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TX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1초

Nitric oxide에 의한 수퇘지 음경후인근의 비아드레날린 비콜린 동작성 이완 II. 비아드레날린 비콜린성 신경의 전장자극과 S-nitrosothiols에 의한 돼지 음경후인근의 이완 효과 비교 (Nitric oxide(NO) mediating non-adrenergic non-cholinergic(NANC) relaxation in the boar retractor penis muscle II. Comparison of the relaxant properties induced by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nerve stimulation and S-nitrosothiols in the porcine retractor penis muscle)

  • 문규환;김태완;강동묵;이완;양일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59-469
    • /
    • 1995
  • As S-nitrosothiols were proposed as nitrergic carriers in vascular and nonvascular smooth muscle, we have investigated the relaxant properties of several S-nitrosothiols in the porcine retractor penis(PRP) muscle and compared them with the effects of exogenously added NO, electrical field stimulation(EFS) of NANC nerves and sodium nitroprusside(SNP). Also the influences of oxyhemoglobin and hydroquinone on the relaxant respons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effects of NO on membrane potentials and its involvement in the generation of inhibitory junction potential(IJP) were investigated with conventional intracellular microelectrode technique.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Frequency-dependent relaxations of PRP muscle were induced by EFS to NANC nerve. Tetrodotoxin($1{\times}10^{-6}M$) abolished the relaxations of PRP muscle induced by EFS, and L-NAME(($2{\times}10^{-5}M$) and methylene blue($4{\times}10^{-5}M$) inhibited the relaxations. L-NAME-induced inhibition of the relaxations was reversed by L-arginine($1{\times}10^{-3}M$), but not by D-arginine. 2. Exogenous NO($1{\times}10^{-5}-1{\times}10^{-4}M$), sodium nitroprusside(($1{\times}10^{-7}-1{\times}10^{-4}M$) induced dose-dependent relaxations of PRP muscle. All S-nitrosothiols($1{\times}10^{-7}-1{\times}10^{-4}M$) tested relaxed the PRP muscle in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potency order was SNAP>GSNO>CysNO>SNAC. 3. Oxyhemoglobin($5{\times}10^{-5}M$) blocked the relaxation induced by exogenous NO and inhibited EFS-, S-nitrosothiols-, and SNP-induced relaxation. 4. Hydroquinone($1{\times}10^{-4}M$) also abolished the relaxations induced by exogenous NO, and reduced the relaxations induced by S-nitrosothiols, but did not affect EFS- and SNP-induced relaxations. 5. SNP($2{\times}10^{-6}-5{\times}10^{-6}M$) relaxed muscle strips but the membrane potentials were not affected. 6. EFS with several pulses(1ms, 2Hz, 80V) produced an inhibitory junction potential(IJP) with muscle relaxation. They were abolished by TTX($2{\times}10^{-6}M$). $N^G$-nitro-$_{\small{L}}$-arginine(L-NNA, $2{\times}10^{-5}M$) abolished the muscle relaxation, but had no effect on IJP.

