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Knowledge

검색결과 1,256건 처리시간 0.024초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Literacy embedded in Science Camp at Science Center

  • Park, Young-Shin;Chen, Angie Y.C.;Chen, Nelson C.C.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
    • /
    • 2013
  • 20 preservice teachers at college leve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interacted with student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during science camp offered by science center in Taiwan. Preservice teachers displayed moderate (above the average, 4 point out of 5)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views in all aspects of the nature of science before the camp. Then, the researchers designed science camp programs which were expected to promote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scientific knowledge, inquiry skills for experimentation as well as for argumentation, affective domain such as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he understandings about nature of science and the relationship among STS (Science-Technology-Society), all of which were embedded in the programs. Preservice teachers seemed to perceive scientific literacy pretty well (over 4 point) before the camp, however,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literacy were not much scored (around 3 point, but still moderate scores of average) as expected after concrete inquiry activities. The reasons why this happened could be that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trained to employ theory into the context to be more practical or the researchers did not develop camp program which included the aspect of scientific literacy successfully.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 were made in teacher education in that preservice teachers must be prepared how to bridge theory into practice, and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 that educators at science centers must be trained to be experts in providing the envisioned educational programs to meet the goal of science education, scientific literacy.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Multicultural education show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 조수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19-37
    • /
    • 2018
  • 본 연구는 1, 2학년 수학교과서에 반영된 다문화 교육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다문화 수학교육 요소 분석 틀을 개발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나 '지식의 다양성', '사회적 문제 해결'에 대한 다문화 교육 요소가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 있었지만,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학교과서에는 '사회적 문제해결'을 제외한 다문화 교육요소가 고루 나타나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적용된 다문화 교육 요소의 적용 수준은 대부분 낮게 나타났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다른 나라의 수학사나 문화가 지나치게 유럽 중심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는 다문화 학생이나 장애인, 타인종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에서 다문화 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다음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수학 평가 결과의 분석을 위한 인지 진단 이론의 활용 (Using Cognitive Diagnosis Theory to Analyze the Test Results of Mathematics)

  • 김선희;김수진;송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259-277
    • /
    • 2008
  • 본 연구는 인지 진단 이론을 활용하여 수학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교수 학습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3{\sim}2006$년에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교 3학년 수학 검사에서 30개의 선다형 문항을 선정하여 검사지를 재구성하고 검사를 실시하였고 인지 진단 이론의 한 모형인 Fusion Model을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검사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숙달한 수학적 속성을 판별하고, 학생 전체와 성취수준별로 숙달한 속성과 그 속성의 개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 개개인의 수학적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 학생 개개인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알려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진단과 처방, 추후 학습 지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학교보건사업을 통한 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chool Health Promotion Services)

  • 남철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3-211
    • /
    • 1997
  • The study was designed to gain necessary basic data in order to grasp the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level of students and teache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of 3,400 students and 1,022 teachers attending 14 different schools large, middle and small cities and rural towns during a period of nine months (from Oct. 2 1995 to Jun. 30 1996).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school health development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of 10 members: school health related teachers (physical trainers, nurses, and teachers in charge of health), parents, persons related to health administration, local medical doctors, and student reprensentatives in order to support and immplement school health development plans. 2. Like advanced countries, a health class of 2~4 hours should beplac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A nurse majoring in health from a university should be the teacher. 3. A curriculum of health should contain the following: education on health, sex, alcohol, tabacco, the misuse of the drug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the growth of the body, mental health, safety and emergency care, the prevention of disease, proper eating habits and nutrition, daily health life, family health education, society health, community health,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dividual responsibility. 4. Create a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 with a nurse's office, and a sports center which has health machines (bars, aerobics, training, twist machine, belt massage, running machine, bench press, chest waist, hack hip extension machine) as well as a physical strength measuring machine (muscular strength, alertness, flexibility, endurance, lung functions and so on), so that the teaching staff and students can use them and train their bodies. 5. Through a refresher education program, urge teachers to understand school health promotion services. 6. Regulate a standard and establish a system of monitoring the physical enviroment of the school (the height of desks and chairs, illumination facilities, ventilation facilities, safe drinking water). 7. Create a check list of health to evaluate improvement.

  • PDF

권장식사패턴을 활용하여 작성된 식단계획의 영양평가 - 가정과 교사와 여중생이 작성한 식단계획 - (Nutritional Assessment of Menu Plan Prepared according to the Target Pattern - Menu Prepar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and Middle-School Girls -)

  • 김아롬;김미정;김영남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75-385
    • /
    • 2011
  • The nutritional balance of the menu plans prepared according to the target pattern was examined. Total of 81 home economics teachers throughout the nation and 161 3rd-grade middle-school girls in Chungnam area participated.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using SPSS WIN 12.0. Although both teacher and student groups had fairly good knowledge on preparing menu plans related concepts, they rarely make use any menu planning currently. More than 85% of menu plans investigated exceeded their energy goal in the target pattern. The energy contribution ratios of carbohydrate: protein: fat were 56.1%: 17.4%: 26.5% in teachers' menu plan and 55.1%: 17.2%: 27.7% in students' menu plan. The NAR of the protein, phosphorous, iron, zinc, vitamin A and C, thiamin, riboflavin, niacin, B6 was 1 or near 1. But in case of calcium, 56.5% of the menu plan prepared by the students was less than 1, and in case of folate 75.3% of teachers', and 85.1% of students' were less than NAR 1. The MAR of the 12 nutrients examined were 0.98, 0.97, and the DVS were 51, 49 for menu plan prepared by teach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드 모르간이 위대한 수학 교육자가 되기까지 : UCL의 사회적, 제도적, 간학문적 맥락 속에서 순수 수학 교육 바라보기 (From a Young Mathematics Professor to a Great Mathematics Teacher: Considering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Education of Pure Mathematics in the Social, Institutional and Interdisciplinary Contexts of UCL)

