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 media

검색결과 1,725건 처리시간 0.034초

TV 방송콘텐츠 추천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UI 제안 (Mobile Application UI Design for TV Broadcasting Content Recommendation)

  • 손희정;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6-93
    • /
    • 2012
  • 케이블TV, 위성방송, IPTV의 출현으로 시청자는 다양한 TV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지만 여가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TV 시청시간이 줄어들게 되면서 시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보고자 하는 욕구가 점점 더 증가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2009년 이후 급속한 시장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는 스마트폰은 기존의 디지털기기와 연동하는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본격적인 스마트 네트워크 미디어 시대로의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이 두 기기를 결합하여 스마트폰으로 TV를 제어하는 등의 TV연동형 기능이 등장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TV제어에서 더 나아가 효율적인 TV시청을 위해 개인의 시청패턴을 분석하는 추천기법을 활용하여 방송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콘셉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터랙션과 UI 디자인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존 연구 및 TV 연동형 어플리케이션과 제품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확인하고 그에 근거하여 적합한 UI구조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중매체에 나타난 교복디자인 연구 (A study of School Uniform Design in the Mass Media)

  • 임송미;이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2호
    • /
    • pp.179-193
    • /
    • 2010
  • A school uniform has established it as youth culture and an important fashion cord which exposes adolescents themselves under the influence of TV and movies. Moreover as adolescents use TV and radio ads and Internet as a main source to purchase a school uniform, their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uniform fashion increasingly gr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ical changes of school uniform design of high school girls and provide basic materials to develop school uniform design and predict adolescents' fashion trend. The scope and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TV drama and movies which were shown from 1996 to 2010 and had high school students as their main characters based on youth culture. The analysis materials were photos of 50 school uniforms collected from TV soap opera, movies, web sites, DVDs, and Internet. First, the changes of a school uniform, the mass media and youth culture, and a school uniform in the mass media were reviewed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 review. Then, a form, color, and materials were classified to analyze the Dsign Characteristic. Finally, the changes were examined chronologically.

영상매체에 나타난 복식의 의미작용에 관한 기호학적 접근 -TV드라마 『애인』을 중심으로- (Semiotic Approach on the Signification of Clothing through Visual Mass Media -in a TV Serial Drama′Aein(Sweetheart)′-)

  • 박희순;이수인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4호
    • /
    • pp.62-73
    • /
    • 1998
  • This study focuses on semiotic significance of clothing, showed in visual mass media. This study will look into what general public understand from clothing and what influence clothing on visual mass media exert on fashion. This study employs an example, "Aein(sweetheart)", which was televised from 09/02/1996 till 10/23/1996. Some specialists(master′s degree or doctoral degree holders, or professors) of Clothing and Textile picked and analyzed scenes with specific clothing.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analysis are 1) in what procession the significance operate from the view of mythological symbols by Bart, 2) what influences clothing on TV dramas exert on fashion.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First, clothing′s signifying proces hs two dimensions; linguistic dimension and mythological dimension. Linguistic dimension which is regarded as general and unvariable and is related to the reproductive signifying operation,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the characters including the characters′ social activities, professions, social or economic position. Mythological dimension which is related to the cultural and implicative signifying oper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Thus, it operates to create and deliver images including that atmosphere of he drama and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Second, the TV media which is characterized with the form of centralized transmission and individual reception and the ability tro readily lead the fashion, has huge influence upon the fashion by properly creating mythological or linguistic dimension of the clothing in the drama, arousing the public′s sympathy, and stimulating the public′ immitation or conformity mentality.

  • PDF

미디어 콘텐츠의 장르 간 영역 이동에 관한 연구 : 드라마와 영화, 뮤지컬을 중심으로 (Transfer of Media Contents between Different Genres : focused on Dramas, Films, and Musicals)

  • 이문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48-158
    • /
    • 2009
  • 최근 들어 미디어 콘텐츠의 영역 이동이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각각의 미디어들은 그것이 TV든, 영화든, 뮤지컬이든, 애니메이션이든 상품의 형태는 다르지만, 킬러 스토리를 차용하여 개별 미디어의 특성에 맞게 포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콘텐츠 비즈니스의 새로운 국면을 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동종 장르 또는 이종 장르간의 리메이크 제작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 장르는 드라마와 영화, 뮤지컬이며, 네이버 검색 엔진과 각 방송사, 영화진흥위원회, 인터파크 홈페이지에서 추출된 자료를 토대로 최종 61편의 리메이크 작품을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빈도 분석과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도별, 장르 유형별, 거래 유형별 빈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2006년 이후 리메이크 제작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르로는 드라마와 영화가 원천 장르로 제공되고 있었고, 동종 장르간의 리메이크 제작이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영화 장르는 다양한 리메이크 제작의 소스가 되고 있으며, 최근 증가하고 있는 리메이크 뮤지컬의 주요 원천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클론을 활용한 3D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D Animation Production Using the iClone)

  • 류창수;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0-522
    • /
    • 2014
  • 최근 3D 애니메이션은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등 새로운 플랫폼이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애니메이션은 이에 적합한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고 미디어의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동일한 스토리, 캐릭터 소재를 가지고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등 새로운 스마트 미디어의 특성에 맞게 콘텐츠 형식을 다각화하는 개발방법과 새로운 미디어 기술을 기반으로 애니메이션 영상콘텐츠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바타의 3D 동영상 제작 기술인 iClone를 활용하여 아바타를 만들고 의상편집과 모션편집을 통한 3D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

ubiTV Application: 가족을 위한 조화로운 미디어 서비스 (ubiTV Application: Harmonized Media Service for a Family)

