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iling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8초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광미중 비소의 불용화 (Immobilization of Arsenic in Tailing using the Hydmgen-Peroxide)

  • 정익재;최용수;박흥목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7-75
    • /
    • 1999
  • 비소는 자연적인 환경 하에서 음이온적인 거동을 하며 조건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환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적당한 처리방법이 없는 형편이다. 본 연구의 처리방법은 광미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하여 비산철로 불용화 하는 방법으로 실제 구봉광산의 광미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비소와 철의 용출농도가 각각 84%와 93%가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순수한 황철광과 비소표준용액을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를 첨가하는 실험에서는 과산화수소의 첨가량에 따라 비소의 농도가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용출 실험에서는 철은 약 80%, 비소는 약 90%가 용출이 억제되어 장기적 안정성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폐광미를 시멘트 혼화재료로 이용한 경화체의 미세구조분석 (Analiysis of Micro-structure of Cement Mortar Using Waste Fine Tailing with Admixture)

  • 유승완;안양진;문경주;박원춘;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743-747
    • /
    • 2005
  • In South Korea, about 900 metal mines have been abandoned, and about 88 million-t metal mine wastes have been discarded in recent years. The treatment of the tailings which are the main wastes in the abandoned metal mines becomes a social problem because the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acidic waste water generation,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dust generation. Since almost whole quantities of the tailings have disposed by landfill now,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recycling methods for the tailings are strongly requ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fine tailings obtained by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among the tailings can be utilized as admixture for 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icro-structure of cement mortar admixed with fine tailing. Various admixtures were made of Fine tailings and 2 Types of OPC, fly-ash and blast furnace slag. The hydration reactivity of cement mortar with FT was examined by Porosity, XRD and SEM morphology analysis. The anolytical result about hardened hydrates shows that waste fine tailing help hydrates none densified due to it,s filling-space, These densified effect is concluded with improving the resistance to attack of cement mortar including waste fine tailing.

  • PDF

Durability studies on concrete with partial replacement of cement and fine aggregates by fly ash and tailing material

  • Sunil, B.M.;Manjunatha, L.S.;Yaragalb, Subhash C.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5권6호
    • /
    • pp.671-683
    • /
    • 2017
  • Commonly used concrete in general, consists of cement, fine aggregate, coarse aggregate and water. Natural river sand is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 as fine aggregate in concrete. One of the important requirements of concrete is that it should be durable under certain conditions of exposure. The durability of concrete is defined as its ability to resist weathering action, chemical attack or any other process of deterioration. Durable concrete will retain its original form, quality and serviceability when exposed to its environment. Deterioration can occur in various forms such as alkali aggregate expansion, freeze-thaw expansion, salt scaling by de-icing salts, shrinkage, attack on the reinforcement due to carbonation, sulphate attack on exposure to ground water, sea water attack and corrosion caused by salts. Addition of admixtures may control these effects.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replace part of fine aggregate by tailing material and part of cement by fly ash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concrete. The various durability tests performed were chemical attack tests such as sulphate attack, chloride attack and acid attack test and water absorption test. The concrete blend with 35% Tailing Material (TM) in place of river sand and 20% Fly Ash (FA) in place of OPC, has exhibited higher durability characteristics.

실내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통한 SVE의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Efficiency of SVE from Lab-scale Model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 석희준;서민우;고경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B호
    • /
    • pp.137-147
    • /
    • 2008
  • SVE 공법은 휘발성 유기물로 오염된 불포화대의 정화 공법으로 널리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SVE 적용시 오염물 제거 기작을 관찰하기 위해 모형조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SVE의 주요 특징인 tailing 현상, 즉 후반부로 갈수록 제거 속도가 급격히 느려지는 꼬리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액상 막에서의 확산 제약 현상을 고려할 수 있는 수치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모형조 시험 결과와 구축된 수치 모델링을 통해 SVE의 전형적인 특징이 꼬리 현상을 적절하게 모사할 수 있었다. 또한 4가지 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총토양농도의 백분율은 액상확산계수가 클수록, 가스상 확산계수가 클수록, 실제확산경로가 짧을수록, 물포화도가 작을수록 빠르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폐석 미분말을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내약품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Chemical Resistance of Polymer Cement Concrete Using Tailing)

  • 전철수;연규석;이윤수;이필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355-360
    • /
    • 1999
  • Polymer cement is made by the modifying ordinary cement concrete with polymer additive. Until now polymer cement concrete is not used for the structural member, but it is growing to be considered as developing uses such as a waterproof of roof slab, the structural member for protecting corrosion, and a road pavement. The plymer cement concrete, being used for those uses, is superior to the cement concrete against the inorganic, organic acid, salt of acetic acid and organic solvents generally. In this paper, the polymer cement concrete was made by the ratio of 1:1 of sands and tailing in fine aggregate in order to sol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causes the social problem by the tailing, It was measured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chemicals resistance was tested by dealing with 10% HCI, 20% NaOH and 10% NaCl aqueous solution.

