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ctile-Emoti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원단의 시각적 온도감 (The Visual Temperature of Textile)

  • 오지연;박영경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155-164
    • /
    • 2018
  • 온도감은 촉각과 시각에 의해서 느낄 수 있는 감각이다. 하지만 온도감에 대한 개념을 시각적 온도감과 촉각적 온도감의 개념을 함께 활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 연구에서는 촉각을 통해 느끼는 온도감과 시각을 통해 느끼는 온도감에 대해 색채와 재질 특성에 따른 시각적 온도감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색채와 재질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는 샘플로 원단을 선택하였다. 15-16가지 종류로 Y계열, R계열, B계열, G계열 총 61개의 샘플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Yellow, Red, Blue, Green의 색을 떠올렸을 때 느끼는 색에 대한 온도감을 분석한 뒤 각 색상별로 원단의 촉각적 분류 및 시각적 분류에 따른 시각적 온도감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무게, 두께, 요철에 따른 시각적 온도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동일한 원단에서는 색 온도감에 따라 Cool과 Warm으로 느끼는 원단의 수가 차이가 났다. 그렇지만 원단의 분류마다 시각적 온도감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얇은, 비치는 원단과 무광택 원단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무게, 두께, 요철과 온도감의 관계에서는 무게와 관련을 보인 원단 분류는 딱딱한, 무광택 원단의 분류이며, 두께와 관련을 보인 원단 분류는 얇은, 비치는 원단이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적/행동적 특성평가를 위한 가상현실시스템 구현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ssessment of Schizophrenia)

  • Cho, Won-Geun;Kim, Ho-Sung;Ku, Jung-Hun;Kim, Jae-Hun;Kim, Byoung-Nyun;Lee, Jang-Han;Kim, Sun I.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100
    • /
    • 2003
  •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ave thinking disorders such as delusion or hallucination, because they have a deficit in the ability which to systematize and integrate information. Therefore, they cannot integrate or systemiz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In this study we suggest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cognitive ability of schizophrenia patients, based on the brain multimodal integration model. The virtual reality system provides multimodal stimuli, such as visual and auditory stimuli, to the patient, and can evaluate the patient's multimodal integration and working memory integration abilities by making the patient interpret and react to multimodal stimuli, which must be remembered for a given period of time. The clinical study showed that the virtual reality program developed is comparable to those of the WCST and the SPM.

  • PDF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정서와 EEG 특성 (Emotions and EEG Features Evoked by Tactile Stimulation)

  • 김지은;박연숙;오애령;최상섭;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권1호
    • /
    • pp.153-160
    • /
    • 1998
  • 본 연구는 피부에 가해지는 직물촉각 자극에 따라 나타나는 정서와 관련된 뇌파특징을 알아보려는 기초연구이다. 실험l에서는 촉각에 의한 정서가 생리적인 측정치를 통해 구분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피험자에게 물리적 특성이 극단적으로 다른 자극을 선택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20명의 대학생 치험자 (20-25세)에게 자극이 무선적으로 제시되었고, 각 자극제시후 피험자는 제시자극에 대한 느낌을 주관적 정서척도로 평정하였다. 뇌파는 양쪽 귓볼(A1, A2)을 기준전극으로 하여 F3, F4, C3, C4, T4, P3, P4, O1, O2에서 측정되었고, 측정된 뇌파는 FFT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각 피험자의 주관적 평가 결과에 따라 가장 쾌한 자극과 가장 불쾌한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측정한 뇌파의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영역에서 쾌자극 제시시에 alpha파가 유의미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후두엽 영역에서 불쾌자극 제시시 beta가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다섯 가지 직물자극을 가진 실험 ll에서와 유사한 절차에 다섯 가지 직물자극을 가진 실험 1에서와 유사한 절차에 의해 실험ll가 실시되었다. 실험l의 결과에 근거하여 측정 부위를 F3, F4, P3, P4, O1, O2로 축소되었다. 쾌자극 제시시의 뇌파는 불쾌자극 제시시보다 slow alpha(8-10Hz)파의 출현량이 많은 반면, slow beta(13-20Hz)파의 출현량은 적었다. 결론적으로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심리적 반응에 특정적인 뇌파반응이 존재하며, 이는 촉각에 의해 유발되는 주관적인 쾌.불쾌정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뇌파특징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캥거루 케어를 반영한 스마트 감성 매트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Sensibility Mat with Kangaroo Mother Care)