  • 신춘성;오유수;정우진;윤효석;김영미;우운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75-280
    • /
    • 2006
  • 본 논문은 스마트 홈에서 다수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화로운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ubiTV 응용을 제안한다. ubiTV 응용은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고 인식하기 위해 정형화된 컨텍스트를 이용하는 ubi-UCAM2.0 을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ubiTV 응용은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위치추적 센서, 출입문센서, 소파센서 그리고 PDA 기반의 리모컨을 활용한다. 그리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인식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영화, 음악, 영상 및 웹 등의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로 구성된다. 이를 기반으로 ubiTV 응용은 사용자의 컨텍스트 및 미디어 콘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추천한다. 또한, 사용자 및 미디어 서비스 간의 협력을 통해 조화로운 서비스 및 콘텐츠 공유를 지원한다. 그리고 파노라믹 영상을 기반으로 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통해 사용자들이 미디어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ubiTV 응용은 현재의 널리 사용중인 미디어 시스템과 달리 다수의 사용자들이 미디어 서비스를 함께 이용하고 관심 있는 멀티미디어를 서로간에 공유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하는 ubiTV 응용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를 조화롭게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 홈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연구 -아프리카 TV와 Twitch TV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UX of Internet Broadcasting -Focused on the Afreeca TV, the Twitch TV-)

  • 권진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407-413
    • /
    • 2018
  • 본 연구는 발전되고 있는 인터넷 방송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환경에서 시청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UX 만족도 지표와 UI 가이드라인을 결합하여 모바일 시청환경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모바일 인터넷 방송환경과 애플리케이션의 개념을 이해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마련된 UX, UI 지표를 결합하여 인터넷 방송에 맞는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방송화면의 해당 항목을 도출해낸다. 각 항목의 구성요소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간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모바일 방송환경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 제작되어 차이점이 존재한다. 각자의 문화를 가지고 부족한 점을 보강하여 사용자의 만족도 증가라는 확실한 방향을 향하여야 한다. 본 연구가 인터넷 방송환경의 발전방향을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하며,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Implementation of Filter Bank-Based RF Transceiver for TV White Space

  • Kang, Kyu-Min;Park, Jae Cheol;Park, Seungkeun
    • ETRI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1077-1086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general-purpose design scheme of a filter bank (FB)-based radio frequency (RF) transceiver that operates across the entire ultra-high frequency (UHF) TV band from 470 MHz to 698 MHz and complies with the TV white space (TVWS) regulatory requirements. To this end,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band-pass filter (BPF) with a sharp skirt characteristic is considered as a solution for handling the incoming signals from a baseband modem. Specifically, an FB-based BPF structure with four ceramic resonator filters that effectively rejects unwanted signals is proposed to extract a desired signal in the TV band. Achievable data rates of a cognitive radio system (CRS) employing the proposed FB-based RF transceiver at the application layer are investigated in both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s. The service coverage of the CRS network is measured according to several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MCSs) of the CR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verage of a wireless network in a nearly open area can be extended by more than 9.3 km in the TVWS. Experimental results also confirm that the proposed FB-based RF transceiver is adequate for utilization in TVWS applications.

OTT 서비스와 시청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티빙(tving)을 중심으로 (Exploring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 through OTT Service)

  • 최선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1-594
    • /
    • 2013
  • 본 연구는 가장 일상적인 미디어 행위로 볼 수 있는 텔레비전 시청이 OTT서비스로 인해 어떠한 변화를 맞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OTT 서비스를 분석하고 이용자들을 관찰하여 기존의 시청행위와 어떤 차이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즉시적이고 동시적인 소셜시청(social viewing), 정보공유에 의한 채널 잽핑(channel zapping), 멀티시청(multi viewing), 시청 공간의 탈맥락화로 OTT서비스 시청경험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 콘텐츠 시청은 가족단위 시청에서 개인화 된 행위로 바뀌었고, 타인과 텍스트와 이미지를 통해 시청과 동시에 이야기를 주고받는 소셜시청(social viewing) 행태가 이른바 '목적형 시청'(lean forward)일 경우 심화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해당 콘텐츠에 대한 내용과 평가를 SNS를 통해 시청자간에 공유하면서 OTT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이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시청행위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쟁 다큐멘터리 시청이 수용자의 안보 의식에 미치는영향 - 'KBS 특집, 우크라이나 침공 100일, 포화속으로'를 중심으로- (Effect of Watching War Documentary on Audience's Security Consciousness - Focusing on 'KBS Special, 100 Days of Invasion of Ukraine, Into the Fire' -)

  • 박덕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13-1620
    • /
    • 2022
  • Through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news from legacy media, including television, has an agenda-setting effect and priming effect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audiences about politics and war, and that film media also has an agenda-setting effect and political priming effect on war issu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on the effects of war-related TV documentaries on media audiences. Therefore,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ecurity', 'will for South-North Unification' and 'will to participate in war in case of emergency' for the audience who watched the KBS special <100 Days of Invasion of Ukraine, Part 1 into the Fi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watching a war-related TV documentary reinforced the audience'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ecurity' and 'will for South-North Unifica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watching a war-related TV documentary did not strengthen the audience's will to participate in war in case of emerg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