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13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Tas13D Inhibits Growth of SMMC-7721 Cell via Suppression VEGF and EGF Expression

  • He, Huai-Zhen;Wang, Nan;Zhang, Jie;Zheng, Lei;Zhang, Yan-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009-2014
    • /
    • 2012
  • Objective: Taspine, isolated from Radix et Rhizoma Leonticis has demosntrated potential proctiective effects against cancer. Tas13D, a novel taspine derivative synthetized by structure-based drug design, have been shown to possess interesting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its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underlying mechanisms. Methods: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as13D was evaluated by xenograft in athymic mice in vivo, and by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nd cell migration assays with human liver cancer (SMMC-7721) cell lines in vitro. Docking between tas13D and VEGFR and EGFR was studied by with a Sybyl/Surflex module. VEGF and EGF and their receptor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ELISA and real-time PCR methods, respectively. Results: Our present study showed that tas13D inhibited SMMC-7721 xenograft tumor growth, bound tightly with the active site of kinase domains of EGFR and VEGFR, and reduced SMMC-7721 cell proliferation (IC=34.7 ${\mu}mol/L$) and migration compared to negative controls. VEGF and EGF mRNA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as13D 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along with VEGF and EGF production. Conclusion: The obtained results suggest that tas13D inhibits tumor growth and cell proliferation by inhibiting cell migration, downregulating mRNA expression of VEGF and EGF, and decreasing angiogenic factor production. Tas13D deserves further consideration as a chemotherapeutic agent.

Bitter taste receptors protect against skin aging by inhibiting cellular senescence and enhancing wound healing

  • Chung, Min Gi;Kim, Yerin;Cha, Yeon Kyung;Park, Tai Hyun;Kim, Yur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1호
    • /
    • pp.1-13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Bitter taste receptors are taste signaling pathway mediators, and are also expressed and function in extra-gustatory organs. Skin aging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may lead to medical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the anti-skin aging effects of bitter taste receptors in D-galactose (D-gal)-induced aged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MATERIALS/METHODS: Expressions of bitter taste receptors in HaCaT cells and mouse skin tissues were exa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Bitter taste receptor was overexpressed in HaCaT cells, and D-gal was treated to induce aging. We examined the effects of bitter taste receptors on aging by using β-galactosidase assay, wound healing assay, and Western blot assay. RESULTS: TAS2R16 and TAS2R10 were expressed in HaCaT cells and were upregulated by D-gal treatment. TAS2R16 exert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skin aging by regulating p53 and p21, antioxidant enzymes, the SIRT1/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pathway, cell migration, an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markers. TAS2R10 was further examined to confirm a role of TAS2R16 in cellular senescence and wound healing in D-gal-induced aged HaCaT cell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a novel potential preventive role of these receptors on skin aging by regulating cellular senescence and wound healing in human keratinocyte, HaCaT.

주요 우울장애와 준임상적 우울증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 (Alexithymia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ubclinical Depression)

  • 김석주;유승희;김성연;김동욱;조인희;조성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15권2호
    • /
    • pp.100-106
    • /
    • 2007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주요 우울장애 환자들과 준임상적 우울증 환자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386명(남/여=148/238, 평균 연령 : $43.0{\pm}13.9$, 연령 범위 : 19~79)이 연구에 참여했다. 구조화된 임상면담(Structured Clinical Inteview for DSM-IV, SCID)를 이용하여 주요 우울장애 및 기타 1축 정신질환을 진단했다. 우울증상를 평가하기 위해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자가 작성하게 했다. 감정표현불능증은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oronto alexithymia scale, TAS)로 평가했다. 주요 우울장애의 병력이 없는 이 중 SCID에서 경도 우울장애가 있거나, CES-D 점수가 16점 이상인 경우를 준임상적 우울증으로 정의했다. 주요 우울장애군, 준임상적 우울증군, 정상 대조군 세군으로 나누어 TAS 총점과 각 요인별 점수를 비교했다. 결과 : 전체 386명 중, 38명(9.8%)이 DSM-IV 주요 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병력이 있었고, 57명(14.8%)이 준임상적 우울증군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간 TAS 총점($F_{2,383}=14.0$, p<0.01), 요인 1(감정인식의 장애) ($F_{2,383}=23.4$, p<0.01), 요인 2(감정표현의 장애)($F_{2,383}=7.8$, p<0.01)에 차이가 있었다. TAS 요인 3(외부지향적 사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_{2,383}=1.8$, p=0.16). 주요 우울장애군과 준임상적 우울증군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 TAS 총점, 요인 1, 요인 2의 점수가 높았다(모두 p<0.01). 반면, 주요 우울장애군과 준임상적 우울증군은 TAS 총점 및 각 요인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준임상적 우울증 환자는 우울증상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감정표현불능증이 더 심했다. 한편, 주요 우울장애와 준임상적 우울증은 감정표현불능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표현 불능증이 주요 우울장애 뿐아니라 준임상적 우울증과도 관계있음을 시사한다.

  • PDF

원형 탈모증과 안드로겐성 탈모증 여성의 정신적 특성에 관한 연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opecia Areata and Androgenetic Alopecia in Women)

  • 박두병;진성남;민경준;노병인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1호
    • /
    • pp.16-23
    • /
    • 2005
  • 연구목적 : 장기적인 탈모증의 심리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탈모증을 겪는 여성 환자에서의 불안, 우울, 감정 표현불능증, 성격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더불어 유전적 생물학적 원인이 크게 작용하는 안드로겐성 탈모증과 정신적 스트레스의 병인론적 역할에 대한 논란이 있는 원형 탈모증간에 심리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여성 탈모증 환자를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 치료를 받고 있는 원형탈모증 환자군(52명)과 안드로겐성 탈모증 환자군(33명), 그리고 정상대조군(54명)에서 다면적 인성검사(MMPI), 벡 우울척도(BDI), 상태불안척도(STAI-S), 특성불안척도(STAI-T),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척도(TAS-20K)를 시행하여 각 군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MMPI 결과는 F척도, Hs척도, D척도, Pd척도, Pa척도, Sc척도, Si척도에서 탈모증 환자군이 정상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Hy척도, Pt척도는 안드로겐성 탈모증 환자군에서 가장 높았다. BDI 점수, 상태불안척도, 특성불안척도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원형 탈모증과 안드로겐성 탈모증에서 점수가 높았으며, 특히 BDI 점수에서는 심한 우울증(23점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가 원형 탈모증 환자에서 94.2%(49명), 안드로겐 탈모증 환자의 97.0% (32명)로 나타났다. TAS-20K의 경우 총점에서는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Factor 3에서 안드로겐성 탈모증이 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STAI-S 및 STAI-T에서도 환자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여성 만성 탈모증 환자에서 우울감이 두드러지고 불안 수준이 높으며 감정표현불능증의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결과는 탈모의 병인론에 관련된 논란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의 탈모증에서 거의 모든 환자가 가지는 우울감에 대해서 적극적인 정신과적 개입이 필요하며, 환자의 성격적 측면과 심리적 대처기 전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