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odium distichu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낙우송(落羽松)(Taxodium distichum Rich.) 지재(枝材)의 압축이상재(壓縮理想材) 및 대응재(對應材)에 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Cellular Anatomy of Compression Wood and Opposite Wood in a Branch of Taxodium distichum Rich.)

  • 이필우;정연집;권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296-302
    • /
    • 1991
  • 본 연구(硏究)는 압축이상재가 현저하게 발달되어 있는 낙우송(落羽松)(Taxodium distichum Rich.)의 기재(技材)로부터 압축이상재율과 편심율 변이에 따른 압축이상재와 대응재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비교(比較)하고자 실시하였다. 압축이상재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은 가도관의 둥근형태, 춘재로부터 추재로의 매우 점진적인 가도관 이행(移行), 가도관 선단부의 뒤얽힘 및 나선강(螺旋腔)과 세포간극의 존재 등에 있어 대응재와 다른 특성(特性)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은 압축이상재율과 편싱심률에 관계없이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적(數量的) 특성에 있어서도 압축이상재는 가도관장(假導管長)이 대응재보다 짧은 특성을 보였으나 방사조직(放射組織) 밀도(密度)와 단열방사조직(單列放射組織)의 수(數)는 압축이상재가 대응재보다 많았다. 그리고 단열방사조직의 세포고(細胞高)는 대응재가 압축이 상재보다 더 큰 특성(特性)을 나타내었다.

  • PDF

낙우송(落羽松) 수간(樹幹) 가도관(假導管)내의 타일로시스 (Occurrence of Tyloses in Stemwood Tracheids of Taxodium distichum Rich)

  • 이필우;엄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163-165
    • /
    • 1988
  • 단막공(單膜孔)을 지니는 후막(厚膜)의 타일로시스가 삼나무형(型) 또는 편백형(型) 분야막공(分野膜孔)을 나타내는 낙우송(落羽松)의 수간(樹幹)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에서 관찰(觀察)되었으며 이러한 타일로시스는 방사유세포(放射柔細胞)가 가도관내강(假導管內腔)내로 확대(擴大) 침입(侵入)됨으로써 형성(形成)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 PDF

흰불나방의 용중과 포란수에 미치는 기주식물의 영향 -용중과 포난수와의 상관- (Effects of host plants on the pupal weight and number of eggs in the ovary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cunea Drury -Correlation between the pupal weight and the number of eggs­)

  • 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33-37
    • /
    • 1969
  • 야외에서 흔히 흰불나방의 피해를 입는 7개의 기주식물에서 채집된 흰불나방의 기주식물별 용의 크기와 포란수 및 그들간의 상관을 실내사육하여 보고된 결과와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의 체중은 기주식물의 종류와 자웅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웅에 있어서 평균용중의 순위는 이태리푸라, 가래나무, 버즘나무, 네군도 단풍나무, 낙우송 수양버들 및 벗나무이었고 웅용에 있어서 평균용중의 순위는 낙우송, 버즘나무, 가래나무, 네군도단풍나무, 이태리 포푸라, 수양버들 및 벗나무이었다. (2) 포란수는 기생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의 평균치의 순위는 이태리포푸라, 가래나무, 낙우송, 네군도단풍나무, 버즘나무, 수양버들 및 벗나무 이었다. (3) 기주식물별 흰불나방의 용중과 포란수는 실내사육에 의하여 보고된 결과에 비하여 야외집단의 경우가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4) 공시기주식물은 모다 용의 크기와 포란수간에 고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