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mias sibiricu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Blood end Serum Analyses of Cold- Exposed Chipmunks

  • Gil, Young-Gi;Lee, Jun-Hyuk;Choi, Young-Hyun;Moon, Dae-Yeon;Jo, Un-Bock;Choi, Byung-Ta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7권1호
    • /
    • pp.29-33
    • /
    • 2003
  • To understand the adaptational strategy of Korean chipmunks (Tamias sibiricus) to cold temperature, blood and serum properties, and thyroid gland activity of cold-exposed chipmunks were examined. The number of erythrocytes and hemoglobin concentration increased, but platelets decreased in cold-exposed chipmunks compared with warm chipmunks. Serum total protein levels increased at early phase of cold-exposure, and decreased thereafter. Plasma glucose levels showed a transitory increase in cold temperature. Although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total thyroxine level in cold-exposed chipmunks, serum total triiodothyronine level changed little. Histological analysis of thyroid glands demonstrated decreased thyroid activity, suggesting that differences in the blood and serum properties between the warm and cold-exposed chipmunks may be due to the different metabolic strategy associated with cold temperature.

동면 중 한국산 다람쥐 신장의 복합당질 변화 (Glycoconjugates Properties of the Kidney in the Hibernating Chipmunks)

  • 길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39-1243
    • /
    • 2008
  • 한국산 다람쥐를 단계적으로 $6^{\circ}C$ 온도로 낮추어 인위적 동면을 유도하였다. 동면은 3개월부터 유도되었으며 9개월간 사육하였다. 동면중 급격한 생리적 변화에 따른 형태 및 복합당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형태적으로 동면초기 응축된 사구체 구조와 발견되는 것외 동면중에도 유사한 신장 구조를 나타내었다. Lectin조직화학에 대한 반응은 크게 동면초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반응군, 동면진행에 따라 증가하는 반응군 및 감소하는 반응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동면초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반응은 근위곡요세관의 Con A, 원위곡요세관의 PNA, Con A, 집합관의 DBA, sWGA가 현저하였다. 동면이 진행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는 반응은 원위곡요세관의 SBA반응이었으며, 감소하는 반응은 모든 세관의 sWGA반응이었다. 유사한 형태적 구조를 가지나 다양한 lectin반응의 변화는 동면중 나타나는 급격한 신장 생리 변화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유추되며, 이러한 반응성은 동면 중 신장 기능 변화에 대한 마크로 유용할 것이다.

주왕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포유동물의 고도에 따른 분포 특징의 분석 (Analysis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ammals in Relation to Altitude in Juwangsan National Park)

  • 정철운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11-520
    • /
    • 2006
  • 주왕산국립공원 탐방로중 가장 높은 가메봉을 대상으로 포유류의 고도별 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22종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해발 200 m에서 800 m 구간을 100 m 단위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다람쥐(Tamias sibiricus)가 가장 많은 구간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조사지역내 전 구간에서 서식이 확인된 종은 족제비(Mustela sibirica), 노루(Caproelus pygargus), 다람쥐였다. 확인된 Field Sign을 관찰 지점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고도의 증가에 따른 종 및 개체수는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y=-0.0234X+25.552, $R^2$=0.9296, $F_{0.05}$(1, 4)=7.71, p<0.05). 그러나 100 m 단위로 세분화한 6구간중 5구간 이상에서 관찰된 9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Apodemus agrarius(y=-0.034X+25.2, $R^2$=0.905, $F_{0.05}$(1, 4)=38.169, p<0.01)와 Sciurus vulgarie (y=-0.0154X+12.819, $R^2$=0.781, $F_{0.05}$(1, 4)=14.270, p<0.05) 2종만 유의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종별 고도에 따른 제한적 분포보다는 주변 식생 현황 및 서식지 구조에 따라 종의 분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Box and Whisker Diagram분석 결과200$\sim$300 m 구간내 탐방객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자연 휴식년제(Nature Restoration Area) 지역에서의 사분위 편차($Q_U-Q_L$)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식생 및 탐방로 형태가 유사한 해발 500$\sim$600 m 구간에서 가장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특히 이 구간내 탐방로 상에서 멸종 위기 야생동물 II인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배설물이 집중적으로 관찰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연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본목련의 분산 및 식물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유네스코평화센터 주변을 대상으로- (The Dispersal and Plant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Magnolia obovata - Focused on Case of Korea UNESCO Peace Center area in Gyeonggi-do -)

  • 김용훈;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5-293
    • /
    • 2009
  • 본 연구는 초본에 한하여 진행되고 있는 귀화식물 연구 영역을 확대하여 목본 귀화식물인 일본목련을 대상으로 산림군집, 분산범위, 산포방법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지는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매곡리 산 27번지 일대 한국유네스코평화센터 주변 산림지역이다. 일본목련의 분산특성 조사결과 조경 식재된 일본목련이 모수를 중심으로 산림내부까지 확산되었으며, 거리별 분산은 모수로부터 $20{\sim}100m$ 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고 최대 420m 까지 분포하였다. 이러한 일본목련의 분산은 중력산포에 의한 경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보이며, 그 밖에 어치, 까마귀, 까치, 청설모, 다람쥐 등의 야생동물에 의한 동물산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산림군집조사 결과 리기다소나무-일본목련-신갈나무 군집에서는 일본목련이 리기다소나무를 피압 가능한 상태에 있었으며, 신갈나무-일본목련 군집은 중 하층에서 신갈나무와 경쟁 중인 것으로 보인다. 생장량 및 울폐도 분석결과 일본목련은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보다 생장이 빠르며, 내음성 수종으로서 신갈나무, 졸참나무와의 경쟁에서도 뒤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일본목련은 출현한 군집내 층간우점도, 내음성, 속성수 등의 특징으로 인하여 차후에 산림생태계의 교란을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본 대상지 산림 내부에서 관찰된 수고 10m, 흉고직경 10cm 이상인 일본목련이 교목층에 분포하고 있는 지역은 일본목련 성목을 대상으로 벌채 등을 통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