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TS cel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포화사(飽和砂)의 전단강도(剪斷强度)에 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Shear Strength of Saturated Sand)

  • 이형수;박용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07-113
    • /
    • 1989
  • 본(本) 연구(硏究)는 일본(日本)의 표준사(標準砂)인 풍포사(豊浦砂) (Toyoura Sand)를 사용(使用)하여 일본대학(日本大學) 이공학부토질실험실(理工學部土質實驗室)에 비치(備置)된 응력(應力)과 변형(變形)의 조건(條件)이 서로 다른 시험장치(試驗裝置) 이용(利用)하여 평면변형시험(平面變形試驗)과 축대칭응력(軸對稱應力) 조건하(條件下)의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을 실시(實施)하고 이미 조사(調査) 보고(報告)한 바 있는 비트림 단순전단시험(單純剪斷試驗) 결과(結果)와 비교(比較)하여 3차원(三次元) 응력조건하(應力條件下)에서 포화(飽和)된 모래의 전단변형(剪斷變形)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모래의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 ${\phi}_d$는 응력변형(應力變形)의 조건(條件)에 관계(關係)없이 구속압(拘束壓)에 반비례(反比例)한다. 이는 같은 밀도(密度)의 모래라도 구속압(拘束壓)이 낮을 수록 체적변화(體積變化)가 크기 때문이다. 2) 같은 밀도(密度)의 모래라도 응력변형(應力變形)의 조건(條件)에 따라 ${\phi}$값이 다르며 ${\phi}_dTS$${\phi}_dPS$${\phi}_dTC$에 비(比)하여 구속압(拘束壓)이 낮을 때 그 영향이 크다. 3) 같은 밀도(密度)와 구속압하(拘束壓下)에서는 ${\phi}_dPS$${\phi}_dTC$ 보다 크고 ${\phi}_dTS$ 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보아 모래의 전단강도(剪斷强度)는 응력변형(應力變形)의 조건(條件)에 따라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4) 모래의 한계상태(限界狀態)를 나타내는 에너지 소산식(消散式)에 의(依)하면 응력비(應力比)(q/p)와 변형증분비(變形增分比) 관계(關係)는 평면변형시험(平面變形試驗)의 경우 공시체(供試體)의 구속압(拘束壓) 및 밀도(密度)에 관계(關係)없이 동일(同一)한 직선상(直線上)에 존재(存在)한다.

  • PDF

NR 발포를 사용한 자기 밀폐형 고무 재료의 연구 (A Study of Self-Sealing Rubber Material Using Foamed Natural Rubber)

  • 김도현;김현묵;이창섭;안원술;김준형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1권2호
    • /
    • pp.88-9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연료 누출 시 자기 밀폐성을 갖는 연료 탱크에 사용할 수 있는 고무재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발포천연고무에 카본블랙과 가공유를 $10{\sim}30phr$범위에서 혼련하여 함량에 따른 발포고무의 가황 특성, 밀도, 팽윤실험 및 표면형상을 조사하였다. 미가황 고무의 가황 특성은 가공유에 의해 $ts_2$$Tc_{90}$이 느려졌으나 카본블랙에 의해서는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발포에 의한 밀도의 차는 가황 전과 비교해 1/5로 밀도가 감소하였다. 발포천연고무의 팽윤실험 측정 결과, 연료 C, 이소옥탄, 톨루엔에서는 2분 이내에 모든 발포고무에서 자기밀폐작용의 90% 이상이 완료되었다.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표면형상을 관찰한 결과 sodium bicarbonate에 의한 발포는 비균등한 연속 발포 셀로 나타났다.

각질형성세포 유래 엑소좀이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eratinocyte Derived Exosome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n Human Skin Keratinocyte)

  • 김도윤;유호진;황대일;장상희;이환명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9-366
    • /
    • 2016
  • 엑소좀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작은 소낭체로서, 기원세포와 조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세포생존 및 세포 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엑소좀을 활용하여 종양연구, 면역질환 개선, 질병진단 bio-marker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피부세포에서 분비기전 및 피부 생리적 기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인체피부 유래 각질형성세포(HaCaT)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이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HaCaT으로부터 ExoQuick-TC를 활용하여 엑소좀을 분리하고, 열처리 엑소좀(boiled exosome)과 무처리 엑소좀(unboiled exosome)으로 구분하였다. HaCaT 유래 엑소좀은 농도 의존적으로($0.1{\sim}20{\mu}g/mL$) HaCaT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20{\mu}g/mL$에서 대조군(control)에 비해 각각 $186.96{\pm}3.87%$(열처리) 또는 $193.48{\pm}10.48%$(무처리)의 증식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HaCaT 유래 무처리 엑소좀은 농도 의존적인($0.1{\sim}20{\mu}g/mL$) HaCaT의 이주활성을 나타내었고, $20{\mu}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179.39{\pm}4.89%$의 이주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열처리 엑소좀은 이주 유도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무처리 HaCaT 유래 엑소좀은 collagen sprout outgrowth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HaCaT 유래 엑소좀은 지질 및 열에 안정한 물질이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단백질 또는 열에 불안정한 물질이 세포의 이동 및 sprout out growth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피부각질형성세포 유래 엑소좀은 피부의 재상피화 및 상처치유 등의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향후 화장품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천문동(天門冬)이 항암(抗癌) 및 면역세포(免疫細胞)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Asparagi Tuber on Anti-cancer and Immunocytes)