  • PDF

Nitric oxide에 의한 수퇘지 음경후인근의 비아드레날린 비콜린 동작성 이완 I. 돼지 음경후인근의 비아드레날린 비콜린성 이완을 매개하는 신경전달물질 : nitric oxide와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Nitric oxide(NO) mediating non-adrenergic non-cholinergic(NANC) relaxation in the boar retractor penis muscle I. Mediators of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relaxation of porcine retractor penis muscle : nitric oxide and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 문규환;김점용;김태완;강동묵;양일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47-458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nonadrenergic, noncholinergic(NANC) relaxation of porcine retractor penis(PRP) muscle induced by electrical field stimulation(EFS) and to investigate the actions of niric oxide(NO) and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VIP) as candidates for NANC neurotransmitters. Biphasic relaxations of PRP muscle were induced by EFS to NANC nerve. Rapid-phase relaxation was observed at low frequency(0.5-16Hz) and slow-phase relaxation followed during high frequency(8-60Hz). Both relaxations were frequency-dependent and TTX($1{\times}10^{-6}M$)-sensitive. L-NAME($2{\times}10^{-5}M$) inhibited the rapid-phase relaxation, but not the slow-phase relaxation. The inhibition of the rapid-phase relaxation with L-NAME was reversed by L-arginine ($1{\times}10^{-3}M$) but not by D-arginine($1{\times}10^{-3}M$). Methylene blue($4{\times}10^{-5}M$) reduced the rapid-phase relaxation. Exogenous No(ExoNO, $1{\times}10^{-5}-1{\times}10^{-4}M$) induced dose-dependent relaxations of PRP muscle. Oxyhemoglobin($5{\times}1^{-5}M$) blocked the relaxation induced by ExoNO and inhibited EFS-induced relaxation. Hydroquinone($1{\times}10^{-4}M$) also abolished the relaxation induced by ExoNO, but did not affect EFS-induced relaxation. L-NAME resistant slow-phase relaxation to EFS was inhibited by ${\alpha}$-chymotrypsin(2.5 U/ml). Both methylene blue($4{\times}10^{-5}M$) and Nethylmaleimide($1{\times}10^{-4}M$) reduced the slow-phase relaxation by EFS. [4-Cl-D-$Phe^6$, $Leu^{17}$]-VIP($3{\times}10^{-6}M$) inhibited the slow-phase relaxation by EFS. External applications of VIP ($1{\times}10^{-7}M$) caused relaxations that were simillar to the L-NAME resistant slow-phase relaxations induced by EFS, and relaxant effects of exogenous VIP were blocked by ${\alpha}$-chymotrypsin(2.5 U/ml).

  • PDF

니코틴의 마우스 소뇌과립세포내 칼슘의 항상성 조절기전 (Cellular Mechanism of Nicotine-mediated Intracellular Calcium Homeostasis in Primary Culture of Mouse Cerebellar Granule Cells)

  • 김원기;배영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1
    • /
    • 1996
  • 세포내 칼슘농도는 신경세포의 다양한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배양한 마우스 소뇌과립세포에서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특정 발생단계에 발현되고 세포내 칼슘의 농도조절에 관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니코틴에 의한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는 $^{45}Ca^{2+}$나 fura-2를 사용하여 형광법으로 측정하였다. 니코틴은 마우스 소뇌과립세포내 칼슘의 농도를 최대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일차배양한 Glia 세포들에서는 $^{45}Ca^{2+}$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세포내 칼슘농도에 미치는 니코틴의 효과는 NMDA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또한 Glutamate pyruvate transminase (GPT)를 사용하여 배양액의 글루타민산을 제거하면 니코틴효과가 소실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니코틴에 의한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가 세포에서 유리된 글루타민산에 의한 간접적인 효과임을 암시한다. Fura-2를 사용한 형광법으로 실험한 결과 니코틴은 two phase로 세포내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NMDA 수용체 길항제와 GPT는 단지 후기 plateau상만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니코틴이 직접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일시적으로 세포내 칼슘농도를 증가시키고 글루타민산을 유리하여 NMDA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내 칼슘농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특정한 발생과정에 발현되어 세포내 칼슘농도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신경발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state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H]DPCPX$를 이용한 competitive binding assay에서 0.1 mM GTP는 효현제인 PIA의 apparent affinity를 감소시켰으며, DPCPX의 apparent affinity는 증가시키고, CGS-15943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것은 상기의 $[^{35}S]GTP_{\gamma}S$ binding의 결과를 뒤받침해 주는 결과라고 생각된다.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X>$Ca^{2+}$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K^+$ 통로를 개방시킴으로 세포내 $Ca^{2+}$을 감소시켜 뇌 기저동맥의 이완반응을 매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함량을 조정하므로, 흉선세포의 apoptosis에 억제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양액에 의하여는 회복됨을 볼 수 있었으며 $Mg^{++}$ 증가 영양액에서는 억제, TTX 동시 투여시에는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흰쥐 해마에서 $A_1-adenosine$ 수용체를 통한 adenosine의 NE 유리 감소는 TEA 및 4AP에 예민한 $K^+$-통로가 관여하고 여기에는 세포외액의 Ca^{++}의 농도가 중요한 인자의 하나로 관여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상의 질을 크게 향상 시켜 줌으로 비가역 3구획모델에서의 PGA방법을 대체할 새로운 파라메터 영상구성방법으로 적합할 것이다.관계되며, YH439는 중금속으로 유도된 조직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지지한다.총 아미노산의 순은

