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rget Marketing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7초

The Impact of Consumption Values o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Purchase Decision

  • LEE, Juyon
    • 융합경영연구
    • /
    • 제9권4호
    • /
    • pp.31-4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onsumption values influence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s regar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Based on the Consumption Values Theory, six dimensions of consumption values were defined: functional value-quality, functional value-price,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pistemic value. In particular,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differential impact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values between two consumer groups - users and nonusers. By doing so,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can be applied to the target group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Macromill Embrain in Korea to collect data from users vs. nonuser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There were 215 usable responses in the users sample and 225 responses in the nonusers samp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performed by using AMOS 18.0.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four dimensions of consumption values, i.e., functional value-price, emotional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pistemic value, positively influenced the users, while functional value-price and epistemic value positive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towar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among the nonusers. Conclusions: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pply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target consum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도서관의 인터넷 마케팅을 위한 시장세분화 전략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for Internet Marketing in Libraries)

  • 한계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1-129
    • /
    • 2003
  • 도서관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고객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체제가 필요한 시점이다 시장세분화를 통하여 고객요구와 이용행태를 파악하고, 목표시장을 선정하여 그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 마케팅의 필요성과 인터넷 마케팅의 도입과 활용방안을 고찰하고, 시장세분화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공간마케팅의 관점에서 본 문화프로그램 활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아트/갤러리 카페 공간연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Cultural Programs Centered around Space Marketing - Focused on the Space production of art/gallery cafe -)

  • 박수경;문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94-101
    • /
    • 2011
  • As the existing paradigm of consumption has changed, companies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targeting culture-oriented emotion, creating added values through appealing to customers' emotion and improving the values of culture and art. Each company has created differentiated space and inner space to lead trends, and has provided space for various experiences as an innovative marketing area to attract customers and promote consumption. In this aspect, we should focus on space marketing which considers cultural background or emotion as a main target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 cultural program as a strategic means to identify space marketing in terms of experience. The study speculated marketing in terms of space experience and analysed space for cultural programs with differentiated experiences in order to use the results as basic data for identifying the marketing values of the cultural programs and their u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when space experience is a factor of marketing and the cultural program is a tactic in terms of marketing, their specific relations are speculated through a certain module. The order of using the cultural program for space experience, features of space representation and tactics for experience were different and the strategies evoked very complicated and mixed experiences.

배너광고 click과 연결된 목표광고에 대한 태도의 상표태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 연구 (Effects of Banner Clicking and Attitude toward the Linked Target Ads on Brand-Attitude and Purchase-Intention Changes)

  • Cho, Chang-Hoan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1-16
    • /
    • 2004
  • 본 논문은 배너광고에 대한 노출과 click이 상표태도와 구매의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배너광고에 대한 단순한 노출은 초기 상표태도와 구매의도를 변화시키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배너광고를 click함으로써 발생하는 자주적 노출은 배너광고와 연결된 목표광고의 호감도에 따라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상표태도와 구매의도 변화를 유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사후 테스트 통제집단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Cold Fusion on-line 자료수집 방법이 사용되었다. 961 명 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 PDF

TONYMOLY Cosmetic Company: A Small but Smart Marketing Player

  • Song, Ji-Hee;Lee, Sungho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69-188
    • /
    • 2013
  • Established in 2006 as the forward integration effort by Taesung Industry, the major cosmetic packaging company, TONYMOLY has phenomenally grown to one of the major cosmetic brand companies in the submarket called, 'one brand-shop' of cosmetic market since 2008, after overcoming the crisis of 'going out of business' in a couple of early years.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ONYMOLY's performances have dramatically improved in terms of metrics such as growth in sales revenue, the number of stores, the average sales per store, transaction value per customer, the number of monthly transactions, the number of membership-based customers, and overseas sales. In this case study, we have examined TONYMOLY's recent marketing activities which may explain the plausible reasons behind the substantial growth of a small but smart cosmetic company. Above all, the first key success factor of TONYMOLY would be found in its adherence to the clear philosophy of the customer value proposition and/or the differentiated position of TONYMOLY as a brand of providing value. Second, this brand concept of value was first penetrated and welcomed among the foothold customer target group of mid and late teens with appropriate products, while the target groups were later expanded into the age group of twenties along with expansion of relevant products. Third, its differentiation efforts have been concrete and meaningful by utilizing unique ingredients in its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efforts, unique fun packaging, and continuously introducing new hit-selling products as well as managing steady-selling products. Fourth, TONYMOLY has been smart enough to use its limited marketing money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 its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Viral marketing, PPL, and concentrated media planning and execution turned out to produce effective and efficient market-based performances such as awareness, word-of-mouth, and sales. Lastly, the marketing leadership of CEO and top management, emphasizing communications and interaction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quality with and trust level of its franchisees and internal employees. These key success factors may explain the recent phenomenal market performances of TONYMOLY. Despite recent successes, the major issues are presented for TONYMOLY to consider for maintaining its sustainable advantages and growth. The first issue concerns TONYMOLY's choice of growth philosophy between product/brand-centric marketing and customer-centric marketing. The second challenging issue relates to how TONYMOLY can cope with 'growing pains' plausibly accompanied with the rapid growth.

