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99m-ECD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플라스틱 주사기와 놈젝 주사기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품의 투여율 측정 비교 (Comparison of Radiopharmaceutical Dosing Rate Measurements Using Plastic Syringes and Norm-ject Syringes)

  • 손상준;박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95-400
    • /
    • 2020
  • 2019년 10월부터 2020년 1월까지 대구P병원 핵의학과에서 SPECT 검사를 위한 입원환자 중 3-way 주사재료를 장착하고, 99mTc 표지화합물을 투여하였던 주사기 120EA를 대상으로 하였다. 플라스틱 주사기 사용시 희석 횟수에 따른 평균 투여율은 99mTc-ECD가 90.87±11.08로 가장 높았으며, 99mTc-DMSA가 75.28±7.43으로 가장 낮았다. 놈젝주사기 사용 시 희석횟수에 따른 평균 투여율은 99mTcO4가 93.58±7.96으로 가장 높았으며, 99mTc-DMSA가 91.60±6.07로 가장 낮았다. 99mTc-DMSA의 플라스틱 주사기와 놈젝주사기의 차이가 나는지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유의확률은 0.007로서 플라스틱 주사기와 놈젝 주사기의 평균은 다르므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특히 신장검사에 사용하는 99mTc-DMSA는 소아 환자에게 주로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으로 정확한 투여량이 중요하여 일반 플라스틱 주사기보다 놈젝 주사기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주산기아사가 있는 환아에서 나타나는 Tc-99m ECD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에서의 롤란도야의 혈류감소: 자기공명영상 및 임상소견과의 비교 (Perirolandic Hypoperfusion on Tc-99m ECD Brain SPECT in Term Infants with Perinatal Asphyxia: Comparison with MRI and Clinical Findings)

  • 이선아;유영훈;이종두;황윤준;김동익;윤평호;전평;문성욱;박창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1997
  • 뇌성마비는 뇌 발달시기중 초기의 장애로 인하여 운동기능과 자세의 이상 등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여러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뇌성마비 환자중에서 MRI 상 롤란도야의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우 특이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에서 나타나는 뇌혈류 이상 소견과 MRI 소견, 그리고 임상양상들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임상적으로 뇌성마비로 진단된 80여명의 환자중 MRI상 롤란도야에 저산소성 뇌질환의 소견을 보인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5-10mCi의 Tc-99m-ECD를 정맥주사후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을 하였다.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상에서는 특히 뇌피질, 선조체, 시상, 뇌간 및 소뇌의 혈류이상 소견을 분석하였고, 이를 MRI 소견 및 임상증상과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만삭 또는 만삭에 가깝게 태어났고, 주산기 아사가 여섯명의 환자에서 있었다. 임상적으로는 긴장성 사지마비로 나타났다. Tc-99m ECD를 이용한 뇌 단일광자 컴퓨터촬영상 롤란도야의 혈류감소는 모두에서 확연하게 나타났다 MRI상에서 롤란도야의 이상소견은 5명에서는 확실하게 나타났고, 2명에서는 의심되었다. MRI상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것보다 더 광범위한 부분에서 뇌단일광자컴퓨터촬영상 이상소견이 보였다. 결론적으로, 롤란도야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환자는 임상적,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특이한 소견을 보였다. Tc-99m-ECD를 이용한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은 매우 민감하게 반영하였고, MRI보다 뇌의 더 광범위한 부위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 PDF

일측 뇌경색 환자에서 반대측 뇌의 보상성 뇌관류 증가에 대한 SPM 분석 (Ipsilateral Cerebral and Contralateral Cerebellar Hyperperfusion in Patients with Unilateral Cerebral Infarction; SPM Analysis)