  • PDF

폴리머 시멘트 모르터용 골재로서 금속광산 폐광미의 활용연구 (A study on utilizatio of metal-mine tailings for polymer cement mortars)

  • 민경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1호
    • /
    • pp.13-18
    • /
    • 1999
  • The tailings stocked at two tailing piles in Sangdong aea have raised collapse hazards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 trial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tailings as fine aggregates for polymer concrete has been performed along with minera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tailings. The tailings from the Sangdong mine, mainly composed of quartz, orthoclase, amphiboles and muscovite, are alkaline and tailings at the new tailing pile are generally finer in grain size than those at the old tailing pile. In case of using New Tailings as fine aggregates, cement mortar with equivalent amounts of tailings and sands shows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Cement mortars containing tailings show lower values of compressive strength, splitting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than those not-containing tailings. Mixture of polymers such as SBR and EVA in cement mortars raises strengths of cement mortars effectively, which shows potential possiblity to utilize the tailings in Sangdong area as fine aggregates for polymer concretes.

  • PDF

폐광미 미립분의 시멘트 혼화재로의 활용 (Utilization of waste fine tailing as cement mineral admixture)

  • 안양진;유승완;문경주;박원춘;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봄학술 발표회 논문집(II)
    • /
    • pp.381-38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reutilization of waste fine tailing (FT) as admixture for cement and concrete. Various admixtures were made of Fine tailings and 2 Types of OPC, fly-ash and blast furnace slag. Cement mortars and concrete with FT are tested for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Also, the hydration reactivity of cement mortar with FT was examined by XRD and SEM morphology analysis. This work showed that the waste fine tailing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as replacement materials of cement without any decrease in the strength if we can control the blaine of materials like cement,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 PDF

금속 광미 처리를 위한 포틀랜드 시멘트와 MSG(micro silica grouting) 시멘트 고형화 실증 실험 연구 (Study of Solidification by Using Portland and MSG(micro silica grouting) Cements for Metal Mine Tailing Treatment)

  • 전지혜;김인수;이민희;장윤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6호
    • /
    • pp.699-710
    • /
    • 2006
  • 폐금속광산 주변에 산재한 광미를 고화제를 이용하여 영구 매립하는 고형화 처리 공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상북도에 위치한 지시, 대량, 어전 금속 폐광산 주변 광미를 대상으로 3 종류의 시멘트 고화제를 이용하여 고화체를 양생하고, 고화체의 압축강도 및 중금속 용출을 측정하여 고화체의 고형화 효율을 규명하였다. 포틀랜드 시멘트와 MSG(micro silica grouting) 계열 시멘트를 고화제로 사용하여 광미와 1:1(w.t.) 혼합하여 양생한 고화체의 압축강도 실험 결과 양생 기간이 14일 인 모든 고화체의 일축압축강도는$1{\sim}2kgf/mm^2$를 나타내어, 현행 폐기물관리법(20 조 관련)에서 규정하고 있는 차단형 매립시설의 내부막의 압축강도 기준인 $0.21kgf/mm^2$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미와 혼합하여 성형한 고화체와 순수한 광미를 대상으로 토양공정시험법에서 제시한 약산 추출법으로 중금속 용출을 실시하여 광미와 광미로 성형한 고화체의 중금속 용출 농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고화제와 광미를 1:1(w.t.)로 혼합하여 성형한 고화체의 경우 As와 Pb의 용출농도가 약 $3{\sim}5$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약산 추출법에 의한 중금속용출은 고화체 성형 시 뚜렷한 감소 효과가 있었다. 다양한 pH를 갖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광미와 고화제를 혼합하여 양생한 고화체의 시간에 따른 수용액으로의 중금속 용출 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용액의 pH가 1과 13인 강산/강염기 용액에서 일부 중금속의 용출 농도가 지하수 생활응수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pH가 $3{\sim}11$인 경우에는 중금속 용출이 급격히 감소하여 모두 지하수 생활용수 기준치 이하를 나타내었다. pH가 1과 13인 수용액의 경우에도 고화체와 반응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고화체의 완충(buffering) 효과에 의해 수용액의 pH가 변화하여 $9{\sim}10$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pH가 1과 13인 수계와 광미로 형성된 고화체가 접촉한다 하여도, 고화체의 완충 효과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촉수의 pH가 변하여 고화체로부터 지속적인 다량의 중금속 용출이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페광산 복구지역 잔류장미로 인한 주변 지하수${\cdot}$토양 오염가능성-시흥광산 사례 (Potential Contamination of Soil and Groundwater from the Residual Mine Tailings in the Restored Abandoned Mine Area : Shihung Mine Area)

