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S

검색결과 6,920건 처리시간 0.037초

자막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스마트TV 사업 모형설계 (The Design of Smart TV Business Model Using subtitle Information)

  • 나인섭;김수형;나형율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권4호
    • /
    • pp.35-43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TV 현황을 살펴보고, 바뀐 스마트 생태계에서 자막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스마트 TV 사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사회는 스마트 TV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와 유보적 견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TV로의 큰 변화는 우리 시대에 거부 할 수 없는 큰 물결이며, 점진적으로 스마트 TV를 중심으로 모든 사회가 바뀌어나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양방향, 능동적, 소비자 중심의 스마트TV환경에서 자막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스마트 TV 사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끝으로, 제안된 자막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TV 사업모형은 한류 시대에 국가 간 정보의 격차를 줄이고 한류를 확산하는 데 일익 할 것이 기대된다.

  • PDF

스마트 TV 포렌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Smart TV Forensics)

  • 강희수;박민수;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851-860
    • /
    • 2014
  • IT 기술의 발달과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디지털 TV에 네트워크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TV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TV 기능의 변화는 디지털 포렌식적으로 의미를 갖는다. 기존의 디지털 TV는 기기 안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디지털 포렌식 조사의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스마트 TV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사용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과거 행동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기 내부에 저장하기 때문에 디지털 포렌식 조사의 대상으로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포렌식의 한 분야로서 기존의 디지털 포렌식보다 폭넓은 연령대의 사용자 행동을 추적할 수 있는 스마트 TV 포렌식의 개념 및 방법을 제안한다.

차세대 스마트TV 서비스 기술 전망 (Service Technology Prospect for Next Generation Smart TV)

  • 홍진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8-371
    • /
    • 2012
  •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이어 컴퓨팅이 융합되는 기술적 진화에 따라 방송과 인터넷이 연계된 스마트TV가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V와 인터넷의 결합을 기반으로 이용자 친화적인 멀티모달 휴먼 인터페이스에 의한 화면제어가 가능하고, N-스크린 기반으로 방송형, 통신형, 방송통신 융합형, 컴퓨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CPNT기반의 차세대 스마트TV(스마트TV 2.0)의 서비스 기술에 대해 전망하고자 한다.

  • PDF

Web TV in Network TV: Digitextuality and Hybridization of Media Labor in My Little Television

  • Jung, Sookeung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6권2호
    • /
    • pp.59-81
    • /
    • 2017
  • The emergence of the new audiences floating across multimedia platforms and engaging in TV production and distribution have forced producers and broadcasters to think of not only the fragmented distribution of their content but also the development of a new format beyond the frame of traditional TV production. A Korean entertainment TV show My Little Television combining the form of live webcasting and traditional TV show reflects such a trend. Because of the distinct format, My Little Television carries out a unique strategy in managing the two screens - Internet and TV. The dualistic production requires all players to understand not only online subculture and communication styles and methods, but also implicit and explicit rules of traditional TV production. Through text and visual image analysis on the show, this study discusses how MLT negotiates with the original Internet text, the producers' paratext, and the supertext of the national TV network in the context of the transitory screen culture.

Social TV 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 해외 Social TV 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Extracting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in Social TV - Focusing on Case Studies -)

  • 이정연;이승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11-817
    • /
    • 2009
  • 현 사회는 통신과 방송 융합 시대의 도래와 웹2.0의 영향으로 기존의 단 방향 형식의 TV가 개인화된 양방향 서비스의 TV2.0 를 맞이하고 있다. 인터넷의 쌍방향성을 활용하여 TV를 시청함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부가하여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Social TV'란 명제아래 여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IPTV의 새로운 성장요소로서의 SocialTV의 사례분석을 통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 추출을 진행하였다. 먼저 TV가 지닌 매체적 특성에 대한 이론 연구를 통해 TV가 Social TV로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Social TV의 해외 사례분석과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Social TV를 디자인 할 시 고려되어야 할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소로는 (1) 커뮤니케이션 채널, (2) 동시 시청에 대한 경험, (3)인터랙션 디바이스와 세부 요소들, (4) 개인화된 콘텐츠 브라우징/검색과 선택, (5) 접근성과 사용성, (6)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정리되었다. 향후 연구로는 추출한 인자들을 국내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재정의하여 향후 국내에서의 Social TV 서비스 개발 시, 유용하게 활용될 가이드라인을 제안해 본다.

  • PDF

앱기반 서비스 브랜드의 TV 광고 노출량이 검색량에 미치는 영향: 업종유형 및 검색언어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TV ad Exposure on Search Volumes on App-based Service Brand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dustry Type and Search Language Type)

  • 김덕희;문윤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284-298
    • /
    • 2021
  • TV media는 인지도 생성 뿐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인터넷 검색 행동을 유발하며, 검색 결과는 브랜드 홈페이지 혹은 E-commerce site로 연결된다. 본 연구는 TV 광고가 브랜드 관련 검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TV 채널에서 방영된 TV 광고량이 국내 검색 플랫폼인 NAVER 검색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TV 광고 노출량은 한글 검색량, 영어 검색량, 총 검색량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TV광고 노출량의 변화는 검색량 변화에도 유의한 정적 영향력이 있었다. TV 광고를 실시한 업종별로 TV 광고량 증가에 따른 브랜드 검색 언어 증가량이 다르게 나타났고, TV 광고내용에 영어 로고가 표출된 경우 TV광고 노출량이 늘어날수록 영어검색 빈도가 한글검색빈도보다 더 빨리 상승함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국내 TV 광고량은 NAVER 검색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TV 광고를 실시한 광고 업종과 브랜드 검색 언어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따라 TV 광고는 한국인의 모국어가 아닌 영문 브랜드 검색 행동도 활발하게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V 기반 상거래(TV Home-Shopping, T-Commerce)의 품질 속성 분석을 통한 소비자 만족도 증대요인 분석 (TV-Based Commerce Factors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Quality Attribute Analysis)

