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p weight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9초

근중 분포에 의한 포장된 백삼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by Root Weight Distribution in White Ginseng Package)

  • 밝훈;김영희;양차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19-223
    • /
    • 1993
  • Assessment of root weight grade system for the numeral definition in Korea ginseng was tried by investigation of 13 boxes of the 15-root-grade of 4-year-old white ginseng as a model. In this case satisfaction to theoretical value was 58% in root weight and 50% in root numbe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high (35%) for individual root weight in package. The CV of tap root weight 1 among package is low (7.1%)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ap root weight : and lateral root weight among roots. The mean percentage of tap root to root weight in each package ranged 61 to 74% with CV range of 16.5 to 33.2%. The CV was not much different between 1st and 2nd lateral root weight and the means was above 60%. Strict practice of numeral definition of root weight grade system will be prerequisite for chemical standardization of Korea ginseng.

  • PDF

대두의 수화속도에 미치는 침지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Water Uptake during Soaking of Soybeans)

  • 김동연;서인숙;이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46-51
    • /
    • 1988
  • 대두를 tap water와 0.5% $NaHCO_3$ 용액에 침지시켜 수화속도에 미치는 침지온도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침지온도가 높아 질수록 수화속도는 빠르고 세품종중 크기가 가장 작은 단엽이 tap water에 침지 할때나 0.5% $NaHCO_3$ 용액에 침지 할때도 모두 빨랐다. Arrhenius식을 사용하여 수화에 따르는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하였고 일정 수분 함량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침지온도와의 관계를 z값으로 나타내었을때 대두의 수화도가 증가 할수록 tap water에 침지할때나 0.5% $NaHCO_3$ 용액에 침지 할때도 z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선형 제한 조건의 최적 가중 벡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Weight Vector of Linearly Constrained Conditions)

  • 신호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01-10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적응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서 간섭 및 재밍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서 최적 가중 벡터를 연구하였다. 최적 가중 벡터는 선형 제한 조건에서 최소 분산 알고리즘과 비용함수를 적용시켜 구하였고, 목표물의 신호를 정확히 추정하였다. 적응 배열 안테나 시스템은 간섭 및 재머전력을 감소시키고 신호대 잡음비를 향상시키는 시스템이다. 적응 배열 안테나 시스템은 각 안테나 배열 소자의 출력이 탭(Tap)을 거쳐 지연되고 각 탭에 복소 가중치가 곱해져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복합신호를 만든다. 최적의 가중치를 구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입력 공분산 행렬의 최적 가중벡터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모의 실험한 결과 분해능은 $3^{\circ}$이하로 향상되었으며 부엽은 약 10 dB 감소하였음을 입증하였다.

산성 전해수가 콩나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lyzed Acidic Water on the Growth of Soybean Sprout.)

  • 윤동준;이정동;강동진;박순기;황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09-814
    • /
    • 2004
  • 산성 전해수를 이용하여 콩나물을 생육시켰을 때 콩나물 관련 주요형질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콩나물 재배수로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성전해수로 생육시킨 콩나물은 전체길이,뿌리길이, 하배축 길이 등이 짧아졌고, 하배축의 두께, 콩나물 개체당 무게 등은 늘어 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배축 횡단면 관찰에서 산성전해수에서 자란 콩나물의 하배축내 세포가 대조구에 비해 커져 하배축의 두께가 두꺼워진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생육일수별 콩나물 주요 특성에서 콩나물 전체길이는 산성전해수에서 자란 콩나물의 전체 길이가 더 짧았으며, 수돗물에서 자란 콩나물은 생육 후 5일째 이후에 급격히 길이 신장을 하였으나 전해수에서 자란 콩나물은 길이 신장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배축의 신장은 콩나물 전체길이와 같은 경향을 보였는데 생육 후 5일째에는 품종간 신장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뿌리 생육 특성은 전해수에서 생육시킨 콩나물은 생육 4일째에서 11일째까지 뿌리 길이의 차이가 없었으나 수돗물에서 생육시킨 콩나물의 뿌리길이는 생육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신장을 보였다. 하배축의 두께는 산성전해수에서 생육시킨 콩나물이 수돗물에서 생육시킨 콩나물보다 더 두꺼웠는데 생육 후 5일째까지 두께가 증가하다가 생육 후 5일째 이후부터 다소 감소하였으며, 콩나물 자엽의 무게는 산성전해수에서 생육시킨 콩나물의 자엽무게가 생육일수가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수돗물에서 생육시킨 콩나물은 생육 후 7일째까지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콩나물의 생체중은 전해수에서 생육시킨 콩나물이 재배 후 7일 까지는 무거웠으나 11일째는 산성전해수와 수돗물에서 자른 콩나물의 생체중이 거의 비슷하였다.

