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초

자원기반관점에서의 한국 소프트웨어개발 벤처기업의 국제화 - 가시적 자원과 비가시적 자원의 조합을 중심으로 -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Software-related New Venture on Resource Based Perspectives - The Bundle of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

  • 이건희;김정포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393-416
    • /
    • 2009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개발 관련 벤처기업의 국제화 성과와 기술자원간의 관계를 연구한 Zahra 등(2003)의 연구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개발 관련 벤처기업의 대표적인 경영자원 중 특히 기술관련 자원들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개발 관련 벤처기업의 국제화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기술관련 가시적 자원과 비가시적 자원의 상호작용효과가 실질적인 기업의 역량으로서 국제화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R&D 집중도로 본 기업의 가시적 기술자원은 해외진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술협력네트워크 수와 기술적 평판의 강도 등으로 살펴본 비가시적 기술자원은 해외진출성과에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적 기술자원과 비가시적 기술자원의 상호작용은 단일 자원요인에 비해 해외진출성과에 보다 많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소프트웨어개발 관련 벤처기업의 차별적이고 뛰어난 기술역량은 해외 현지국의 다양한 협력 또는 제휴관계나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적 평판 등 비가시적 기술자원에 의해 보다 폭 넓게 활용될 경우 높은 해외진출성과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게 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자연공원의 자원과 이용 만족도간의 관계에 관한 인과모형 -국립공원과 도립공원을 중심으로- (A Causal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 of Natural Parks and User's Satisfaction)

  • 장병문;배민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2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compose the effect of resources of natural parks(NP) on user's satisfaction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causal effects of resources of natural parks on user\ulcorner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of resources of NP, various approaches and analysis methods employed, we constructed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have formulat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 had obtain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surveyed 414 visitors at 6 of the 73 NP in Korea in 2001, based on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We hav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path analysis method. We found that 1) While the indirect effect of topographical feature and valley(TFV), socio-cultural resources(SCR), and climate, sound, and scent(CSS) turned out to be 2.75, 1.20, and 2.00 times higher than that of wild animal and plant(WAP), the direct effect of TFV, SCR, and landscape turned out to be 2.95, 2.88, and 2.64 times higher than that of CSS, 2) The magnitude of causal effects of the three exogeneous variables of TFV, WAP, and SCR and two intervening variables of CSS and landscape on User's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0.403, 0.048, 0.323, 0.188, and 0.243, respectively, 3) Total direct effect of the exogeneous and intervening variables on user's satisfaction is 0.871, while that of indirect effect is 0.334, and 4) Causal effect of tangible resources is 1.80 times higher than that of intangible while total effect of tangible resources are 1.36 times higher than that of intangible.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1) Criteria for designation and maintenances of NP an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resources turned out to be unreliable and distorted, 2) In the criteria of planning and maintenance of NP, intangible resources must be included, 3) Remedial directions to increase user's satisfaction should be focused on maintenance of TFV and landscape in NP, and 4) The approach and path analysis adopted by this research is valid and highly useful for other resource based recreation area. It is recommended that more empirical study on seasonal variation of resources in NP based user's preference be performed in the future.

무형문화재를 위한 사이버뮤지엄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II - 전시방법 및 표현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yber Museum Organization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I Focu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and classification code anger - Focusing on the Exhibition Space, Exhibition Method and Expression Specialty -)

  • 한영호;장중식;정용섭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0호
    • /
    • pp.165-171
    • /
    • 2003
  •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worth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and should be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a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f the studie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continued focusing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al system, they can be expressed more properly by adding new interactive elements to database and expressive requisites. New techniques introduced in this study are believed to provide people with most reasonable and developmental motives for expression of the exist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Concerning Korea's cultural properties centered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formation construction should be made with a new idea of information based on database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 will be able to set an important factor to give wide publicity to our cultural identity, which is currently shown in the process of background communication, and serve as a foothold to deliver exact information to our descendant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our people's mental cultural heritage resources. If museums or initiator groups, which are organized to spread cultural heritages, can use them as the subjects of exhibition through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visualization, it will function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of transmitting our national mental world. The development of digital environment will provide the optimum conditions and tools making it possible to visualize intangible forms and ideas in a virtual cyber space. Given these viewpoints, steady studies and 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cultural image should be made in the wa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well as tangible ones. They start from the country's accurate appreci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are embodied in systematic adjustment and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endent elements.

