지만 이 공간 안에서 실존적 거주공간을 짓지 못한 채 현재만을 살아가고 있었다. 그리하여 끊임없이 바깥세계와 세계와 다른 어딘가 사이에'끼인 존재'로서 존재론적 불안을 체험하고 있었다.

대학생의 소외에 대한 두려움,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조사연구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ear of Missing Out, SNS-addictive Tendencies, and Depression in Colleges)

  • 장철;김인섭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1-159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ear of missing out, addictive tendencies toward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and depression in colleges. Methods : The target subjects were students in colleges across gyeongnam & busan, to who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and who spontaneously agreed to participat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2 participants over 31 days from March 7, 2022, and data from 299 responses was analyzed. Results : 1. Women felt a higher fear of missing out than men. 2. Women showed greater inability to control their use of SNSs, more SNS-related disorders in daily life, and greater immersion in and tolerance of SNSs when compared to men. 3. Women were more depressed than men. 4.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fear of missing out and SNS-addictive tendencies, between the fear of missing out and depression, and between SNS-addictive tendencies and depression. Conclusion :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women had overall higher levels of isolation fear, SNS-addictive tendencies, and depression than men. Based on this, universities should provide gender-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around these issues; this student cohort will ultimately work in healthcare, and this kind of awareness will be essential for treating patients. Considering that the current situation poses unusual challeng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s results can serve as basic data for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uture. Over the coming years,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education and counselling relating to the fear of missing out, SNS addiction, and depression will be urgently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