알칼리 환경에 대한 GFRP 복합재료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1) (Study on the Durability of GFRP Composites in Alkaline Environment(1))

  • 문용재;박창호;문창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8-63
    • /
    • 2008
  • The effect of alkaline environmental condition on durability of GFRP composites according to additives was investigated. Additives used were polyvinyl alcohol(PVA), kaolin and alumina powder. Weight gains increased with immersion time in all GFRP composites at $80^{\circ}C$. But weight gain of specimen added PVA did not differ through the wlwle immersion time in both tap water and alkaline solution at 20 and $80^{\circ}C$. Tensile strength decreased with immersion time in all environment conditions. Tensile strength of GFRP composites regardless of additives decreased rapidly up to 5 days of immersion and then decreased slowly up to 30 days in alkaline solution environment at $80^{\circ}C$. Weight gains had not. much difference in both tap water and alkaline solution at $20^{\circ}C$. And weight gain of GFRP composites added polyvinyl alcohol had smaller than the others through the whole immersion time in both tap water and alkaline solution at $20^{\circ}C$ and $80^{\circ}C$. Tensile strength of GFRP composites added polyvinyl alcohol had higher than the others through the whole immersion time in both tap water and alkaline solution at $20^{\circ}C$ and $80^{\circ}C$.

청송약수를 이용한 면 제조 및 조리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Noodle Making and Cooking with Cheong-song Mineral Water)

  • 이성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20-826
    • /
    • 2012
  • 청송약수가 가진 Ca, Mg 등의 풍부한 미네랄 성분을 면 제조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하였다. 실험결과를 증류수와 수돗물을 이용한 면과 비교하였다. 약수로 제조한 면을 증류수로 조리한 실험 결과,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 탁도, 명도(L)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으며, 적색도(a)는 가장 큰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약수를 이용할 때에 증류수나 수돗물보다 더 큰 중량, 부피, 수분흡수율, 탁도, 명도를 가진 초록색을 띤 조리된 면을 만들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 중량과 부피에서 증류수로 제조된 면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분흡수율, 탁도,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에서 증류수, 수돗물로 제조된 면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시판 칼국수의 조리에 약수를 이용한 결과, 중량과 적색도(a)에서 증류수, 수돗물로 조리된 면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무게, 부피, 명도(L)에서 증류수로 조리된 면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오차 제곱 가중치기반 랩 계수 갱신을 적용한 동시 등화기 (Concurrent Equalizer with Squared Error Weight-Based Tap Coefficients Update)

  • 오길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3C호
    • /
    • pp.157-162
    • /
    • 2011
  • 동시 등화는 통신 채널을 블라인드 등화 시 수렵 특성 개선에 유용하다. 그러나 동시 등화는 등화기가 정상상태에 수렴한 후에도 동시 적응을 계속함으로써 성능 개선이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 등화의 수렴 특성과 함께 정상상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가변 수렴상수와 가중치기반의 탭 계수 갱신을 적용하는 새로운 동시 등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동시 vsCMA+DD 등화는 가변 수렴상수 CMA(variable step-size CMA: vsCMA)와 판정의거 (decision-directed: DD) 알고리즘의 오차 신호를 사용하여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두 등화기를 각각 가중 갱신한다. 제안 방법은 vsCMA에 의해 CMA의 오차 성능을 개선하고, 가중치기반의 탭 계수 갱신에 의해 수렴 속도와 정상상대 성능을 개선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 방식의 성능 개선을 검증하였다.