무형문화재를 위한 사이버뮤지엄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III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yber Museum Organization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II - Focused on the Chungnam Province -)

  • 한영호;장중식;정용섭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79-186
    • /
    • 2004
  •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worth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and should be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a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f the studie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continued focusing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al system, they can be expressed more properly by adding new interactive elements to database and expressive requisites. New techniques introduced in this study are believed to provide people with most reasonable and developmental motives for expression of the exist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Concerning Korea's cultural properties centered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formation construction should be made with a new idea of information based on database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 will be able to set an important factor to give wide publicity to our cultural identity, which is currently shown in the process of background communication, and serve as a foothold to deliver exact information to our descendant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our people's mental cultural heritage resources. If museums or initiator groups, which are organized to spread cultural heritages, can use them as the subjects of exhibition through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visualization, it will function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of transmitting our national mental world. The development of digital environment will provide the optimum conditions and tools making it possible to visualize intangible forms and ideas in a virtual cyber space. Given these viewpoints, steady studies and 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cultural image should be made in the wa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well as tangible ones. They start from the country's accurate appreci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are embodied in systematic adjustment and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endent element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Linked Database for an Integrated Service Platform of Local Culture and Arts Resources

  • Younghee Noh;Woojeong Kwa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119-137
    • /
    • 2023
  •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explore a way to build a DB which links the resources and areas and regions already registered as cultural assets in connection with a project which is newly building local culture and arts resources. Towards this end,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type and scale of existing local culture and arts resources that could be linked. Following which, to link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collected cultural asse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ebsites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National Cultural Heritage Portal, municipal and provincial tangible cultural festivals, municipal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Gyeonggi Memory.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amount of information sources to be built and the current status of each information source to identify detailed information sources. Finally, the metadata of local culture and arts resources were presented by classifying them into material and publication data metadata, document metadata, audiovisual metadata, oral recording metadata, village information meta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village information metadata.

국내 OTT 시장에서 '티빙' 경영자원의 경쟁력 분석: 자원준거이론(RBT) 및 VRIO 분석 모형을 기반으로 (A Competitiveness Analysis on Business Resources of 'TVING' in Korean OTT Market: Focusing on Resource-based Theory and VRIO Framework)

  • 유진희;홍일한;김치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1호
    • /
    • pp.147-172
    • /
    • 2023
  • 본 연구는 OTT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는 국내시장에서 토종 사업자인 '티빙(TVING)'의 경쟁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원준거이론에 따라 티빙의 핵심 경영자원들을 살펴보고, VRIO 분석 모형에 따라 이러한 자원들의 경쟁력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티빙의 유형 자원은 기술(추천, 압축), 콘텐츠(오리지널, 독점, 차별적 비독점), 제작 스튜디오, 유료가입자수로 분류되었다. 무형자원은 기획력(IP 개발·활용), 콘텐츠 유통채널(국내, 글로벌), 마케팅(프로모션·홍보, 세일즈), 브랜드로 파악되었고, 인적 자원은 IP 전문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VRIO 분석틀에 적용했을 때, 차별적 비독점 콘텐츠와 제작 스튜디오, 국내 유통채널은 '지속적 경쟁우위'를 발생시키는 티빙의 강력한 경영자원이었으며, 기술 자원과 오리지널 콘텐츠, 콘텐츠 기획력 및 IT 전문성은 '일시적으로 경쟁우위'를 갖는 자원으로 확인되었다. 독점 콘텐츠와 유료가입자수, 글로벌 유통 채널, 프로모션·홍보 부분은 '경쟁등위' 자원이었으며, 세일즈 분야는 통신사 제휴와 합병을 통해 잠재고객을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조직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비활용 경쟁우위' 자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영전략 관점에서 국내 OTT 사업자의 개별 자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초기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전통지식 자원의 활용실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 김행란;최배영;유명님;김미희;강경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3-106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and analyze the actual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and to search for methods to activate local communities through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best suited for us. For this study, data listed on the internal web sites during August 2002 to October 2002 were searched and analyzed. In terms of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nd x$^2$-test were operated using the SPSS 10.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utilized throughout the nation totaled to 8,906 cases. These utilized resources composed of 48.0% of tangible resources, 32.3% of environmental resources, and 19.8% of intangible resources and such utilized resources were in order of life-skill, scenery, ruins and relics, community activity, exhibition, and folklores. 2) Tourism, merchandising, and festival were the major types of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while education was the relatively minor portion in utilization type. 3) Compound linking of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utilization type, and utilizing body showed links such as life skill-merchandising-civilian, ruins and relics-tourism-government, folklore-festival-civilian, scenery-tourism-government, and exhibition-education-civilian.

