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ar siz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3초

회전근 개 판분리 파열에 따른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의 결과 (The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according to the delamination of rotator cuff)

  • 구정회;조형래;박만준;김정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1-68
    • /
    • 2011
  • 목적: 전층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시 관찰되는 회전근 개 판분리 현상의 유무에 따른 술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관절경하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 48예(남자 31, 여자 17, 평균나이 57.6세, 범위 45~68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파열 크기는 2.8 cm(범위: 1.2~3.6 cm) 이었고 판분리 유무에 따라 봉합법을 달리하여 판분리가 있는 경우 점액낭 층과 관절면 층을 각각 구분하여 봉합하였다.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6개월(범위: 18~33)이었으며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점수와 등속성 근력 평가를 이용하여 기능적 결과를 판정하였고 술 후 평균 8개월(범위: 6~13)에 촬영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을 판정하였다. 관절경하에서 관찰된 판분리 현상의 양상과 나이, 성별, 이환 기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 재 파열 빈도와의 상관 관계를 판정하였다. 결과: 술 후 44예(91.7%)에서 견관절의 기능적 호전을 보였다. 관절경 소견 상 48예 중 15예에서 회전근 개의 판분리(31%)가 관찰되었으며 대부분 내측과 후내방으로 퇴축되어 있었고 분리된 두 층 중 관절면 층이 더 두꺼운 경우가 8예(53%), 점액낭층보다 근위부 및 후내방으로 전위된 경우가 9예(60%)이었다. 최종 추시 상의 기능적 점수는 판분리 현상의 유무와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 이환 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는 판분리 현상과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고령일수록 판분리 현상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p=0.041). 술 후 촬영한 29예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 상 완전치유가 14예(48%), 부분치유가 9예(31%)이였으며 6예(21%)에서 봉합부의 완전 재파열이 발생하였으나 이 중 50%는 임상적 결과가 양호로 판정되었다. 추시 자기 공명 영상 상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에서는 79%(15/19),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는 80%(8/10)에서 봉합부가 치유된 것으로 판정되어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의 복층 이열봉합술은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의 단층 이열봉합술과 유사한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이 관찰되었다(p=0.165). 결론: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 시 판분리 현상은 본 연구에서 약 31%이였으며 이는 고령에서 더 흔히 관찰되었다. 성별, 이환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기능적 결과 및 술 후 만족도에 있어 판분리 파열의 영향은 없었으며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도 판분리 현상이 없는 회전근 개 파열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 PDF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수술 전 3차원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Preoperative Three Dimensional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the Rotator Cuff Tear)

  • 염재광;신용운;한정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24-28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3차원 초음파 검사의 시행은 파열의 실제 크기를 수술 전 확인하는 데 유용함을 보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자기공명영상 촬영상 회전근 개 완전 파열이 있어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전 3차원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파열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수술시 회전근 개의 실제 크기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는 수술 시 회전근 개 완전 파열이 확인된 15예(남자가 7명, 여자가 8명)가 포함되었다. 평균 연령은 55.4세($47{\sim}67$)였으며, 우측 견관절은 13예, 좌측 견관절은 2예였다. 결과: 수술 전 초음파 검사로 측정한 파열의 크기와 실제 수술시 측정한 크기의 차이는 가로 길이는 평균 0.7 mm의 오차를 보였고, 세로 길이는 평균 2.0 mm의 오차를 보였다. 결론: 수술 전 3차원 초음파 검사와 실제 수술시 측정한 회전근 개 파열의 가로 및 세로 크기가 거의 일치함을 보여 수술 전 3차원 초음파 검사는 매우 유용한 검사로 사료된다.

내측상과염 환자의 임상항목과 자기공명영상 항목 중 조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군이 갖는 인자에 관한 분석 (Clinical Assessments and MRI Findings Suggesting Early Surgic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edial Epicondylitis)

  • 박형인;한석;이지숙;방진영;김영복;정현경;백지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613-623
    • /
    • 2021
  • 목적 내측 상과염 환자들 중 최종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된 환자들의 임상 및 자기공명영상 인자들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내측 상과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에서 주관절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52명의 환자들을 역행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정보, 자기공명영상 소견들이 평가되었다. 모든 변수들은 보존적인 치료를 받은 환자군과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군 사이에서 비교되었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어떤 인자가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군과 연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횡단면 및 관상면 공통 굴곡근 건의 파열 크기(p < 0.001, p = 0.013), 횡단면 및 관상면 공통 굴곡근 건의 이상 정도(p = 0.022, p = 0.003)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내측 측부 인대의 이상 정도(p = 0.025) 또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오직 공통 굴곡근 건의 횡단면 파열 크기(오즈비: 1.864; 95% 신뢰구간: 1.264~2.750)가 수술적 치료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내측 상과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더 큰 횡단면 공통 굴곡근 건 파열을 동반한 환자들이 결과적으로 수술을 받게 되는 경향성이 보였다.