  • 조수민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171-178
    • /
    • 2017
  • 캥거루 케어의 특징을 반영하여 신생아의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 감성 매트(SSM; Smart Sensibility Mat)를 개발, 제작하였다. 청감 자극의 경우 사전에 녹음된 어머니의 심장박동소리와 목소리를 30dB로 제공할 수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매트에 삽입하였다. 촉감 자극의 경우 $32^{\circ}C$의 일정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해 실리콘 소재의 온수 튜브를 매트의 표면에 삽입하고 자동온도조절장치와 연결하였다. 매트의 전체에 균일한 온도 제공을 위해 열전도성 실을 삽입한 직물을 매트 표면에 부착하였다. 면 패드로 매트를 감싼 후 피부 접촉과 비슷한 촉감 자극을 주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을 매트 표면에 접착하였다. SSM이 신생아의 감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해 생후 2주 이내의 건강한 신생아 10명을 대상으로 일반 매트(GM; General Mat) 및 SSM에 있을 때 생리신호인 심박수, 호흡수와 체온을 10분 간격으로 2회씩 측정하였다. 이를 3일에 걸쳐 1일 1회씩 측정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GM에 있을 때 보다 SSM에 있을 때 심박수(t=8.131, p<.001)와 호흡수(t=7.227, p<.001)가 정상범위 안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SSM의 감각 자극이 신생아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GM보다 빠른 시간 내에 심리적 안정을 주는데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사 청감 재현 보조 매체로의 열감 활용 가능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Use of the Thermal Sense as an Complementary Media for Pseudo-Aural Sense Display)

  • 오현석;곽현구;김성목;정주노;김희국;최인묵;박연규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441-452
    • /
    • 2012
  • 최근 들어 청각 장애인들에게 정상인들이 소리로부터의 느끼는 청감과 유사한 느낌을 전달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시각은 물론 진동감과 같은 촉감을 활용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시각 정보의 보조 감각으로써 스피커나 진동 모터를 이용한 촉감이 제공되는 경우 생동감은 상당히 개선되는 측면이 있으나 정서감 측면에서는 그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사 청감을 재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보조 감각으로서 열감을 설정하고 열감이 유사 청감 재현 효과를 가질 수 있는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열감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열감 재현 모듈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실험 대상자들에게 시각 정보와 더불어 청각 정보, 진동 촉감, 그리고 열감을 혼합한 다양한 형태의 자극을 제공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데이터 통계 분석을 통하여 i) 영상과 함께 열감 자극을 제공하거나 또는 ii) 영상과 함께 열감 자극과 진동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영상만을 제공하는 경우보다 실험 대상자들이 영상과 소리로부터 느끼는 실제 열감에 더 가까운 유사 열감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실험 대상자의 피부에 제공되는 열감이 유사 청감 재현 보조 매체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쥐에서 말초 자극에 따른 뇌피질 활성화의 자기공명 영상 (MR imaging of cortical activation by painful peripheral stimulation in rats)

  • 이배환;차명훈;정재준;이규홍;이철현;손진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3-185
    • /
    • 2009
  • As imaging technology develop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echniques have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brain function by providing anatomical structure of the brain and functional imaging related to information processing. Manganese-enhanced MRI (MEMRI) technique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functions of the nervous system. However, systematic studies regarding information processing of pain have not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brain activation during painful electrical stimulation using MEMRI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Male Sprague-Dawley rats (250-300 g) were divided into 3 groups: normal control, sham stimulation, and electric stimulation. Rats were anesthetized with 2.5% isoflurane for surgery. Polyethylene catheter (PE-10) was placed in the external carotid artery to administrate mannitol and MnCl2. The blood brain barrier (BBB) was broken by 20% D-mannitol under anesthesia mixed with urethane and a-chloralose. The hind limb was electrically stimulated with a 2Hz (10V) frequency while MnCl2 was infused. Brain activation induced by electrical stimulation was detected using a 4.7 T MRI. Remarkable signal enhancement was observed in the primary sensory that corresponds to sensory tactile stimulation at the hind limb reg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gnal enhancement is related to functional activation following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peripheral receptive field.