  • PDF

항만물류서비스품질의 결정요인과 성과분석 (Determinants and Performance of Port Logistics Service Quality)

  • 박정희;우수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39
    • /
    • 2015
  •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 수익모델을 기반으로 자원기반관점과 동적역량을 연결시켜 항만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모형의 형성과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국내 주요 항만에 형성된 모형을 대입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을 제고하는 구체적인 동인은 밝히고자 하는 의도에서 조형지표로 구성된 HCMs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두었으며, Smart-PLS 2.0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인과관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통합모델에서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항만의 유 무형자원은 전반적 서비스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자원과 위치적 자원은 항만의 유형자원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자원, 관계적 자원, 정보 및 기술자원 그리고 동적역량 또한 항만의 무형자원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 만족 또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객만족은 항만평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항만평판은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항에서는 무형자원에 대한 관계적 자원의 영향력을 제외한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으며, 인천항에서는 관계적 자원과 기술자원이 무형자원을 유의수준에서 구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항에서는 관계적 자원과 기술자원뿐만 아니라 고객만족이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선, 서비스품질에 대한 자원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자원기반관점에서 서비스품질의 구성개념을 새로운 차원에서 접근하고, 성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조형지표모델을 통해 개별 자원들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항만이 보다 구체적으로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매트릭스조직의 객체지향개발 프로젝트 스케줄링 (Project Scheduling for Object-Oriented Development in Matrix Organization)

  • 이건호;김은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67-78
    • /
    • 2007
  • This paper discusses a scheduling problem on object-oriented developments over multiple teams with limited resources in matrix organization. The objective of the problem is to minimize the makespan of overall projects. There are tangible and intangible advantages such as efficient resource shar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development efforts and cost reduction, etc. by dispatching resources properly to the development teams. Traditionally, the project scheduling has been done with a manager's intuition or heuristic. We present a scheduling model with illustrative examples, stochastic search approach, and apply a variety of problems generated randomly to the approach. The results are analysed.

공공도서관과 공유경제 - 유형의 공유로부터 무형의 접근으로 - (Public Libraries and the Sharing Economy: From Tangible Sharing to Intangible Access)

  • 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51-173
    • /
    • 2022
  • 공유경제의 개념은 기존의 경제 패러다임을 자원의 소유에서 자원에 대한 접근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는 공공도서관의 근본적인 역할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과 공유경제의 상호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참여는 공유경제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 형성에 대한 기제로 작용하는 반면, 공공도서관 시설 및 장비의 이용은 공유경제에 대한 태도 및 참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장서의 활용은 지식, 정보, 개인적 경험과 같은 무형 자원의 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도서관 소장 자원의 대출 이용은 공유를 통한 경제적 이득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은 정보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통한 휴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공유경제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