  • PDF

기업상담에 대한 기업경영 전문가의 인식과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믹스 연구 (The Perception of Corporate Management Experts on Corporate Counseling A Study on Marketing Mix for Revitalization)

  • 나상훈;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1-8
    • /
    • 2022
  • 기업상담이 기업수익에 기여하고 근로자의 효과적인 복지향상이라는 연구결과들로 많은 기업들이 운영 및 도입하고 있는데 상담을 제공하는 기업입장에서 연구한 자료는 부족하여 기업상담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믹스에 대해 기업경영 전문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문제로 첫째, 기업상담에 대해 기업경영 전문가들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기업상담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마케팅 7P믹스는 무엇인가? 셋째, 마케팅 7P믹스에 대해 기업경영 전문가들 간에 중요도에 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양적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경영 전문가들은 기업상담의 도입의향과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지니며 분야별로는 생산관리보다 마케팅이 높았다. 상담모델은 외부모델을 선호하며 대상기업으로는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산업으로는 서비스업과 제조업을 선택하였다. 주제로는 대인관계와 직무스트레스 등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가격믹스, 제품믹스, 사람믹스, 프로세스믹스 등이 중요한 마케팅믹스라고 인식하고 있는데 기업은 가격믹스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셋째 촉진믹스와 프로세스에서 기업경영 전문가들 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마케팅은 촉진믹스를 재무관리는 프로세스믹스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제외한 믹스들은 분야별 차이가 없어 마케팅믹스에 관한 인식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상담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믹스의 시사점을 기업측면에서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비유사 확장 시 브랜드확장 유형이 목표확장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효과: 브랜드 컨셉과 목표확장제품 가격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Type of Brand Extensions on Evaluations of Target Extension Product in Dissimilar Extension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Concept and the Price of Target Extension Product)

  • 전성률;허종호;장소희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9권3호
    • /
    • pp.1-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비유사 확장 시 확장제품에 대한 평가는 목표확장제품으로 직접확장하였을 경우보다는 순차적 확장을 하였을 경우 더욱 호의적이라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이러한 브랜드확장 유형(순차적 확장 vs. 직접확장)에 따른 확장제품평가의 차이가 브랜드 컨셉(기능적 브랜드 vs. 상징적 브랜드)과 목표확장제품의 가격(저가 vs. 고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두 차례의 실험을 통해 그 조절적 역할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비유사 확장 시 목표확장제품에 대한 평가는 직접확장보다 순차적 확장 시 더욱 호의적이었다. 하지만 브랜드확장 유형에 따른 목표확장제품의 평가차이는 기능적 브랜드보다 상징적 브랜드일 경우 현격히 줄어들었으며, 목표확장제품의 가격이 저가일 경우에 비해 고가일 경우 크게 줄어들었다. 즉, 브랜드 컨셉과 목표확장제품의 가격이 브랜드확장 유형의 주효과를 조절하는 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Prospects and Challenges of Social Media Marketing: Study of Indian Management Institutes

  • Bhandari, Ravneet Singh;Bansal, Sanjeev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8권4호
    • /
    • pp.5-15
    • /
    • 2018
  • Purpose - The research aimed to reveal real decisional behavioral of management institutes in India for social media marketing usage, and analyses of empirical elements of social media consumption patter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investigation was based around a research methodology using quantitative analysis with appropriate statistical techniques on random surveys of consumers, detail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re applied to assess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employed using R studio edition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s. Results - A new conceptual framework is proposed - the management institutions decision model, providing a tool for effective and more focused decision-mak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better utilization techniques for social media. Management institutions have different requirements based upon objectives and resources available.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ors need to be more aware of consumer indicators when targeting and designing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y. Conclusions - The research was based on samples and not the entire population of target consumers, providing limitations. As an inferential statistical method was chosen, the results might be susceptible to inaccuracy. The model developed from different age users, thereby providing rich perspectives into social media usage pattern.

키워드 기반 블로그 마케팅을 위한 연관 키워드 추천 시스템 (Associated Keyword Recommendation System for Keyword-based Blog Marketing)

  • 최성자;손민영;김영학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46-251
    • /
    • 2016
  • 최근에 SNS와 온라인 매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이를 이용한 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블로그 마케팅은 대형 포털 사이트의 키워드 검색 결과에 따라 상위 노출을 함으로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마케팅의 파급효과와 정보 전달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특정 키워드의 검색 결과의 경우 상위에 노출되려는 경쟁이 과열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로그를 상위에 노출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의 상위 노출 가능성이 높은 연관 키워드 그룹을 추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먼저 타겟 키워드의 검색 결과에 포함된 블로그 문서들을 수집하여 단어의 빈번도와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를 추출하고 필터링한다. 다음에 각 연관 키워드를 타겟 키워드와 비교하여 그들의 연관성, 월간 연관 키워드 검색 량, 검색에 포함된 블로그의 개수, 블로그의 평균 작성 일을 고려하여 상위 노출의 가능성이 높은 연관 키워드 그룹을 추천한다. 본 연구에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 그룹을 추천함을 보인다.

자발 참여형 vs. 기업 주도형 공익 마케팅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진정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ause Marketing Type (Public-volunteered vs. Corporate-driven) and Brand Authenticity on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of Brand Awareness)

  • 이시내;민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255-263
    • /
    • 2017
  • 최근 공익 마케팅은 브랜드 포지셔닝의 주요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익 마케팅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상이함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주목하였다. 실제 브랜드의 공익 마케팅 활동과 이에 참여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한 결과,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형태와 기업이 주도하는 형태는 공익 마케팅 대상 브랜드에 대한 진정성 지각에 상이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브랜드 인지도에 의해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자발 참여형에서 기업 주도형 보다 구매의도와 브랜드 진정성이 높았다.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기업 주도형은 브랜드 인지도가 낮을(vs. 높을) 때 브랜드 진정성을 통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 하지만 자발 참여형은 브랜드 인지도에 따라 구매의도와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지 않았다. 이는 공익 마케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 주도형 보다는 자발 참여형이 더 유의함을 밝히는 결과이며, 기업 주도형 공익 마케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브랜드 진정성을 높게 지각하게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이 공익 마케팅의 성공을 담보하는 길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