  • PDF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적/행동적 특성평가를 위한 가상현실시스템 구현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ssessment of Schizophrenia)

  • Lee, Jang-Han;Cho, Won-Geun;Kim, Ho-Sung;Ku, Jung-Hun;Kim, Jae-Hun;Kim, Byoung-Nyun;Kim, Sun-I.
    • 감성과학
    • /
    • 제6권3호
    • /
    • pp.55-62
    • /
    • 2003
  • 정신분열병은 망상이나 환각과 같은 양성증상과 감정적 둔마와 같은 음성증상이 대표적인 사고장애로서 외부입력 정보를 통합하거나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매우 부족하다. 즉, 정신분열병 환자는 시각, 청각, 촉각 등의 자극을 종합하고 통합하여 인지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 인지 통합 모델(Brain Multimodal Integration Model)에 기반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상현실시스템을 제안한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지각, 인지,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상현실시스템은 환자에게 시각과 청각의 멀티모달 자극을 제시하여, 환자로 하여금 일정시간 동안 자극을 기억하고 처리하여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수행 결과를 통해 환자의 멀티모달 자극 통합능력 및 작업기억 통합능력, 네비게이션 능력을 평가한다. 임상연구를 통해 개발된 가상현실시스템을 WCST과 같은 기존 검사방법들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는데, 가상현실로 측정한 파라미터와 WCST의 파라미터 및 SPM 점수 사이에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가상현실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인테리어 내장재의 고급감에 관한 시각 및 촉각변수의 수량화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Quantification Models on Visual and Tactile Design Characteristics for the Luxuriousness of Interior Covering Materials)

  • 반상우;윤명환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3-401
    • /
    • 2007
  • Affective aspects of design attributes such as color, Pattern, and texture are important to the overall impression and the success of interior products. Among all the interior materials, wallpapers and flooring materials take up largest construction area and they are main components in creating affective impression for customer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uxuriousness and related affective variables and design elements of wallpapers and flooring materials. The approach consists of 3 steps: (1) selecting related affective features and product design attributes through a literature survey, opinion of expert panel, and focus group interview, (2) conducting evaluation experiments, and (3) developing Kansei model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zing critical attributes. Evalu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made up of 7-point scale and 100-point scale and 30 housewives and 20 interior designers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experiment. The result of evaluation was analyz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and quantification I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luxuriousness and related affective features and product design attributes was identified, moreover a optimal combination of the design component was identified.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be a basis of the concept of emotion-based design by giving insights about how customers perceive the luxuriousness and suggesting the optimal combination, and providing specific quantitative design guidelines.

LED의 패션디자인 적용방법과 표현특성 (A Study on the Method to Apply LED to Fashion Design and Its Expression Characteristic)

  • 김언정;유영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29
    • /
    • 2011
  • Fashion industry is high value added indust교, whose price is decided by design value so it requires creativity and uniqueness for compe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how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LED that can express new creativity and uniqueness is applied to fashion design and find out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LED used in fashion design. The study subjects, the design to which LED is applied, were extracted from fashion show and internet search. As a study result,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LED used for fashion design are as follows. First, for function, tool function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for life and expression function that can provide user wit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were allowed. Second, for aesthetic changes, many-sided, multiple colors and pattern displays of LED changed design meaning visually and caused aesthetic emotion for observer. Third, for interaction, physical factor of LED, user, dress and environmental factor interacted each other, enabling both-sided communication. Fourth, for amusement, multiple lights of LED activated visual and tactile sense, expressing usefulness and joyfulness on the basis of various display possibilities and changes. The study result will be helpful for developing more unique, creative design according to the change of age and development of science.

  • PDF

2014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의 전시이미지 표현특성 - 충돌 몽타주와 간격을 중심으로 -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Image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Venice Biennale Architecture 2014 - Focused on the Montage of Collision and Interval -)

  • 박영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63-74
    • /
    • 2017
  • This study is for the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exhibition presen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the Golden Lion Winner at the Venice Biennale in 2014. The Korean peninsula provides two opposit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adaptations of modernism through various multi media images. The curator, Minsuk Cho, presented cinema montage image of Collision for analyzing dynamic exhibition organization and provides the foundation of his theory from Bergson's image and duration to Deleuze's movement-image and time-image which is mentioned from Deleuze's book "cinema 1" and "cinema 2". Furthermore, the Korean peninsula has showed perception-image and affection-image from Eisenstein & Vertov's cinemathology and systemized exhibition presentation. The montage of Collision has maximized the movement from the variety and complexity in a collision and it made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images which are space, time, emotion, intelligence, the tumult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fragments from reorganizing itself, and distribution and art images. The limit of montage of Collision's dialectic is not only visual but also space from organic organization but the Korean peninsula overcomes its limit and shows leap of tactile perception and time-reflection from the montage of Collision's dialectic. Therefore, the exhib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resents the conviction of adaptations of moder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