  • PDF

기니픽 요관(尿管)에 있어서 OFF Response 발생과 그 특징 ('OFF' Response and Its Characteristics of Guinea Pig Ureter)

  • ;;피타 비안카니;로버트 와이쓰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4
    • /
    • 1980
  • 기니픽 요관(尿管)을 in vitro로 전기자극(電氣刺戟)할 때 일어나는 ON response와 전기자극(電氣刺戟) 중지시(中止時)에도 spike성(性) OFF response가 일어남을 관찰(觀察)하고 이에 대한 특성(特性)을 검토하였기에 요약(要約)한다. 1. 기니픽 요관(尿管)을 in vitro로 5초간 연속(連續)으로 전기자극(電氣刺戟)(EFS)시(時) 두 수축(수축)을 일으켰다. EFS 시작 후 $0.1{\sim}0.3$ sec에 ON response가 일어나고 EFS 종료 후 $0.2{\sim}0.1$ sec에 OFF response가 야기(惹起)되었다. OFF response를 일으키는 연속(連續) 자극(刺戟)에는 ON response에 비(比)하여 긴 puise duration과 높은 frequency가 요구(要求)되었다. 2. Muscle chamber내(內)의 온도(溫度)를 $37^{\circ}C$에서 $22^{\circ}C$로 감소(減少)시켰을 때는 ON의 진폭(振幅)은 감소(減少)하거나 경미(輕微)하였고 OFF는 증가(增加)되었으며, 온도(溫度) $42^{\circ}C$에서는 OFF가 감소(減少) 또는 소실(消失)되던 것이 $K^+$-free solution 에서는 덜 감소(減少)되었다. ON 및 OFF response의 latency는 온도(溫度)의 하강(下降)으로 증가(增加)되었고 그 정도(程度)는 양자(兩者)가 비슷하였다. 3. 저(低) $Ca^{++}$ 농도(濃度), 2mM EDTA, 1mM $Mn^{++}$$1{\mu}M$ verapamil 등(等)에 의해 반복(反復) 자극시(刺戟時) ON은 쉽게 소실(消失)되고 OFF는 남아 있었다. 4. $10{\mu}M$ theophylline은 ON 진폭(振幅)은 감소(減少)시키지 않고 OFF response만 소실(消失)시키고, 1mM sodium nitroprusside는 OFF에는 작용(作用)하지 않고 ON 진폭(振幅)을 우선적(優先的)으로 감소(減少)시켰다. 5. ON 및 OFF response는 TTX, atropine, phentolamine 등(等) 신경성봉쇄약물(神經性封鎖藥物)에 의하여 영향(影響)을 받지 아니할 뿐 아니라 pyrilamine이나 methysergide에 의하여도 작용(作用)을 받지 아니하였다. 6. 50% 저(低) sodium에 의하여는 ON 및 OFF response는 影響(影響)을 받지 아니하였고 ON과 OFF 사이의 긴장(긴장)은 저(低) sodium에서 증가(增加)되었고, voltage 감소(減少)에 의하여 원상(原狀)으로 회복(恢復)되었다. 이상(以上)의 성적(成績)으로 보아 ON response는 세포(細胞) 외(外)의 free $Ca^{++}$에 의존(依存)하고 OFF response는 세포내(細胞內)에 저장되거나 막(膜)에 bound된 $Ca^{++}$에 더 의존(依存)하며, 생물학적(生物學的) 현상(現象)에 의(依)하여 나타나는 반응(反應)일 것으로 사료(思料)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