  • 홍선표;윤준기;최봉회;주인수;윤석남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5호
    • /
    • pp.347-353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일측 뇌관류결손이 있는 뇌경색 환자들에서 $^{99m}Tc-ECD$ 단일 광자방출단층촬영술을 이용하여 반대측 국소 뇌관류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뇌관류결손이 있는 뇌경색 환자 57명이 대조군에 포함되었으며, 좌측과 우측 뇌경색 환자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들은 발병 시기에 따라 6개월을 기준으로 급성 뇌경색 환자군, 만성뇌경색 환자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들 모두 국소 뇌관류를 측정하고자 SPM분석을 이용한 $^{99m}Tc-ECD$ 단일 광자방출단층촬영술을 실시하였다. 모든 대조군의 결과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대조군에서 뇌경색 반대측 대뇌피질에서 뇌관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뇌경색 대뇌측에서의 뇌관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만성 뇌경색 대조군에서는 뇌병변 반대측 일차 감각운동피질에서의 뇌관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급성 뇌경색 대조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만성 좌측 뇌경색 대조군에서는 우측 소뇌 뇌관류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론: 뇌혈류 SPECT의 SPM분석에서 일측성 뇌경색 환자에서 뇌경색 반대측 대뇌의 혈류가 증가하고, 일부 환자군에서는 뇌경색 동측 소뇌의 혈류도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견이 뇌기능의 회복 기전과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지 증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MELAS 증후군과 미토콘드리아 근육병에서의 Tc-99m ECD 뇌단일 광전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자기공명영상과의 비교 (Tc-99m ECD Brain SPECT in MELAS Syndrome and Mitochondrial Myopathy: Comparison with MR findings)

  • 박상준;유영훈;전태주;김재근;남지은;윤평호;윤춘식;이종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90-496
    • /
    • 199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MELAS 증후군과 미토콘드리아 근육병의 뇌 SPECT 소견을 알아보고 SPECT 소견과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MELAS증후군의 특징적인 영상 소견을 찾아보고자 하였고 MELAS 증후군에 있어서 뇌 SPECT의 역할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뇌졸중 유사 증상이나 경련 또는 발달 지연을 주소로 하였고, 혈청 또는 뇌척수액의 lactic acid치가 상승되어 있는 1세에서 25세의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남녀비는 4:1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Tc-99m ECD를 이용한 뇌혈류 단일광전자방출 전산화 단층촬영술(SPECT)와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영상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주로 두정엽(4/5)과 후두엽(4/5), 그리고 기저핵(1/5)에 백질과 회백질에 증가된 T2 신호강도를 나타내었는데, 특정한 혈관 영역에는 부합하지 않는 병변의 분포양상을 보였다. SPECT상에서는 자기공명영상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모든 부위에서 관류 저하를 보였으며 추가적으로 두정엽(1예), 측두엽(1예), 전두엽(1예), 기저핵(1예)와 시상(2예)에서도 감소된 Tc-99m ECD의 섭취를 나타내어서, 자기공명영상과 SPECT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수를 비교하면 자기공명영상에서 나타난 해부학적인 이상소견보다 SPECT에서 보인 관류 저하가 더 광범위하였다. 결론: MELAS 증후군의 SPECT에서는 특정한 혈관 영역에는 부합하지 않는 두정엽과 후두엽, 기저핵, 시상, 측두엽등의 관류저하를 보여 주었는데, 본 연구의 여러 제한점으로 인하여 MELAS 증후군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소견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응하는 이상 소견이 없이 SPECT에서만 관류 저하를 보이는 경우의 중요성은 좀 더 많은 수의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평가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나타내었다.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정상인의 뇌영상에 대해 위치 정합을 실시한 결과 평균 거리 오차는 2mm 이하였다. 가중정규화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합성된 영상의 정성적인 식별 명확도가 향상하였다. 결론: 견실한 PET 영상 경계점 추출과 거리지도를 이용한 계산 속도의 향상을 통해 뇌 PET과 MR 영상 합성기법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며 개발한 영상정합 프로그램은 임상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07% ID/g 이하로 매우 낮았다. 결론: 이실험에서 표지한 Re-188 황 교질은 표지효율과 안정성이 높고 임상적으로 방사선 활액막 절제술 등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I$] 또는 [$^{131}I$]OMIMT는 종양의 아미노산 대사 영상제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_A,\;R_v$의 결과간에 좋은 상관관계를 가졌다. 따라서 이러한 약역학 컴퓨터시뮬레이션이 SPECT 영상을 이용한 도파민 운반체 또는 수용체 정량분석을 최적화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TEX>-CIT SPECT는 파킨슨병의 조기진단 및 진행 추적에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SCC 4예, AC 1예)였으며, 11예 중 9예(81.8%)에서 방사선학적 검사결과와 Tc-99m MIBI섭취율의 변화가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Tc-99m MIBI SPECT는 폐암병소의 국소화 및 방사선치료 효과의 판정에 어느정도 유용하리라 사료되었다.냈고 4명에서는 low CBD obstruction을 나타내었으며 후에 CBD stone, CBD carcinoma, gall bladder Ca.의 porta hepatis 전이 및 clonorchis worms의 cluster에

