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personality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1초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에 미치는 유치원의 조직문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교사의 창의적 인성의 영향 (The Effects of Kindergartens'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on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 김현진;황희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150-16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kindergartens'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ing flow.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9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They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composed of kindergartens' organizational culture scal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ale,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teaching flow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among kindergartens'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ing flow. Second, kindergartens'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ffected teaching flow of kindergarten teachers. From th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that kindergartens'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re critical variables to improve teaching flow of kindergarten teachers.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Personality, Grit on Flouris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957-969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 H시에 소재한 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112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은 행복플로리시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교직인성이 나머지 두 변인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의 하위요인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능동적 동기 및 수동적 동기, 보편인성, 노력의 꾸준함 요인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교직선택동기 및 인성, 그릿의 향상을 통한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 설계 및 이의 검증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프리셉터의 지도유형과 신규간호사의 성격특성에 따른 신규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과 조직사회화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according to Teaching Style of Preceptors and Personality of New Nurses)

  • 최정실;양남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1-289
    • /
    • 2012
  • Purpos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style of preceptors, and personality,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8 new nurses. The data collected from March to May 2011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eaching style of preceptors was most frequently judgement-initiative, and personality of new nurses was most frequently extraversion. Nursing performance ($3.05{\pm}.59$)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3.05{\pm}.59$) of new nurses were at an average level.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eaching style of preceptor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ersonality and nursing performance, and between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hanges in perceived teaching style of preceptors and personality of new nurses may be necessary to increase efficiency of preceptorship related to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The above-mentioned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eceptor training programs.

프리셉터의 지도유형과 성격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차이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ing Style, and Personality of Preceptors)

  • 최정실;양남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49-356
    • /
    • 2011
  • Purpose: In this study, differences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style, personalit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preceptors were examined.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21 preceptors. Data were collected in November and December 2010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ost frequent teaching style was judgement-initiative, and personality scores were highest for conscientiousness. Job stress was average (3.05${\pm}$.59), and job satisfaction was below the mid-point level (2.76${\pm}$.39).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eaching styl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ersonality and job stress, and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hanges in perceived teaching style, and personality may be necessary to decrease job stress, and to promote job satisfaction among precep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eceptor training programs.

근무기관의 조직건강성이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Health o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 Teaching Efficacy)

  • 임한나;최인숙;김헤라;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20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eacher workplaces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teachers. Methods: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5.0. For mediating analysis, Baron & Kenny's (198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and the Sobel test were also implement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workplaces according to age, years of working experience, type of workplace, and daily working hours. For play teaching effica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years of working experience, type of workplace, and daily working hours of the teacher.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age and education level in relation to the teacher having a creative personality. Play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workplace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teach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workplace and play teaching efficacy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 예비수학교사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 대한 측정의 동등성 분석 (An Analysis of Measurement Equivalence in a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twee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 College of Education)

  • 김성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79-19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surement equivalence and to suggest application ways in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result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twee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 college of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cores of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of 36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nrolled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111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a college of education by performing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aduat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han that of colleg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total scores. In addition, graduat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d higher levels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han those of colleg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xcept for a creativity application domain based on the sub-domain scores. Second, cognitive domains were measured more precisely but affective domains were measured less precisely for graduat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an for colleg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ird, regardless of school levels, Cronbach's ${\alpha}$ values, which might be overestimated by applying the classical test theory, were higher than dependability coefficients. Fourth, this study showed a somewhat negative result in ensuring the measurement equivalence for a problem solving exploration domain. However, regardless of school levels,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verall measurement was generally reliable on composite score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methodologies' approach can be useful for exploring the measurement equivalence issu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how to utilize the results of the test, how to apply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is for detecting the measurement equivalence, and how to develop future research based on limitations.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인성 수업 모델 개발 -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Teaching Models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Focusing on the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ion'-)

  • 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56
    • /
    • 2012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정체성과 본질을 바탕으로 가정교과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의 특징과 요소를 탐색하여 도출하고, 가정교과의 창의 인성 수업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성과 인성 교육의 전제와 특징을 탐색하고,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요소를 18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창의 인성 교육의 전제와 특징, 창의 인성 교육 요소를 발현하기에 적합한 가정과의 창의 인성 수업 모델로서 실천적 문제해결학습 모형,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모형, 탐구학습 모형, 역할놀이(체험학습) 모형을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에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 인성 교육이 가정과교육의 본질과 부합되는 개념임을 확인하고, 가정과에서의 창의 인성 수업의 기초를 마련한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가정과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활성화,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 요소에 대한 다양한 검증, 다양한 창의 인성 수업모델 제시, 창의 인성 수업 후 학생들의 변화를 살피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 Professionalism)

  • 이해정;좌승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1-38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4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384명을 연구대상으로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의 인식 수준은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창의적 인성을 매개로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의적 인성 중 집요성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고,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eaching Personality·Aptitude, and Behavior Type of Preschool Teachers)

  • 임명희;박윤조;김성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45-16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NCS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 적성 및 DISC 행동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D대학의 예비보육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측정검사', '교직 인 적성 검사도구', 그리고 'DISC 행동유형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도성의 성격요인은 수리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성의 성격요인은 자기개발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의 요인은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요소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주도성의 특성은 문제해결력/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지식/정보력, 계획성, 성실/책임감과 같은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난 반면에서 안정성은 문제해결력. 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성실/책임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Study on the Real Cond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About the Personality Education)

  • 김용숙;유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63-273
    • /
    • 2017
  •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이 부족하고, 본질적으로 인성교육이 가야할 운영방향에 대한 내용 분석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다시 한번 조사 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S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에서는 인성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었으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는 "개인이기주의"이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가치관", 도움을 주는 요인은 "전인적 인간발달과 건강증진", 인성교육의 내용에서는 내적내용은 "용기", 외적내용은 "예절"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실태에서는 과반수 이상이 인성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교수자료로는 "인성교육 관련 자료", 교수-학습방법은 "이야기나누기", 횟수는 "주 1회", 소요시간은 "30분 이내", 주체자는 "담임교사", 어려운 점으로는 "학부모의 비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요구에서는 가장 적합한 시기는 "영아기"부터이며, 지도방법은 "가정과의 연계하여 지도"해야 하며,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교사의 솔선수범"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유아에게 올바른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발달수준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더불어 이에 따른 교사교육이 먼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