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Technology Readiness Index)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34초

소비자의 기술준비성이 의류제품의 인터넷 쇼핑 서비스품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sumer Technology Readiness 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Internet Shopping of Clothing Product)

  • 홍금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13-923
    • /
    • 2003
  • This study divides consumers into groups according to the TRI(technology readiness index) in order to (m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umer group, and attempts to examine how the frequency of shopping and the TRI affect service quality of and satisfaction at the internet apparel shopping sites. An on-line survey was made to collect data, and the replies from 785 people, who had an experience of apparel shopping apparel on line,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our factors of optimism, innovativeness, discomfort, and insecurity were identified from the TRI factor analysis, and the total variance was 58.88%. 2. The male group showed the higher TRI than the female group. Especially the factor of innovativeness was higher in the male group, indicating the male group's activeness in the use of technology. 3.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n terms of the TRI: explorers, pioneers, skeptics, paranoids, and laggards. 4. Service quali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onsumers’satisfaction with the apparel shopping sites, and the frequency of purchase, optimism, and discomfort ranked next to service quality.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술준비도와 전문지식을 중심으로 (Factors for the Adoption of Smartphone-based Mobile Banking : On User's Technology Readiness and Expertise)

  • 이지은;신민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55-172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 셀프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인 모바일뱅킹의 소비자 수용 요인을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모바일뱅킹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를 이용자 특성(긍정적 부정적 기술준비도, 전문지식)에서 도출하였으며, 정보기술수용모형 (Technology Acceptance Model)과 기술준비도(Technology Readiness Index)의 혼합 모형인 기술준비도와 수용모형(Technology Readiness and Acceptance Model)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전문지식과 긍정적 부정적 기술준비도가 모바일뱅킹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의 전문지식과 긍정적 기술준비도는 모바일뱅킹의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용자의 부정적 기술 준비도는 인지된 이용용이성에만 영향을 미칠 뿐, 인지된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술적 제약조건이 상당부분 해소된 VM 기반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신기술 도입에 관한 이용자 특성을 다룬 연구로써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의 기술준비도가 의료인력 고용대체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chnology Readiness Index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on the Recognition of Substitute Employment of Medical Personnel)

  • 강한섬;김영훈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4-6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relationships of perceived Technology Readiness Index(TRI), usefulness, acceptance intension, and the recognition of substitute employment of medical personnel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internet of things (IoT) among main technologies. Methodology: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utilized structured survey tools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f nursing, administrative and medical technology professionals at six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metropolitan area. A PLS(Partial Least Square) Path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material. Findings: In the relation with the technology readi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it had a positive influence to the perceived usefulness when the optimism and innovativeness were higher and the discomfort was lower. In the relation with the technology readiness and acceptance intension, it showed a positive influence when the innovativeness was higher and the discomfort was lower. In the relation with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acceptance intension, it had a positive influence to the acceptance intension when the perceived usefulness was higher. In the relation with the acceptance intension and the recognition of substitute employment, it showed a positive influence to the recognition of substitute employment when the acceptance intension was higher. Practical Implications: Judging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and reference reviews, it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 the level of hospital organiz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y should increase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through the technological factors or changes of employment types for the additional demands of human resources to handle increasing medical demands or induce to secure necessary abilities which are changing at the right time by perform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lated re-training continuously to develop the value of existing human resources.

An Application of TAM and TRI on the Factors Affecting Internet Banking Adoption in Bangladesh

  • AMIN, Md. Iftekharul;ERFAN, Nafis;NAVID, Mashrur;KHAN, Mohammed Shafiul Alam;ISLAM, Md. Sharif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9호
    • /
    • pp.75-91
    • /
    • 2022
  • This study assesses the Internet banking adoption tendency by existing bank customers of Bangladesh. Currently, almost all the leading banks in the country have implemented Internet banking platforms. However, the active user count remains relatively low and there hasn't been any conclusive research on the drivers and inhibitors of Internet banking. This study evaluates the reasons and quantitatively establishes the factors leading to the adoption and usage continuance of internet banking by existing bank customers. Responses from 460 bank account holders were collected via online questionnaires using a purposive sampling approach, and a core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echnology Readiness Index (TRI) was used. The study concluded that internet banking adoption is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 ease of use, customer service, and technology familiarity. Similarly, customer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perceived value and the perceived risk.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usage continuance is 89% explained by adop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Multi-group moderation showed significant impact by groups divided based on usage frequency, income level, and age. Perceived risk weakened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and technology familiarity on usage adoption. Additionally, perceived risk reduced the impac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usage continuance.

기술 준비도와 소비자 준비도가 Self Service Technology 사용동기와 태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 and Consumer Readiness on SST Usage Motivation, Attitude and Intention)

  • 심현숙;한상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25-51
    • /
    • 2012
  • 정보기술의 활용이 마케팅 전략의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는 시장 환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 주문시 Self Service Technology(SST)를 사용 할 때 기술준비도와 소비자 준비도에 따른 사용동기, 태도, 사용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Parasuraman이 TRI를 개발한 이후 SST와 TRI를 접목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소비자 준비도 역시 SST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와 태도 및 의도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 터치스크린 SST를 도입함에 있어 소비자의 기술준비도와 소비자 준비도가 Dabholkar & Bagozzi(1994)가 제안한 SST 핵심태도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때 모든 소비자와 상황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자 자아의식, 상호작용욕구, 기술에 대한 두려움 등의 소비자특성과 지각된 대기시간, 지각된 과밀 등의 상황적 요인에 따른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AMO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 기술준비도 중 낙관성은 사용용이성과 재미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은 사용용이성과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의 명확성, 능력 및 자아 효능감으로 구성된 소비자준비도는 사용용이성, 성과와 재미 등 모든 SST사용동기 요소에 기술준비도보다 강하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ST 핵심태도모델 내의 SST 사용 동기, 사용 태도 및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소비자 특성과 상황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과밀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터치스크린 SST를 도입하려는 기업에 실무적 제언을 하였다.

  • PDF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품질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 이용자를 중심으로 (Exploring Differences of Customers' Perceptions toward Mobile Services)

  • 배순한;이승환;백승국;백승익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34
    • /
    • 2011
  • 기존의 서비스 품질 측정 모델에서는 일차원적인 지표를 활용하여, 그 지표가 만족되면 품질이 높게 평가되고, 지표가 충족되지 않으면 품질을 낮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만족을 일으키는 요인과 불만족을 일으키는 요인은 서로 다른 경우가 많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차원적인 서비스 품질 지표의 한계점을 보안한 Kano 모델을 적용하여 이원론적인 관점에서 어떤 모바일 서비스가 만족을 일으키고, 어떤 모바일 서비스가 불만족을 일으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와 같은 모바일 서비스에 대하여 한국과 미국 이용자들의 인식차이와 기술 준비도에 따른 개인의 품질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한국 이용자들은 대부분의 모바일 서비스를 무관심 품질 요소로 분류한 반면에 미국 이용자들은 매력적 품질 요소로 분류하였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각 나라에서 제공하는 통신 환경이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품질 인식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국가적인 요인 이외에 이용자 개인의 속성이 품질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개인의 기술준비도(TRI)를 이용하여 4개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각 군집들 간에 품질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탐색 결과, Communication 관련 모바일 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대다수의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품질 인식에는 군집 간에 큰 차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