  • PDF

죽상경화성 뇌혈관질환 환자에서 성공적인 EC/IC 우회술 후 혈류역학적 변화: 기저/아세타졸아미드 SPECT를 이용한 연구 (Hemodynamic Outcome of Successful Bypass Surgery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Cerebrovascular Disease: A study with Acetazolamide and $^{99m}Tc-ECD$ SPECT)

  • 어재선;오창완;김유경;박은경;이원우;김상은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6호
    • /
    • pp.293-301
    • /
    • 2006
  • 목적: 폐색성 뇌혈관질환에서 EC/IC 뇌혈관 우회술은 해당 뇌조직의 혈류 증가를 기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99m}Tc-ECD$ 뇌혈류 스펙트를 이용하여 폐색성뇌질환 환자에서 성공적인 우회로 시술 후 단기, 장기간의 혈류역학적 변화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뇌경색 또는 뇌허혈 증상을 가진 죽상경화성 뇌폐색성 혈관질환으로 성공적 STA-MCA 문합술을 시행한 14명의 환자(남:여=8:6, 평균연령: $60{\pm}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전과 술후 10일, 6개월에 시행한 $^{99m}Tc-ECD$ 기저/아세타졸아미드 부하 뇌 혈류 SPECT에서 기저 뇌혈류 및 뇌혈류예비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우회술 전 원인 내경동맥 측의 비경색뇌부위의 기저 혈류 및 뇌혈류예비능은$52.4{\pm}3.5$$-7.9{\pm}4.7%$이었다. 수술 후 초기 및 후기의 내경동맥 공급 뇌부위의 혈류는 각각 $53.7{\pm}2.7,\;53.3{\pm}2.5$로 술전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술후 10일과 6개월 사이의 기저뇌혈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뇌혈류예비능은 술전과 비교하여 초기 및 후기에 유의한 호전(초기, $-3.7{\pm}2.6%$, 후기: $-1.6{\pm}2.3%$)을 보였으며, 수술 후기에서 수술 초기와 비교하여서도 유의미한 추가의 뇌혈류예 비능 증가가 관찰되었다 (p<0.05). 반면,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쪽의 내경동맥 공급 뇌부위에서는 수술 후 추적검사에서 기저혈류 및 뇌혈류예비능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성공적 뇌혈관 우회술 후의 초기 뇌혈류 SPECT에서의 단기적 혈류변화는 뇌혈류의 재개통에 의한 즉각적인 변화를 반영하고, 반면에 수술 후기 SPECT에 관찰되는 장기적인 혈류변화는 우회술 후에 신생혈관에 의한 측부순환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변화가 EC/IC 우회술 후 뇌졸중의 발병빈도의 감소와 상관되리라 여겨진다.

뇌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r Tomography 영상을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초기 증상 차이에 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n Initial Symptoms Using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r Tomography in Schizophrenia)

  • 이진구;김성민;서영덕;김기성;왕성근;지익성;김정란
    • 생물정신의학
    • /
    • 제17권3호
    • /
    • pp.127-135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between hallucination group and delusion group in patient with schizophrenia, using Brain $^{99m}Tc$-ECD PECT. Methods : Among 16 patients with less than 3 schizophrenic episodes, 8 patients whose initial symptom was hallucination were assigned to the hallucination group, and other 8 patients with initial sumptom of delusion were assinged to the hallucination group. All of the patients clinically evaluated using the PANSS and BPRS. Both groups of patients and 8 healthy subjects underwent $^{99m}Tc$-ECD PECT. Results : Score of thinking disturbance subscale of BP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allucination group than the delusion group. In SPECT analysis, the hallucin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erfusion in some areas of the right temporal lobe, bilateral limbic lobes and left parietal lobe compared to delusion group. Both group had a reduced rCBF in some areas of the frontal lobe. Conclusion : The hallucniation group, compared with the delu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some regions. Therefore, this data suggests that different neural substrates may affect the process of auditory hallucination and delusion.