  • 정현우;조영임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9-178
    • /
    • 1997
  • 동의학(東醫學)에서는 질병의 발생에 대하여 정기(正氣)의 강약(强弱)에 그 관건(關鍵)이 있다하였다. 그리하여 모든 질병의 치료에 있어서도 정기(正氣)의 회복에 중점을 두는 부정법(扶正法)이나 거사법(祛邪法)을 사용하면서도 정기(正氣)에 손상(損傷)을 입히지 않도록 많은 관심을 기우리고 있다. 암(癌)의 치료 또한 정기(正氣)가 얼마만큼 보충되는가에 따라 항병능력(抗病能力)이 항진(亢進)된다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국내외적(國內外的)으로 악성종양(惡性腫瘍)을 치료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연구를 하고 있으며, 또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치료방법들로는 수술요법(手術療法) 방사선요법(放射線療法) 면역료법(免疫療法) 화학요법(化學療法)등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미흡한 상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항암제(抗癌劑)를 이용한 화학요법(化學療法) 등이 사용되고 있고, 면역료법(免疫療法)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어 본 저자(著者)들은 천문동(天門冬)이 면역세포(免疫細胞)의 증식(增殖)을 촉진시켜주면서 항암작용(抗癌作用)이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되는 바 피부암세포(皮膚癌細胞)인 A431 cell line과 골수암세포(骨髓癌細胞)인 KHOS-NP cell line에 천문동(天門冬)을 투여(投與)하여 암세포(癌細胞)의 증식(增殖)을 살펴보고, 면역세포(免疫細胞)인 T cell과 B cell의 증식(增殖)을 살펴보았다. 또한 복강내(腹腔內) macrophage에서 분비되는 NO의 양(量)을 In vitro와 In vivo실험(實驗)을 통하여 살펴보았고, T cell의 apoptosis 및 subpopulation의 양(量)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結果) 천문동(天門冬)은 A431 cell 및 KHOS-NP cell에 항암작용(抗癌作用)을 보였고, T-cell의 증식(增殖)을 촉진시켰으며, 마우스 복강내(腹腔內) macrophage에서 분비(分泌)되는 NO의 양(量)을 감소시켜고, T cell의 apoptosis에 있어서는 대조군(對照群)에 비하여 유의성(有意性)있게 증가(增加)시켰으며, subpopulation에서는 $T_H$ cell을 증가(增加)시켰다. 그리하여 천문동(天門冬)은 항암작용(抗癌作用) 뿐만아니라 면역세포(免疫細胞)의 증식(增殖)에도 관여하는 약물(藥物)로 인정(認定)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비강내 점적 노출을 통한 산화 알루미늄 나노입자의 폐독성 평가 (Pulmonary Toxicity Assessment of Aluminum Oxide Nanoparticles via Nasal Instillation Exposure)

  • 권정택;서균백;이미미;김현미;심일섭;조은혜;김필제;최경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8-55
    • /
    • 2013
  • Objective: The use of nanoparticle products is expected to present a potential harmful effect on consumers. Also, the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inhaled nanoparticles may pose a serious problem. In this study, we addressed this issue by studying pulmonary toxicity after nasal instillation of Al-NPs in SD rats. Methods: The animals were exposed to Al-NPs at 1 mg/kg body weight (low dose), 20 mg/kg body weight (medium dose) and 40 mg/kg body weight (high dose). To determine pulmonary toxicity, bronchoalveolar lavage (ts.AnBAL) fluid analysi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ere conducted in rats. In addition, cell viability was investigated at 24 hours after the treatment with Al-NPs. Results: BAL fluid analysis showed that total cells (TC) count and total protein (TP) concent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reatment groups, approximately two to three times. Also,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cytokines such as TNF-alpha and IL-6 dose-dependently increased following nasal instillation of Al-NPs. However,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PMNs) level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 dose dependant manner in BAL fluid. In the cytotoxicity analysis, the treatment of Al-NPs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induced cell viability loss (20 to 30%) and damage of cell membrane (5 to 10%) in rat normal lung epithelial cells (L2).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inhaled Al-NPs in the lungs may be removed quickly by alveolar macrophages with minimal inflammatory reaction, but Al-NPs have the potential to affect lung permeability. Therefore, extensive toxicity evaluations of Al-NPs are required prior to their practical application as consumer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