  • 정예진;이상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5호
    • /
    • pp.461-470
    • /
    • 2001
  • 시흥광산은 1973년 폐장되었으며 1990년 초에 선광장 및 광미야적장에 있던 광미들을 제거한 후 그 자리에 소각장을 건설하는 폐광 복원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현재에도 광미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으며 광산 가동기간동안 많은 양의 광미가 주변 토양 및 논으로 이동, 퇴적된 것이 확인되는 바 광미와 물 반응으로 인한 침출수 형성과 주변 지하수 토양의 중금속 오염이 예상된다. 된 연구는 잔류광미와 물 반응에 따른 광산배수의 지구화학적 진화과정을 분석하고 주변 지하수 · 토양 오염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광미에서 추출한 공극수는 깊이에 따라 그 농도가 증가함을 보여 광미-불 반응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중금속이 용출됨을 시사한다. 광미 중금속 용출은 공극수뿐 아니라 표면과 심부에서 각자 채취한 광미시료들간의 화학성분 차이에서도 확인된다. 광산 배수 기원지역과 하부 지역의 지하수 시료를 거리에 따라 채취, 분석한 결과 Cd, Pb 및 Zn 등은 국내 및 미국환경청 음용수 기준을 초과하며 광산배수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실내 회분식 시험 결과 원소들은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과 비교적 일정한 농도를 보이는 두 가지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일부 원소들이 평형농도에 도달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회분식 시험에 사용한 증류수의 평균 pH는 6.5∼7.0의 범위로 이를 pH 4로 조정한 결과 원소들의 용출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본 지역의 잔류광미는 지속적으로 주변의 지하수와 토양을 오염시킬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산성비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 PDF

장군광산 광미 토양으로부터 아카시아의 중금속 전이에 관한 연구 (Heavy Metal Uptake of Acacia from Tailing soil in Abandoned Jangun Mine, Korea)

  • 정홍윤;김영훈;김정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3-185
    • /
    • 2015
  • 장군광산은 과거 갱도채굴한 폐금속광산으로 위치는 $N36^{\circ}$ 51'31.59", $E129^{\circ}$ 03'38.91"에 위치하고 있다. 산사면에 적치해 놓은 광미 적치장은 상부에 오염되지 않은 토양으로 약 20 cm 정도 복토한 후 아카시아를 식재해 놓은 상태이다. 광미 적치장에 식재해 놓은 아카시아는 대략 15년생 정도이다. 광미 적치장에서 채취한 토양시료의 중금속 농도는 As (66.43-9325.34 mg/kg), Cd (0.96-1.09 mg/kg), Cu (16.90-57.60 mg/kg), Pb (57.33-945.67 mg/kg), Zn (154.48-278.61 mg/kg)으로 비오염 토양인 대조군의 As (38.98 mg/kg), Cd (0.42 mg/kg), Cu (10.26 mg/kg), Pb (8.21 mg/kg), Zn (46.74 mg/kg) 보다 훨씬 높다. 가장 오염도가 높은 토양에 식재된 아카시아의 잎에서의 As, Cd, Cu, Pb, Zn의 농도는 각각 165.95, 0.04, 10.68, 3.18, 48.11 mg/kg이다. 비오염 토양에 식재되어 있는 아카시아의 잎에서의 중금속 농도는 As 1.31mg/kg, Cu 3.90 mg/kg, Pb 0.22 mg/kg, Zn 11.01 mg/kg이다. 아카시아에서의 중금속의 농집도는 껍질과 잎에서 높으며 심재와 변재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