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les of the Nigh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미셀 오슬로의 <밤의 이야기>를 통해 본 디지털 실루엣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silhouette animation, )

  • 문재철;김영옥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2호
    • /
    • pp.1-21
    • /
    • 2013
  • 실루엣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의 시작을 알린 20세기 초반부터 애니메이션의 한 장르로 인정받아왔으며, 특유의 움직임과 조형성은 다양한 의미론적 해석과 조형적 활용을 가능케 해왔다. 특히 프랑스의 애니메이션 감독 미셀 오슬로는 실루엣 애니메이션에 디지털을 접목하여 실루엣 애니메이션의 확장 가능성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고 있다. 최근작인 <밤의 이야기>는 3차원 입체로 실루엣 애니메이션을 제작함으로써 실루엣 애니메이션이 가지고 있던 고질적 한계들을 그만의 방식과 스타일로 진화시켰다. 오슬로 감독은 점점 더 사실적인 움직임을 지향하는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흐름 속에서도 선택된 움직임과 대안적 요소들을 통해 느림의 미학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정서, 감정 등의 무의식적 요소들을 강조하는 색채, 구도, 패턴 등을 그만의 방식으로 활용함으로써 이미지 범람의 시대에 절제되면서도 오히려 디지털로 강화된 회화적 인상과 이미지를 선사한다. 이와 함께 디지털의 획득으로 가능해진 3차원적 공간 활용은 관객들에게 더욱 폭넓은 조형적 상상력을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움직임, 이미지, 공간의 세 가지 범주에서 미셀 오슬로의 디지털 실루엣 애니메이션인 <밤의 이야기 Tales of the Night>(2011)의 진화된 미학적 특성들을 기존 전통적 기법의 실루엣 애니메이션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밤의 이야기>가 기존 실루엣 애니메이션 특유의 환영적 특징들을 새롭게 환기시키는 동시에, 여러 가지 제약으로 침체되었던 실루엣 애니메이션 제작에 디지털 접목을 통한 새로운 활기와 가능성을 모색하게 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점점 더 획일화되어가는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현 시점에서 이와 같은 디지털을 접목한 실루엣 애니메이션은 기존 아날로그 방식 특유의 정적 매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디지털로 새로운 조형적 상상력을 극대화시킨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부분들이 향후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다양성 획득과 발전적 진화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충분한 연구 가치와 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미셀 오슬로의 새로운 실험과 작품경향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백설공주" 읽기교육 -원작과 영화, 패러디 작품을 중심으로 (Reading and Teaching "Snow White" from a Critical Literacy Stance: the Original, the Animated Version, and Parodies)

  • 최석무
    • 영어영문학
    • /
    • 제55권5호
    • /
    • pp.885-906
    • /
    • 2009
  • In terms of class, race, or gender, critical literacy takes seriously the problem of inequality and injustice embedded in texts. Texts are considered as tools that are used for maintaining the status quo by constructing and communicating our identitie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others. While reading texts and identifying our roles in society, some feel empowered, and others, marginalized. Thus we need to challenge the characterization and the message included in those texts by asking problem-posing questions. In this paper I have demonstrated how to read and teach four versions of "Snow White" from a critical literacy stance. By the use of problem-posing questions, students are led to discover that one of Grimms' fairy tales, the original version of "Snow White," wa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men with power, thus marginalizing women in general, as well as the seven dwarfs.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Snow White's personality, the typical theme of fairy tales - good is rewarded while evil is punished - should be challenged. In the animation,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power is given to the marginalized people in the original, the seven dwarfs and women in general. In "Snow Night,"a feminist short story, women in general are empowered while men, who should be judged by their looks, are powerless. "Snow-Drop"reminds us of the original, but challenges stereotypes, prejudices, and the theme inherent in the story. In those three stories many parts from the original are rewritte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arginalized, but still some people are described prejudicially. So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write another story from a new perspective. When those four works were taught with problem-posing questions in a university, this approach proved to be quite successful: most students acknowledged the effectiveness of critical literacy in teaching literary works.

선택과 우연 그리고 도덕의 문제: 영화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을 중심으로 (The Matters of Choice, Chance and Morality in Eric Rohmer's )

  • 임태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21-128
    • /
    • 2016
  • 에릭 로메르는 일찍이 바쟁이 지적했던 카메라만의 특성, 작가의 편견이 미칠 수 없는 그 도구적 객관성과 엄정성을 극대화하여 아직 사람들에게 밝혀지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인간과 사물의 현실을 재현하고자 노력했다. 사물에 아름다움이 있다면 그것은 카메라에 담기기 이전부터 존재했다고 믿었기에 배우들의 실제 의견을 녹음하여 대사에 반영하고 기계적 연출보다는 그들의 자발적 움직임들을 담고자 하였다. 매체를 대하는 그의 이 같은 태도는 자연스럽게 그의 '서사'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었으며 그 결과 관객들은 이전 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구체적이고 생생한 캐릭터들과 그들이 헤쳐 가는 일상의 모험들을 만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로메르의 초기작에 해당되는 도덕이야기 연작 중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을 중심으로 로메르가 제기하는 선택과 우연의 문제, 도덕의 문제에 대해 고찰하고 덧붙여 문학사적 맥락 속에서 캐릭터를 창조하는 '작가'로서의 그의 위치 역시 간략히 논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