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k model

검색결과 1,298건 처리시간 0.035초

Correlative Experimental Study Between The Results of Circulating Water Channel and Towing Tank Tests

  • Lee, Kwi-Joo;Kim, Kyoung-Hwa;Isaacs, Karl Antony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0-75
    • /
    • 2003
  • Model tests using 2.0m model of the series 60 form ($C_{b}$ = 0.6) were carried out in the Circulating Water Channel(CWC) in the Chosun University(CU, Korea) for the purpose of a correlative study with Towing Tank(TT). Resistance, propeller open water, self propulsion, and wake survey tests we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extrapolated to the ship scale.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trapolated ship values based on the model test of 7.0m model in the TT 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and Ocean Engineering (KRISO, Korea). The CWC test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the towing tank tests.

  • PDF

TANK 모형과 SWAT 모형을 이용한 한강유역의 자연유출량 산정 비교 (Comparison of Natural Flow Estimates for the Han River Basin Using TANK and SWAT Models)

  • 김철겸;김남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3호
    • /
    • pp.301-3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팔당댐 상류의 자연유출량에 대해 기존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TANK 모형 결과와 SWAT 모형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기존 TANK 모형이 가지고 있는 한계및 문제점을 현실적으로 제시하고, 향후 SWAT 모형의 적용성 및 활용에 대해 검토하였다. TANK 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가 이루어진 보정유역들(충주댐 및 소양강댐)의 모의결과를 볼 때 두 모형 모두 모형효율 0.8 이상의 높은 정도의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첨두유량이 발생하는 홍수기에는 TANK의 결과가 SWAT보다 관측치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ANK 모형의 경우 주로 평수기 이상의 유량을 대상으로 보정을 수행하여 갈수기에 관측유량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일정 유량 이하로 모의되지 않는 한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SWAT 모형은 일부 홍수사상을 제외하고 대체로 관측치의 경향을 잘 따르고 있으며, 유역 최종 출구인 팔당댐(한강F)에서의 상류댐 방류량을 고려한 모의유입량이 실제 관측유입량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모형효율 0.9 수준), 댐 방류량과 인위적인 용수 수요가 없는 상태의 자연유출량의 추정이나 댐개발 전후에 따른 유량변동 평가 등에 있어 매우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울러, TANK 모형의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전이시켜 이용하는 대상유역들(평창A, 달천B, 섬강B, 인북A, 한강D, 홍천A)에 대한 결과를 SWAT 모형 결과와 비교할 때, 일부 홍수기를 제외하고는 평수기 이하에서 매우 불안정한 모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보정유역들에 대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갈수기에 일정 유량이하로 모의되지 않는 문제가 나타났다. 이는 수자원 계획 및 관리의중요한 지표인 갈수량의 산정에 있어 TANK 모형의 적용에 많은 불확실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복잡 다양한 국내 유역의 특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고, 향후 유역내 도시화 등에 따른 토지이용 및 용수이용의 변화, 기후변화 등에 따른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TANK와 같은 기존의 개념적 집중형 모형보다는 SWAT과 같은 물리적 기반의 유역모형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진제탱크 얼리지 해석을 위한 기본모델 (Basic Model for Propellant Tank Ullage Calculation)

  • 권오성;조남경;조인현
    • 항공우주기술
    • /
    • 제9권1호
    • /
    • pp.125-132
    • /
    • 2010
  • 추진제가 배출되는 동안 추진제탱크를 적정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가압가스의 질유량 및 총소모량을 파악하는 것은 가압제어시스템의 설계 및 가압제 저장탱크의 무게를 산출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극저온 추진제탱크의 경우 얼리지 내부의 가압가스는 외부와의 열전달에 의해 비체적이 감소하므로 더욱 많은 추진제탱크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가압가스를 필요로 한다. 이에 추진제탱크 얼리지 해석을 위한 기본모델을 만들어 얼리지 내부와 탱크벽면의 온도분포, 가압가스 소모량, 얼리지 내부에서 유입된 가압가스의 에너지 분포를 예측하였다. 현재 시험을 통한 프로그램의 수정보완이 진행되었으나, 본 자료에서는 기본적인 해석모델의 설명에 중점을 두었다.

An advanced technique to predict time-dependent corrosion damage of onshore, offshore, nearshore and ship structures: Part II = Application to the ship's ballast tank

  • Kim, Do Kyun;Lim, Hui Ling;Cho, Nak-K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645-656
    • /
    • 2020
  • In this study (Part II), the empirical formulation of corrosion model of a ship's ballast tank was developed to predict nonlinear time-dependent corrosion wastage based on the advanced data processing technique proposed by Part I. The detail on how to propose generalised mathematical formulation of corrosion model was precisely documented in the previous paper (Part I). The statistical scatter of corrosion data at any exposure time was investigated by the refined method and formulated based on a 2-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which selected the best fit PDF. Throughout the nine (9) steps, empirical formulation of the ship's seawater ballast tank was successfully proposed and four (4) key step results were also obtained. The proposed method in Part I was verified and confirmed by this application of seawater ballast tank, thus making it possible to predict accurate behaviours of nonlinear timedependent corrosion. Developed procedures and obtained corrosion damage model for ship's seawater ballast tank can be used for development of engineering software.