항산화 성분을 함유한 PE 필름이 반건오징어 저장 중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Preparation of Antioxidative Polyethylene Film and Its Effects on the Lipid Oxidation of Semi-dried Squid during Storage)

  • 김영명;박형우;변지영;김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7
    • /
    • 2005
  • Antioxidative polyethylene films for food packaging were experimentally prepared by fortification of TBHQ(tertiary butylhydroquinone) and dl-a-tocopherol at the weight ratio of 0.05, 0.2 and 0.5%, respectively and laminated with nylon. TBHQ and tocopherol contents in the PE/nylon film were analyzed an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film were investigated on the lipid oxidation of semi-dried squid during storage at 5℃ and l5℃. TBHQ contents of TAP 1(TBHQ 0.05%), TAP 2(TBHQ 0.2%) and TAP 3(0.5%) were 38, 146 and 365 mg/100g, respectively. Tocopherol contents of DAP l(tocopherol 0.05%), DAP 2(tocopherol 0.2%) and DAP 3(tocopherol 0.5%) were 33, 139 and 356 mg/l00g, respectively. TBA value and POV during storage of semi-drid squid were affected both by storage temperatures and packaging films. Lipid oxidation during storage was retarded by anti-oxidative films, as TBA value of TAP 3 and DAP 3 revealed about 50% of control after storage at 5℃ for 20 days and similer effects in POV were also observed.

알칼리 환경에 대한 GFRP 복합재료의 내구성 향상에 관한 연구(1) (Study on the durability improvement of GFRP composites in alkaline environment (1))

  • 박창호;김형열;박영환;문창권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6년 창립20주년기념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워크샵
    • /
    • pp.145-149
    • /
    • 2006
  • The effect of alkaline environmental condition on durability of GFRP composites according to additives has been investigated. Additives used were polyvinyl alcohol (PVA), kaolin and alumina powder. Weight gains increased with immersion time in all GFRP composites at $80^{\circ}C$. But weight gain of specimen added PVA did not differ through the whole immersion time in both tap water and alkaline solution at 20 and $80^{\circ}C$. Tensile strength decreased with immersion time in all environment conditions. Tensile strength of GFRP composites regardless of additives decreased rapidly up to 5 days of immersion and then decreased slowly up to 30 days in alkaline solution environment at $80^{\circ}C$. The weight gains were not much difference in both tap water and alkaline solution at $20^{\circ}C$. But the ones of GFRP composites added PVA was smaller than the composites without additive in all aqueous at $20^{\circ}C$. Test strength of GFRP composites added polyvinyl alcohol has improved through the whole immersion time in both tap water and alkaline solution environment at $20^{\circ}C$.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oagulant Protein from the Tabanus, Tabanus bivittatus

  • Ahn Mi-Young;Hahn Bum-Soo;Lee Pyeong-Jae;Wu Song-Ji;Kim Yeong-Sh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418-423
    • /
    • 2006
  • Tabanus anticoagulant protein (TAP) was isolated from the whole body of the tabanus, Tabanus bivittatus, using three purification steps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gel filtration on Bio-Gel P-60, and ion 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 Sephadex gel). The purified TAP, with a molecular weight of 65 kDa, was assessed to be homogeneous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an isoelectric point of 7.9 was determined by isoelectric focusing. The internal amino acid sequence of the purified protein was composed of Ser-Leu-Asn-Asn-Gln-Phe-Ala-Ser-Phe-lle-Asp-Lys-Val-Arg. The protein was activated by $Cu^{2+}\;and\;Zn^{2+}$, and the optim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at pH $3\sim6\;and\;40\sim70^{\circ}C$. Standard coagulation screen assays were used to determine thrombin time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Chromogenic substrate assays were performed for thrombin and factor Xa activity. TAP considerably prolonged human plasma clotting time, especially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in a dose-dependent manner; it showed potent and specific antithrombin activity in the chromogenic substrate assay. Specific anti-factor Xa activity in TAP was not detected. Overall, this result suggested that TAP has significant anticoagulant activity on blood coagul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