Emulsification of Chloroprene Rubber (CR) by Interfacial Chemistry; Stabilization and Enhanc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 Lee, Eun-K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2권4호
    • /
    • pp.257-265
    • /
    • 2017
  • In this work, CR (Chloroprene Rubber) was emulsified by phase-inversion emulsification with nonionic surfactants (NP-1025, LE-1017, and OP-1019) and an anionic surfactant (SDBS;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nd its stabiliza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a study of its adsorption characteristics, zeta potential, and flow behavior. As the amount of the mixed surfactant increased, the droplet size decreased,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viscosity. In particular, a CR emulsion with a lower absorbance in the UV spectrum exhibited the highest zeta potential.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CR emulsion prepared using (LE-1017) and SDBS was the most stable. In this study, calcium hydroxide and aluminum hydroxide were added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R emul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nd surface free energy were investigated. The tensile and tear strengths of the CR emulsion incresed as the amount of calcium hydroxide and aluminum hydroxide increased. The highest tensile and tear strengths and surface free energy were observed for additions of 1.0% calcium hydroxide and 0.80% aluminum hydroxide,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the interfacial bonding strength was improved by the even dispersion of calcium hydroxide and aluminum hydroxide in the CR emulsion.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tructural integrity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 clinical and histological study

  • Pei Wei Wang;Chris Hyunchul J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1호
    • /
    • pp.10-19
    • /
    • 2023
  • Background: Tendon degeneration contributes to rotator cuff tears; however, its role in postoperative structural integrity is poor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structural integrity after rotator cuff repair,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histology of tendons harvested intraoperatively. Methods: A total of 56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between 2009 and 2011 were analyzed. A 3-mm-diameter sample of supraspinatus tendons was harvested en bloc from each patient after minimal debridement of the torn ends. Tendon degeneration was assessed using seven histological parameters on a semi-quantitative grading scale, and the total degeneration score was calculated. One-year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used to classify the patients based on retear. Results: The total degeneration scores in the healed and retear groups were 13.93±2.03 and 14.08±2.23 (P=0.960), respectively. Arthroscopically measured anteroposterior (AP) tear sizes in the healed and retear groups were 24.30±12.35 mm and 36.42±25.23 mm (P=0.026), respectively. Preoperative visual analog scale pain scores at rest in the healed and retear groups were 3.54±2.37 and 5.16±2.16 (P=0.046), respectively. Retraction sizes in the healed and retear groups were 16.02±7.587 mm and 22.33±13.364 mm (P=0.037), respectively. The odds of retear rose by 4.2% for every 1-mm increase in AP tear size (P=0.032). Conclusions: The postoperativ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rotator cuff tendon was not affected by tendon degeneration, whereas the arthroscopically measured AP tear size of the rotator cuff tendon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retear. Level of evidence: III.

견운모와 맥반석을 이용한 신발용 나일론 66직물의 항균가공 (Antibacterial Finishing of Footwear Nylon 66 Fabric with Sericite and Medilite)

  • 이언필;이재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6-102
    • /
    • 2007
  • Antibacterial finishing of nylon 66 fabrics was carried out with sericite and medilite which are a cheap price antibacterial agents and had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s. The particle size of sericite and medilite was 15 ${\mu}m$ and 30 ${\mu}m$. The antibacterial and deodorant ratio, tensile and tear strength, peel strength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eel strength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adhesive content, and satisfied standard value of peel strength when adhesive content is 20 $g/m^2$. Also peel strength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ntibacterial agent content and particle size in the adhesives. 2. Tensile and tear strength were not related with antibacterial agent content in the adhesives. 3. Laundering nylon 66 fabric treated with antibacterial agent, the optimum content satisfying Korean Standard(KS) is 8%. The antibacterial and deodorant ratio were not affected by several types of adhesives.

경추 손상 후 뇌척수액 유출에 대한 관리 (Management of Cerebrospinal Fluid Leak after Traumatic Cervical Spinal Cord Injury)

  • 이수언;정천기;장태안;김치헌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6권3호
    • /
    • pp.151-156
    • /
    • 2013
  • Purpose: Traumatic cervical SCI is frequently accompanied by dural tear and the resulting cerebrospinal fluid (CSF) leak after surgery can be troublesome and delay rehabilitation with increasing morbidity. This study evaluated the incidence of intraoperative CSF leaks in patients with traumatic cervical spinal cord injury (SCI)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surgery and described the reliable management of CSF leaks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images was done on patients with CSF leaks after cervical spine trauma. Results: Seven patients(13.2%) were identified with CSF leaks during the intraoperative period. All patients were severely injured and showed structural abnormalities on the initial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of the cervical spine. Intraoperatively, no primary repair of dural tear was attempted because of a wide, rough defect size. Therefore, fibrin glue was applied to the operated site in all cases. Although a wound drainage was inserted, it was stopped within the first 24 hours after the operation. No lumbar drainage was performed. Postoperatively, the patients should kept their heads in an elevated position and early ambulation and rehabilitation were encouraged. None of the patients developed complications related to CSF leaks during admission. Conclusion: The incidence of CSF leaks after surgery for cervical spinal trauma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cervical spinal stenosis. Therefore, one should expect the possibility of a dural tear and have a simple and effective management protocol for CSF leaks in trauma cases established.