  • 박준용;신민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1-79
    • /
    • 2016
  • 최근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TV 기반 상거래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경우, TV 홈쇼핑과 T-Commerce 각각에 관한 연구만이 존재하며, 각각의 연구 역시 소비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속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TV 기반 상거래를 통해 소비자의 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품질 속성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는 이를 위해 TV 홈쇼핑 및 T-Commerce의 특징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KANO 모델과 ASC를 기반으로 TV 기반 상거래의 고객 품질 속성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TV 시청 환경에 적합한 위젯 가이드라인 제안 (Widget Guideline for TV Environment)

  • 위승용;이상선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001-1008
    • /
    • 2009
  • Newsweek 가 2007 년을 '위젯의 해'라고 선언할 정도로 IT산업에서 위젯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위젯은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의 일종을 뜻한다. 위젯은 웹 사이트와 연동하여 제 기능을 다할 뿐 아니라 데스크톱, 모바일, 심지어 TV로까지 연동될 채비까지 갖추어 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TV 환경에서는 TV용 위젯 그래픽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TV 시청 환경에 적합한 위젯 가이드라인을 제안함에 있다. TV와 PC의 사용 환경은 서로 다르며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첫째는 목적적 측면이다. PC는 주로 작업, 검색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 반면, TV는 즐기고, 쉬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둘째는 조작적 측면이다. PC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 도구를 사용하여 문자와 위치 등을 쉽게 입력하고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는 반면, TV는 리모컨으로 제한적인 조작을 한다. 셋째는 시청 환경적 측면이다. TV의 시청거리는 PC나 모바일 보다 멀다. 그리고 보편적으로 가족이 공유하는 미디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세 가지 선행연구를 종합하였다. 첫째, 위젯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둘째, TV와 PC환경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셋째, 위젯과 TV의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TV 환경에 적합한 위젯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연구자는 가이드라인을 콘텐츠, 그래픽, 인터랙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또한 연구자가 제안하는 가이드라인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가이드라인에 토대로 한 TV 용 위젯을 제안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의 40 인치 HDTV를 중심으로 제한한다. PC 에서처럼 TV 에서 위젯이 정착하기 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본 연구가 TV 환경에 적합한 위젯에 관한 연구의 시작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TV 시청 시간의 조정이 아동의 TV시청유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djustment of TV Watching Time on Children's TV Watching Patterns)

  • 박혜원;조복희
    • 아동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35
    • /
    • 1994
  • Two hundred and sixty-six mothers with preschool and primary school children filled out TV diaries for three days around the TV turning-off campaign day initiated by YMCA. TV diaries were designed to record the TV programs watched by family members as well as the focused child's activities every 15 min. 121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campaign voluntarily and 145 families served as the control group. The campaign group watched less than the control group even before the campaign day and differed in several family backgrounds primarily due to the difference of family members' ages in both groups. Despite participating in the campaign, 53.9% of the families among the campaign group watched TV and 35.5% of the children in these families watched TV on the campaign day. TV watching tim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stimates by diary method. Participating children in the campaign increased in activities such as reading, indoor play, as well as video watching. In the campaign group, TV watching time on the next day of the campaign increased slightly than the day before it. Preschool and primary school children's activities as well as the watched TV programs were analyzed separately for two groups. In addition, total TV on-time and coviewing patterns by the focused child with the family member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child's other TV watching patterns as well as their related variables.

  • PDF

컨조인트와 확산모형을 이용한 차세대 대형 TV의 수요 예측 (Forecasting the Evolution of Demand for the Large Sized Television of Next Generation Using Conjoint and Diffusion Models)

  • 이종수;조영상;이정동;이철용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100
    • /
    • 2003
  •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신제품확산모델(new product diffusion model)들이 기본적인 배스 모형(Bass model)에 기반하여 개별 소비자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반영하지 못하고,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기 이전 단계에 시장수요를 예측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방법론을 살펴보면, 먼저 컨조인트(Conjoint) 분석을 통해 제품의 개별 속성들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추정된 정적(static)인 소비자 효용함수를 시장 및 기술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절한 예측자료와 결합하여 동적(dynamic)인 효용함수로 전환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동적(dynamic) 시장 점유율(market share)을 예측하고, 그 결과를 신제품확산모델로부터 도출된 잠재시장(market potential) 추정치와 결합함으로써 신제품의 판매량을 예측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을 한국의 30인치 이상 대형TV 시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CRT TV, Projection TV, LCD TV, PDP TV에 대한 시장수요를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TV 선택시 화질과 가격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시장 예측 결과, 단기적으로는 가격 경쟁력이 있는 Projection TV가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지만, 50인치 이상 LCD TV가 상용화될 경우, LCD TV가 다른 TV들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판매량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TV 크기에 따른 소비자들의 선택을 살펴본 결과 50∼60인치대에 비해 40인치대 크기의 TV가 많이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