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localcaneal and Calcaneonavicular coali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족근 골 결합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Tarsal Coalitions)

  • 박용욱;윤태경;정운섭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1-46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s for tarsal coalition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1995 and September 2002. Four cases of talocalcaneal coalitions and two cases of calcaneonavicular coalitions were included. We did bone excision for three cases of talocalcaneal coalitions and two cases of calcaneonavicular coalitions. In one case of talocalcaneal coalition, we did subtalar fusion. Follow-up averaged 43 months. We evaluated both the patients' satisfaction rates by Mann and Reynolds scorring and compared the radiographic results between preoperative and final radiography. Results: The satisfaction outcomes at the last follow-up were two excellent and two good in talocalcaneal coalitions and all excellent in calcaneonavicular coalitions. Two cases of talocalcaneal coalition who did excision of coalition complained mild pain in hindfoot, however, symptoms improved than preoperation. In calcaneonavicular coalition, pain is subsided at mean post-operative 13 weeks. During follow-up period, there were no radiographic changes and recurrence in all cases. Conclusion: In small cases, we think the cause of subsidence of symptoms maybe reconstruction of normal joint motion after excision of tarsal coalition. But, we try to warn the patients with talocalcaneal coalition that the symptom may not be completely subsided after the excision of coalitions.

  • PDF

일측과 양측 발에 동시에 발생한 거종 및 종주상 결합 (Uni and Bilateral Dual Calcaneonavicular and Talocalcaneal Coalitions)

  • 박용욱;김도영;이상수;윤태경;노규철;손현일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63-268
    • /
    • 2003
  • Tarsal coalition is a congenital failure of segmentation resulting in fibrous, cartilaginous, or bony union between tarsal bones. Although single tarsal coalitions are common, dual tarsal coalitions are a rare occurrence. We repport of unilateral and bilateral dual calcaneonavicular and talocalcaneal coalitions.

  • PDF

편측성 거주상 골결합증: 증례 보고 (Unilateral Talonavicular Coalition: A Case Report)

  • 안정태;문명상;성기선;권기태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6-38
    • /
    • 2016
  • Tarsal coalition is an abnormal union between two or more bones of the hind- and mid-feet, which can occur at various rates from cartilaginous to osseous union. Talonavicular coalition is reported less frequently than calcaneonavicular or talocalcaneal coalition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various abnormalities, including symphalangism, clinodactyly, ray anomaly, clubfoot, other tarsal coalitions, and a ball-and-socket ankle joint. Patients with talonavicular coalitions are usually asymptomatic and rarely require surgical treatment. We review the literature and report on a case of 59-year-old male patient with talonavicular coalition.

한국인의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 병원 내원 환자에 대한 연구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A Single Institution-Based Study)

  • 김태용;윤소희;고정훈;이태호;이승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24-330
    • /
    • 2020
  • 목적: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에 대한 국내의 연구가 드물고 특히 성인에서의 다발성 족근골 유합은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유병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본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족근골 유합의 양상 및 유병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본원에서 시행한 족부 및 족관절의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족관절 염좌 및 골절 환자 총 4,711명(남성 4,454명, 여성 257명)을 대상으로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 및 양상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10년동안 총 78명(1.7%)의 환자에서 족근골 유합이 관찰되었고 전체 족근골 유합 환자 중 25명(32.1%)에서 다발성 족근골 유합이 확인되었다.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거골-종골 유합이 단발성(31명 37예, 62.7%) 및 다발성(22명 23예, 45.1%) 족근골 유합 모두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었고 단발성 유합에서는 종골-주상골 유합(10명, 16.9%), 주상골-설상골 유합(9명, 15.3%), 입방골-주상골 유합(3명, 5.1%)의 순서로, 다발성 유합에서는 종골-주상골 유합(14명 14예, 27.5%), 거골-주상골 유합(6명 6예, 11.8%)의 빈도 순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총 60예의 거골-종골 유합 중 후방 관절소면에서 24예(40.0%)의 유합이 확인되었고 중간 관절소면에서 18예(30.0%), 전방 관절소면에서 4예(6.7%)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조직학적인 분류에 따라 연골성 유합이 단발성(32명 35예, 59.3%) 및 다발성(20명 37예, 72.5%) 4예(6.7%)모두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결론: 기존의 문헌들을 통해서 알려진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거골-종골 유합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거골-종골 유합은 대부분 중간 관절소면에서 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는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후방 관절소면에서 더욱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극히 드물게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진 다발성 족근골 유합은 이제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다양한 양상으로 드물지 않게 발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족근골 유합의 발생 빈도: 단일 기관 자기공명영상 분석 (Incidence of Tarsal Coalition: An Institu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alysis)