Analysis of Greater Tuberosity from the Center of the Humeral Head: Progression to Femoralization

  • Lee, Jun-Seok;Song, Hyun Seok;Kim, Hyungsuk;Yoon, Hyung Moon;Han, Sung B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4호
    • /
    • pp.216-219
    • /
    • 2019
  • Background: Progression of the tear size and erosion of the greater tuberosity (femoralization) in the supraspinatus tear makes it difficult to repair or increases the risk of a re-tear. This study examined the proximal articular surface and greater tuberosity of the humeral head in plain radiography. Methods: Two-hundred forty-seven cases, whose anteroposterior (AP) radiographs were taken correctly, were included from 288 cases, in whom the status of the supraspinatus had been confirmed by surgery. After downloading the plain AP radiograph as DICOM, the radius of the circle apposed at the superior half of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hea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ircle and the farthest point of the greater tuberosity ('height' of the greater tuberosity) were calculated using the software (TechHime, Korea). MRI checked the number of torn tendons and degree of muscular atrophy. Results: The following were encountered: 93 intact supraspinatus, 50 partial-thickness tears, and 104 full-thickness tears. In the analysis using the 93 intact cases, the average radius of the rotation center was 25.3 mm in male and 22.3 mm in female. The average height of the greater tuberosity from the circle with the same rotation center was 4.3 mm in male and 4.2 mm in female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parability of supraspinatus and height of the greater tuberosity, fatty infiltration, and muscular atrophy was confirmed. Conclusions: The height of the greater tuberosity from the circle with the same rotation center was 4.3 mm in male and 4.2 mm in female. This height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muscular atrophy and fatty infiltration of the supraspinatus tendon.

관절경하 견갑하건 봉합술 - 8 례에 대한 예비보고 - (Arthroscopic Subscapularis Tendon Repair - Preliminary Report of 8 cases study -)

  • 윤호현;문기혁;장종훈;유연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4-131
    • /
    • 2004
  • 목적: 관절경으로 견갑하건을 봉합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었으므로 그 수기를 소개하고 그 적용범 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관절경하 견갑하건 봉합술을 시행했던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ll개월이였다. 견갑하건의 단독 손상이 2예, 후상방회전근개의 소범위 단순파열과 동반된 손상이 4예, 후상방 회전근개의 광범위 파열과의 동반이 2예이었다. 견갑하근의 파열형태로서 상방부의 전층파열이 6예, 관절면에 국한된 부분파열이 1예 그리고 완전파열이 1예이었다. 결과판정은 최종 추시시점에서의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상방 전위된 상완골두의 하방이동 여부 그리고 임상적 평가로서 Constant - Murley 기능평가법 이용하였다(Table 1) 결과: 술 후 평균 11개월에서의 견관절 기능평가는 술 전 55점에서 술후 75점으로 증가되었고 광범위 후상방파열이 동반되었던 2예를 제외한다면 술 후 평균 71점으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상완골두의 상방이동은 술 전평균 0.7 cm에서 술 후 0.5 cm로 감소하였으나 상방이동이 오히려 가속된 1 예를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경우에서 뚜렷한 하방 이동을 보였다. 최종 추시 시점에서의 술 후 만족도에서는 만족이 5예, 보통이 1예 그리고 불만족이 2예 이었고 불만족인 1예에서는 술 후 6개월에 관혈적 방법으로 견갑하건을 봉합하였다.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견갑하건의 봉합은 광범위파열과 동반된 견갑하건의 파열이 있을경우 퇴축이 심하지 않다면 피부절개와 삼각근의 절개범위를 줄일 수 있어 술 후 통증이나 삼각근의 약화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일수 있으며, PASTA 병변을 포함해서 후상방 파열과 동반되지 않은 견갑하건의 부분 파열은 매우 적합한 관절경하복원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회전근 개 파열의 진단에서 초음파-자기공명 조영술-관절경의 불일치 - 증례 보고 - (Discrepancy of Ultrasound-MR arthrography-Arthroscopy for the Diagnosis of Rotator Cuff Tear - Case report -)

  • 오정희;오주한;조기현;김세훈;빈성우;공현식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3-26
    • /
    • 2008
  • 회전근 개 파열의 진단에서 초음파 검사는 간편성, 저비용, 손쉬운 접근성 등의 이유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초음파와 자기공명 조영술 검사상 파열의 크기 등이 각각에 따라 차이를 보여 이를 보고하고자 하며,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74세 여자가 우측 어깨의 통증을 호소하였고, 신체 검진 상 충돌 증후군의 소견과 극상건의 근력 저하를 보여주었다. 초음파 상 1 cm 가량의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이 관찰되었으나, 자기공명 조영술에서는 3 cm 정도 크기의 파열이 관찰되었다. 관절경 소견상 회전근 개의 광범위 층상 파열과 함께 결손 부위에 얇은 막으로 덮여 있는 부분이 있어, 이러한 복합적인 파열 형태가 초음파 검사에서 크기를 작게 측정하게 된 원인이 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초음파 검사의 장점과 한계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검사 결과에 비하여 근력의 저하나 오랜 기간의 증상을 보여준다면 추가적 자기공명 조영술이나 반복적인 초음파 검사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