물탱크의 형상에 따른 유동 특성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Flow Characteristic due to the Configuration of Water Tank)

  • 오범석;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85-19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물탱크의 형상에 따른 입출구의 유동 조건들에 따른 물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동특성을 전산 유체 역학 프로그램인 ANSYS CF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물탱크의 형상에 따른 입, 출구의 유동 조건들에 변화를 주어 어떤 모델이 가장 효율적인지를 알아보았다. 모델 A, B, C에 같은 재질을 적용하였다. 유동해석 결과로서는 모델 B가 가장 좋은 유동의 속도를 보이고, 모델 C는 유동에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물탱크가 제품의 형상에 따라 같은 재질을 가지더라도 그 유동 속도와 압력은 달라졌다. 따라서 본 유동해석 결과를 통하여 제품의 형상에 따라 유동의 흐름에 좋은 탱크를 개발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체 탱크의 형상에 따른 유동의 해석 데이터를 실생활에 융합하여 그 미적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탱크모형의 매개변수추정을 위한 상태공간모형의 결정 (Determination of State-Space Model for Parameter Estimation of Tank Model)

  • 이관수;이영석;정일광
    • 물과 미래
    • /
    • 제28권2호
    • /
    • pp.125-136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탱크모형의 매개변수를 시행착오범으로 산정할 경우, 불확실성을 개선하기 위해 Kalman filter로 매개변수를 실시간 예측하여 저수유출의 예측에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얻고자 하였다. 유역특성을 다양한 구조로 나타낼 수 있는 탱크모형은 각 단 탱크에 부착된 유출공으로부터 유출한 총 유출량이 관측유량에 유사하게 나타나야 하지만 유출환경의 영향으로 수렴성이 좋지 않았다. 이러한을 보완하기 위하여 탱크모형의 매개변수를 Kalman filter의 상태공간 모형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추정한 결과, 시간 경과에 따라 추정치와 관측치의 수렴도가 높아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으며, 이때의 유출환경을 나타내는 상태공간의 매개변수변화가 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Kalman filter에 의한 탱크모형의 매개변수 추정기법은 저수유출 예측에 특히 효율성이 좋았으며 유량이 급변하는 곳에서도 어느 정도 적응하여 기존 탱크모형의 구조를 자동기법으로 정하는 예측시스템 보다 유출예측 시스템에 의한 탱크모형의 구조적 알고리즘이 적합한 모형임을 입증하였다.

  • PDF

KSR-III 추진제 탱크 압력 조절용 레귤레이터 개발 (The Development of Pressure Regulator of Propellant Tank for KSR-III)

  • 정영석;조기주;조인현;김용욱;오승협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7-58
    • /
    • 2002
  • 압력조절 레귤레이터는 KSR-III 추진제 탱크의 압력 조절용으로 개발하였다. KSR-III 가압 시스템은 가압 탱크, 압력조절용 레귤레이터, 추진제 탱크로 구성된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이며 레귤레이터는 헬륨 탱크, 파이로밸브, 헬륨주입밸브와 더불어 가장 핵심적인 부품이다. 1차 시제품으로 기밀, 강도, 기본 성능을 만족하는 상세 설계를 완성하였고 2차 시제품으로 추진기관 종합수류시험을 수행하였다. 2차시험을 통해서 밸브의 용량(Cv)을 늘려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3차 시제품에 이를 개선하였으며 추진기관 종합 실추진제 시험과 연소시험을 통해 최종 검증하였다.

推計學的 特性을 考慮한 實時間流出 豫測 (Real-Time Forecasting for Runoff Considering Stochastic Component)

  • 정하우;이남호;한병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0-106
    • /
    • 199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al-time runoff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stochastic component. The model is composed of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components. Simplified tank model was selected as a deterministic runoff forecasting model. The time series of estimation residual resulting from the tank model simulation was analyzed and was best suited to the second-order autoregressive model. ARTANK model which combined the tank model with the autoregressive process was developed. And it was applied to a BANWEOL basin for valid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field data.

  • PDF

TANK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베이지안 접근법의 적용: MCMC 및 GLUE 방법의 비교 (Application of Bayesian Approach to Parameter Estimation of TANK Model: Comparison of MCMC and GLUE Methods)

  • 김령은;원정은;최정현;이옥정;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0-313
    • /
    • 2020
  • The Bayesian approach can be used to estimate hydrologic model parameters from the prior expert knowledge about the parameter values and the observed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two Bayesian methods, the Metropolis-Hastings (MH) algorithm and th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GLUE) method. These two methods were applied to the TANK model, a hydrological model comprising 13 parameters, to examine the uncertainty of the parameters of the model. The TANK model comprises a combination of multiple reservoir-type virtual vessels with orifice-type outlets and implements a common major hydrological process using the runoff calculations that convert the rainfall to the flow.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to the Nam River A watershed, the two Bayesian methods yielded similar flow simulation results even though the parameter estimates obtained by the two methods were of somewhat different values. Both methods ensure the model's prediction accuracy even when the observed flow data available for parameter estimation is limited. However,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model using the MH algorithm yielded slightly better results than that of the GLUE method. The flow duration curve calculated using the limited observed flow data showed that the marginal reliability is secured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al application.

A Study on the Tank-Attack Helicopter Duel

  • 최석철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46
    • /
    • 1997
  • In this paper, we consider a tow-person zero-sum game in which an attack helicopter with a missile wishes to destroy a tank. The tank has much small-caliber ammunition for protection itself from the attack helicopter. And the attack helicopter possesses a missile for attacking the tank. We develop models for the behavior of the attack helicopter, in terms of missile launch time, and of the tank, in terms of ammunition firing rate, in several situations.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Weiss-Gillman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