  • 김정한;곽희철;이창락;김영준;김전교;이선주;이정한;박준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6-120
    • /
    • 2016
  • Purpose: Tarsal coalition results from defects during the developmental stage and produes ankle pain and limitations in the range of motions. Its incidence has been reported to be 1%, but there has not been any reports with respect to Koreans. Therefore,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 in Korean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5 and 2014, we analyzed a total of 733 cases of foot and ankl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our hospital. There were 391 men and 342 women. All MRI readings were read by a radiologist in our hospital. We classified the coal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hist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calculated the prevalence in each group. Moreover, we tri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s in accordance with sex, age, and proportion of the symptomatic tarsal coalitions. Results: There were a total of 11 MRIs of tarsal coalition - 9 talocalcaneal coalitions, 1 calcaneocuboidal coalition, and 1 calcaneonavicular coalition. Nine tarsal coalitions were observed in men and 2 in wome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 including the asymptomatic patients, is similar to the previously known prevalence (1%). By getting more MRIs of the foot and ankle, we could better represent the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s in Koreans.

발목부상을 당한 석고환자의 발꿈치뼈·목말받침돌기 관찰을 위한 Broden 촬영법 연구 (Broden photographing method for Calcaneus Subtentaculum tali observation of Ankle plaster patient)

  • 안병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07-112
    • /
    • 2013
  • 발목 병변을 관찰하는 단순 방사선촬영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Ankle Broden법은 발꿈치뼈(Calcaneus) 및 발목뼈(Ankle Joint)의 결합상태와 발목뼈의 발꿈치뼈 골절(Calcaneus Fracture), Subtentaculum Tali Frature를 관찰하기 위하여 촬영을 한다. 이 촬영법은 전 후면과 측면뿐 아니라, 사면 상(oblique view)이나 축 상(axial view)의 촬영을 하며 잦은 부상이 발생하는 목말뼈 발꿈치뼈간, 발꿈치뼈 발배뼈간 결합상을 보기 위해 주로 촬영을 한다. 본 연구는 석고처치 환자들은 발목관절이 영상에 잘 묘출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발목뼈 사이의 관계 및 연부조직의 구조적 변화와 Subtalar joint, Calcaneus Fracture, Subtentaculum Tali Frature에 따른 목말뼈 발꿈치뼈의 골 결합 (talocalcaneal coalition)을 관찰하기 위한 Harris-Beath View($30^{\circ}{\sim}55^{\circ}$) 촬영 시 평가에 유용한 발목뼈의 결합상을 얻을 수 있는 각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40명의 환자에게서 획득한 영상을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 $25^{\circ}$의 촬영상은 목말밑 관절(subtalar joint)이 열려져 분리되지 않았고 또한, Subtentaculum Tali Frature에 중복되어 보였다. $30^{\circ}$의 촬영상은 발꿈치뼈 골절(Calcaneus Fracture), Subtentaculum Tali Frature, 목말밑관절(subtalar joint과 후방 관절면의 앞부분이 가장 잘 나타나고 Calcaneo Navicularcoalition, Talocal Canealcoalition, Naviculo Cuneiform coalition의 결합상태가 명확하게 보였다. $35^{\circ}$의 촬영상은 목말밑관절(subtalar joimt), 목말뼈(talus), 발뒤꿈치뼈의 뒤쪽관절면이 명확하고 발목발꿈치관절(talocalcaneal joint)의 분리정도가 좋고 발목뼈굴(sinus tarsi)이 넓게 나타나며 좋은 평가가 되었다. $45^{\circ}$영역에서는 연부조직과 석고 분리를 판별할 수 있었고 가쪽복사와 뼈 밀도가 명확하게 보였다. $35^{\circ}$에 비해 발꿈치뼈(Calcaneus)이 분리되었지만 영상이 왜곡되어 보였다. Calcaneus, Subtentaculum Tali Frature는 $25^{\circ}$에서 $1.20{\pm}0.414$, $30^{\circ}$에서는 $2.47{\pm}0.516$, $35^{\circ}$에서는 $2.87{\pm}0.352$, $45^{\circ}$에서는 $2.27{\pm}0.458$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왜곡의 정도를 포함시키면 $30^{\circ}$영역의 왜곡이 적게 나타났고, $40^{\circ}$ 영역은 심한 왜곡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Ankle(Broden)촬영에서 $30{\sim}35^{\circ}$상이 가장 좋은 영상이었으며, $30{\sim}40^{\circ}$상에서는 Calcaneus Fracture, Subtentaculum Tali Frature의 진단에 가장 좋은 영상을 묘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