  • 조수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09-143
    • /
    • 2011
  • 1820년대 말에 런던대학칼리지의 초대 수학 교수가 되었던 드 모르간은 인접 분야인 자연철학 분야의 독특한 특징, 런던대학칼리지 학생들의 학업 수준 및 관심, 그리고 수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들 속에서 자연스럽게 수학 '교육'의 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수학 분야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려는 과정에서 다른 무엇보다도 수학의 기본 원리 및 개념들을 명확하게 이해시키고, 수학적 논의들을 엄밀하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는 데 집중하였다. 그가 연구자로만 남아 있을 수 없었던 상황에서, 그의 수학 교육은 UCL의 사회적 제도적 특징들, 수학 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견해들, 그리고 인접 분야와의 관계 속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발전해 나가는 것이었다.

초등영재학급을 대상으로 그래핑 계산기의 지오보드를 활용한 Pick 공식의 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논증활동의 분석 (Analysis on the Argumentation in Exploring the Pick's Formula Using the Geoboard of Graphing Calculator in Math-Gifted 5 Grade Class)

  • 김진환;강영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85-103
    • /
    • 2016
  • 이 연구는 5학년 영재반 수업에서 TI-73 그래핑 계산기의 지오보드를 사용하여 Pick의 공식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수업담화로부터 논증과 논증활동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수업 비디오, 음성녹음록, 활동지가 있으며 Toulmin의 논증 도식을 분석의 준거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그래핑 계산기의 지오보드는 주어진 조건의 다양한 격자다각형에 대한 넓이를 계산해줌으로써 실험과 관찰의 환경을 조성하고 '자료${\rightarrow}$주장'의 구성과 이의 정당화를 위한 보증, 지지, 한정어, 반박의 논증활동을 유발시키는 도구적 역할을 하였다. 경계점의 수와 내점의 수로 Pick의 공식을 유도할 때 '집단적 논증'의 방식이 나타났으며 교사는 논증활동을 지휘하는 역할, 지식을 판단하는 권위자의 역할을 하였다.

과학 수업에서의 소집단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인성과의 관계 (Students' Perceptions on Small Group Activities in Science Classes and the Relationship with Personality)

  • 한재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99-50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소집단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소집단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가치 및 태도와 성, 사전 성취 수준, 인성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과학 시간의 소집단 활동 빈도가 높은 4개 학교에서 226명의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과학 시간에 소집단 구성은 주로 교사에 의해 성적이나 번호, 추첨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조편성에 불만을 가진 경우가 많으며, 교우 관계에 의한 조편성을 선호하거나 하나의 소집안에 성적이 고르게 분포되기를 희망하였다. 학생들은 성별이나 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소집단 활동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유화성과 외향성이 높을수록 소집단 활동에 대한 가치나 태도가 높았다. 5가지 인성 변인 중 소집단 활동에 대한 가치나 태도를 모두 유의미하게서 설명하는 변인은 유화성으로 나타났다.

현행 중등학교 과학 실험.실습 교육 실태 조사 및 그 운영 진단(I)-중학교 과학 실험.실습 교육을 중심으로- (An Analysis and Survey on the Experimental and Practical Science Education of Middle School in Korea)

  • 이윤종;기우항;김영호;정원우;양승영;강용희;안병호;임성규;윤일희;김중욱;윤성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35-450
    • /
    • 1997
  • The status of facilities, management for the experiment, practices, teaching methods in middle schools have been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us and reasonable management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 have been grasped from the questionaires. To do this 125 secondary science teachers, 1,745 students and 70 principals of schools in Korea are administered questionaires of Science Education Reserch Institut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199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reasonable management for experiments and practices of science education were scanty in the middle school around the urban and rural school owing to the shortage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crowded class, excessive class works for teacher, excessive contents of present textbooks and insufficiency of the administrative supports etc. The current teaching method of middle school science has emphasized knowledge. This fact does not satisfy the objective of learning due to lack of the teaching method.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resent status of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 were proposed in this paper

  • PDF

교육 프로파일링을 활용한 학생 맞춤형 다차원 분석 시스템 (Student-oriented Multi-dimensional Analysis System using Educational Profiling)

  • 김기봉;신현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263-27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교육 분야에 프로파일링을 활용하여 교사가 전문적인 통계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운영이 가능한 성적 맞춤형 통계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프로파일링에 대한 기술을 교육 분야에 융합하여 학생 맞춤형 다차원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필요 요소들(프로파일링, 빈도/교차/기간별/이항/다항 분석)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제 교육 프로파일링을 활용한 학생 맞춤형 다차원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와 구축 상황에 대해 언급하고, 각 통계적 방법을 적용한 알고리즘에 대한 구현 결과를 보였으며, 기존에 존재하는 시스템들과의 차별성과 우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안된 기술을 기반으로 시스템이 구축되면 수각자의 요구와 능력의 차이를 고려하여 정확한 목표 및 기준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공교육 만족도 제고를 통해 선행학습 및 사교육비 절감의 효과와 학생 개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자기 주도적 학습 실현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