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etium Tc 99m dimercaptosuccinic acid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Which Factors Related to the Renal Cortical Defects in Infants Under 3 Months of Age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 An, Yu Kyung;Cho, Myung Hyun;Kim, Kyo S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0권2호
    • /
    • pp.57-62
    • /
    • 2016
  • Purpose: We used technetium-99m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scintigraphy to identify factors predictive of renal cortical defects in infants <3 months of age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on infants <3 months of age with culture-proven UTIs treated at a single center from March 2010 to February 2016.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or laboratory evaluation prior to commencement of antibiotic therapy. The therapeutic delay time (TDT) and therapeutic response time (TRT) were recorded.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features of their DMSA scans. We compared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119 infants (94 males and 25 females; mean age, $56.9{\pm}21.3days$) were included. Cortical defects were evident in the DMSA scans of 47 cases (39.5%). In infants with such defects, the peak temperatures ($38.9{\pm}0.57^{\circ}C$ vs. $38.4{\pm}0.81^{\circ}C$, P=0.001), the absolute neutrophil counts ($8,920{\pm}4,460/mm$ vs. $7,290{\pm}4,090/mm$, P=0.043), and the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6.49{\pm}4.33mg/dL$ vs. $3.21{\pm}2.81mg/dL$,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infants without cortical defects. The TDT was also longer in those with cortical defects (P=0.037). Conclusion: We found that a TDT ${\geq}8.5hr$ (odds ratio [OR] 5.81), a peak temperature ${\geq}38.3^{\circ}C$ (OR 6.19), and a CRP level ${\geq}4.96mg/dL$ (OR 7.26) predicted abnormal DMSA scan results in infants <3 months of age with UTIs.

이중 헤드 감마 카메라를 이용한 Conjugate-View 계수법에 의한 신장 깊이 도출 (Calculation of Renal Depth by Conjugate-View Method Using Dual-head Gamma Camera)

  • 김현미;서태석;최보영;정용안;김성훈;정수교;이형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78-388
    • /
    • 2001
  • 목적: 기존의 신장깊이를 구하는 Tonnesen, Taylor 방정식은 신장 핵의학 검사 시 별도의 초음파, CT(computed tomography) 검사를 토대로 도출되었으며, 몸무게, 키, 나이에 따른 변수를 이용하여 신장깊이를 구하게 되므로 개인차가 고려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감쇠 계수를 이용한 보정 인자 $e^{-{\mu}x}$를 적분하여 계수를 구하는 방법과 Conjugate-view 계수법을 사용하여 핵의학 영상에서 신장깊이를 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신장모형이 포함된 복부모형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중 헤드 감마카메라(E.CAM, SIEMENS, Germany)로 핵의학 이미지를 얻는 실험을 하였다. 신장 두께, 신장깊이 그리고 몸통두께를 변수로 하여 각각의 다른 실험값을 얻었다. 방사성 동위윈소는 $^{99m}Tc$-DMSA를 사용하였으며, 검출기에 대한 효율은 실험을 통해 계산되었다. 감쇠 계수를 이용하여 계수값을 얻어내는 방법으로 신장깊이 도출을 위한 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배후 방사능 보정에 대한 보정식을 추가하였다. 유도된 방정식에 실험을 통해 얻어낸 자료를 대입하여 신장깊이를 구하였으며 이렇게 계산된 신장깊이와 실험에 사용된 신장깊이를 비교하여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이 연구에서 유도된 신장깊이 방정식을 통해 개발된 신장깊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몸통모형의 몸통 길이와 신장모형 두께, 위치를 각기 다르게 하여 각각의 핵의학 영상을 얻은 결과로부터 신장깊이에 대한 실제값과 유도된 방정식을 통해 얻은 계산값을 서로 비교, 검토해보았다. 신장깊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얻은 계산값과 모형의 실제값을 비교해 본 결과 0.1 cm에서 0.7 cm까지의 차이를 보였다. 실험값과 계산값과의 평균 오차는 $0.029{\pm}0.15cm\;(mean{\pm}S.D.$) 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신장깊이를 구하는 여러 방법들과는 달리 본 연구를 통해 핵의학 영상만으로도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를 얻어낼 수 있게 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신장깊이 계산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한 신장깊이는 방사성동위윈소 주입 후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집적된 계수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되므로 개개인의 개인차는 물론 좌신과 우신에 따른 차이도 고려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연구에서 개발된 신장깊이 계산 프로그램의 임상 응용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신장에 도달하는 방사성 동위윈소의 방사능양과 효율적일 관심영역 크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며 좀더 정확하고 개인차가 고려된 신장깊이가 계산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