Tc-99m ECD 뇌혈류 SPECT를 이용한 백회, 인중, 합곡, 족삼리, 삼음교에서 체침의 뇌혈류에 대한 효과 (Effect of Acupuncture o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t Acupoints GV 20, GV. 26, LI. 4, ST. 36, SP. 6 Evaluated by Tc-99m ECD Brain SPECT)

  • 송호천;범희승;강화정;안수기;김성민;정환정;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56-464
    • /
    • 2000
  • 목적: 뇌졸중 등을 포함한 신경질환에 여러 경혈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작용기전은 아직 불분명하며, 경혈과 뇌혈류의 변화, 그리고 뇌영역 간의 차이에 관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뇌졸중에 사용되는 경혈인 백회, 인중, 합곡, 족삼리과 삼음교에서 체침 자극시 뇌혈류의 변화 여부와 이에 따른 뇌영역의 차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한 정상 성인 54명(남:여=34:20, 연령분포 $18{\sim}6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혈에 따라 백회 6명, 인중 5명, 합곡 15명, 족삼리 16명, 그리고 삼음교는 6명에서 시행하였고, 대조군으로 이 중 6명에서 비경혈 부위를 자극하였다. Tc-99m ECD 925 MBq를 수사하고 5분 째 기저영상 촬영을 시작하였으며, 촬영시작 8분 째 각 경혈에 체침을 놓은 상태로 검사 끝까지 43분간 유지시켰다. 첫 촬영이 끝난 직후 동일양의 Tc-99m ECD를 주사하고 5분후 동일한 방법으로 두 번째 촬영을 하였다. IBM 컴퓨터에서 PC용 MATLAB과 윈도우용 SPM'97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백회의 경우 양측 전두엽 앞쪽, 우측 측열구(sylvian fissure) 주위의 전두엽과 측두엽, 좌측 측두엽 앞쪽과 소뇌반구 일부에서 의의있는 뇌혈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인중의 경우 좌측 전전두엽에서 뇌혈류가 의의있게 증가하였고, 이에 인접한 우측 전두엽 일부에서 뇌혈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우측 합곡에서는 좌측 대뇌반구, 즉 좌측 전두엽 대부분, 측두엽 앞쪽 일부와 좌측 소뇌, 그리고 우측 전두엽 하방에서 의의있게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우측 족삼리의 경우 좌측 측두엽, 우측 전두엽 하방과 측두엽 일부, 좌측 소뇌에서 뇌혈류가 증가되었다. 우측 삼음교에서는 좌측 전두엽 하방과 측두엽 전면부, 그리고 촤측 소뇌 일부에서 의의있게 뇌혈류가 증가되었다. 비경혈부위에서는 의의있는 뇌혈류 증가는 없었다. 결론: 체침은 뇌혈류를 증가시키고, 각 경혈은 특정한 뇌영역과 관련이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체침은 뇌졸중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하고, 효과적인 경혈을 선택하는데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핵의학과에서 99mTc를 이용한 방사성의약품의 투여율 측정 비교 (Comparison of the Measurement of the Injection Rate of Radioactive Drugs Using 99mTc in Nuclear Medicine)

  • 손상준;박정규;정동경;박명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2호
    • /
    • pp.97-103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PECT test at th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t Daegu P Hospital from June 1 to October 31, 2019. A 3-way injection material was mounted among inpatients, and a syringe that was administered with radiopharmaceuticals using a 99mTc labeled compound was secured. We tried to find a way to calculate the dose rate of each radiopharmaceutical and increase the dose rat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radioactivity of radio-pharmaceuticals using 99mTc, the average dose rate of 60 syringes of all 6 radiopharmaceuticals was 93.26±7.34%, and the average dose rate of 99mTc-DMSA was 77.72%, 15.54% lower than the total. As a way to increase the dosing rate, the average dose rate diluted twice with the remaining amount of syringe after administration using normal saline increased to 95.37±6.99%, and the average dose rate diluted three times increased to 96.32±6.86%.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to compare the pre- and post-dose rates at 1 dilution and 2 and 3 dilutions. As a result of the dilution and 2 dilutions,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was 0.013,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ilution(p<0.05).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for dilution 1 and dilution 3 was 0.016,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ne dilution(p<0.05). The sum of the average dose rate using the experimental 3-way line was the highest with 98.85±1.42% of 99mTc, 99mTc-ECD 98.82±1.26%, 99mTc-Mebrofenin 98.82 ± 1.16%, 99mTc-HDP 98.74 ± 1.91%, 99mTc -MIBI was 98.69 ± 1.48%, and 99mTc-DMSA was the lowest with 86.47 ± 4.74%. When the number of dilutions was 5 times using 0.5 cc of normal saline and when the number of dilutions was 5 times using 1 cc of normal saline, when the number of dilutions was 5 times using 0.5 cc of normal saline and 1 cc of nomal saline When the number of dilutions was 5 times and the syringe volume was 0.5 cc,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number of dilutions was 5 times using 1 cc of nomal saline and the number of dilutions was 5 times using 1 cc of normal saline, and the syringe volume was 0.5 cc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