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GROWTH INCREMEN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임분생장량(林分生長量)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Estimation of Volume Increment for the Pitch Pine Forest)

  • 이여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2
    • /
    • 1973
  • 1. 본(本) 조사(調査) 16년생(年生)의 리기다소나무임분(林分)에 대(對)한 재적생장량(材積生長量)과 장래(將來)의 임분재적예측(林分材積豫測) 임분표법(林分表法)에 의하여 추정(推定)한 것이다. 2. 직경성장량(直徑成長量) 조사(調査)는 'Meyer'의 Increment borer법(法)에 의하고 단목재적(單木材積)은 기(旣) 조사(調査)된 V=0.000058 $D^{1.8}{\times}{\cdot}H^{1.1}$의 재적식(材積式)에 의하여 각각(各各) 조사(調査)되었다. 3. 0.33ha의 표준지(標準地)를 설정(設定)하고 표준지내(標準地內) 339본(本)의 임목(林木)에 대(對)하여 95%의 신뢰도(信賴度)로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직경(直徑)에 대(對)한 직경연년성장량(直徑連年成長量)의 회귀식(回歸式)은 Y=0.1618 +0.0298x. 이다. 2) 2cm 괄약(括約)의 직경분포(直徑分布)에서 전임목(全林木) 본수(本數)의 약(約) 90%가 완전(完全) 1계급(階級) 진급(進級)을 하였다. 3) 임분재적성장율(林分材積成長率)은 16%의 고도(高度)의 성장율(成長率)을 나타냈다. 4) 5개년간(個年間)의 재적성장량(材積成長量)은 46%의 증가율(增加率) 보이고있다.

  • PDF

광릉시험림 내 느티나무(Zelkova serrata) 인공림의 생장특성 및 지상부 탄소저장량 분석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Aboveground Carbon Storage for Zelkova serrata Artificial Forests in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 김현섭;배상원;이상태;황재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44-152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도 광릉시험림에 위치한 노령 느티나무 인공림의 생장특성과 지상부 탄소저쟝량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조사지1:IX영급, 조사지2:VIII영급). 임분구조분석을 위해 수형급을 구분하였고, 수형급별 연륜생장과 우세목의 수간석해를 통해 생장특성을 파악하였다. 직경급은 조사지1에서 8~62 cm, 조사지2에서 14~40 cm의 분포범위를 보였고 수고급은 조사지1에서 8~26 m, 조사지2에서 12~26 m의 분포범위를 보였으며, 이에 따른 수형급간 생장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 중 조사지1의 우세목은 최근 5년간 평균 연륜생장량(3.3 mm)이 생장기간 전체의 평균 연륜생장량(2.3 mm)보다 높았고, 조사지2의 우세목은 최근 5년간 평균 연륜생장량(2.2 mm)과 생장기간 전체의 평균 연륜생장량(2.2 mm)이 같았다. 또한, 2개 조사지 모두 우세목과 타 수형급간 연륜생장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 우세목의 수간석해 결과, 단재적이 2개 조사지에서 각각 1.106 $m^3$와 1.035 $m^3$으로 나타나 유사하였으며, 2개 조사지 모두 노령임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도 연간재적생장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총탄소저장량은 조사지1에서 65.6 Mg C $ha^{-1}$, 조사지2에서 56.1 Mg C $ha^{-1}$로 나타나 조사지1이 더 많았고, 총탄소저장량에 대한 우세목과 준우세목의 비율이 2개 조사지 모두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개체목의 탄소저장량은 2개 조사지 모두 우세목이 가장 많았으나, 우세목의 평균흉고직경 차이로 인해 조사지1의 우세목이 0.054 Mg C $tree^{-1}$정도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느티나무인공림의 시업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파트단지내 조경용 교목의 입지조건별 생장특성 (The Growth Patterns of Major Landscaping Trees by Site Conditions in Two Apartment Complexes)

  • 윤근영;안건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7-218
    • /
    • 1998
  • A site survey in two apartment complexes and a nursery experiment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o provide basic data of the long-pend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major landscaping trees, such as Picea abies, Pinus parviflora,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Magnolia denudata, Acer buergerianum and Acer palmatum. According to the main results, the survival rates were very low, reflected by the average survival rate of the four species was 95% at the nursery site. And, it was presumed that the site conditions of two apartment complexes for tree growth were very inferior to those of the nursery sit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increment percents of growth factors of the tree species at the nursery sit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the apartment complexes.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current growth factors of trees showed a normal distribution. The regression equation of breast diameter on diameter at root collar showed especially high predictability. And, it was thought that the most critical limiting environmental factors on tree growth at the apartment complexes were found to be alkaline pH caused by excessive Ca, high percent base saturation, insufficiency of available moisture content, bad drainage due to inferior soil texture, high soil hardness, lack of organic matter and shortage of cation exchange capacity in soil.

  • PDF

입지유형별 미기후가 천연 활엽수림의 임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climate of Different Site Types on Tree Growth in Natural Deciduous Forest)

  • 신만용;정상영;한원성;이돈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16
    • /
    • 2008
  • 입지유형별 미기후 특성이 임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연구 대상지의 입지유형을 사면방향, 해발고, 그리고 지형특성 등의 총 36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각 입지유형별 평년 기후값을 지형기후학적 방법으로 추정한 후, 평년 기후값으로부터 임목생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17개 기후변수를 입지유형별로 도출하였다. 한편 입지유형별 직경생장, 수고생장, 재적생장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임분조사를 실시했으며, 직경생장량, 수고생장량, 재적생장량의 추정에 적합한 회귀추정식을 17개 기후변수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입지유형별 직경생장량은 건조지수에 의하여 최적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건조지수는 총강수량에 대한 연 평균기온의 비에 의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강수량이 많아 수분조건이 양호한 입지조건에서 직경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고생장량은 건조지수와 월 평균 일조시수의 두 기후변수의 조합에 의해 잘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적생장량 추정식에 포함된 기후변수는 건조지수와 월 평균상대습도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입지유형별 직경생장, 수고생장, 그리고 재적생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한 17개 기후변수 중에서 공통적으로 건조지수가 포함되어 입지유형별 임목생장에는 수분조건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침염수 조림지에서의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The Comparison of Tree Growth by the Residual Stand Density in Artificial Coniferous Forests)

  • 강성기;김완수;이원섭;김지홍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46-57
    • /
    • 2001
  • 이 연구는 강송,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인공조림지를 대상으로 간벌 시업후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생장 비교를 퉁해 침엽수 인공림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보육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존임분밀도별 임목의 직경생장은 강송림과 리기다소나무림, 낙엽송림 (가), (나)소반의 경우, 임분밀도가 감소할수록 직경생장이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잔존임분밀도에 따른 임목의 생장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잔존임분밀도별 임목의 수고생장 양상에서는 처리구별로 수고생장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벌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입지조건과 같은 환경요소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각 임분밀도 조절 처리구별로 평균에 해당되는 직경급의 목편을 추출하여 최근 6개년간의 직경생장량을 실측한 결과는 전구간에서 직경급이 클수록, 잔존임분밀도가 낮을수록 직경생장량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한라산 영실지역 구상나무 고사연도와 시계열적 생육쇠퇴도 조사 (Investigation of Death Years and Inter-annual Growth Reduction of Korean Firs (Abies Koreana) at Yeongsil in Mt. Halla)

  • 서정욱;김요정;최은비;박준희;김재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4
    • /
    • 2019
  • With a view to developing a database of death years of Korean firs (Abies koreana) at Yeongsil in Mt. Halla and investigating their abrupt inter-annual growth reduction tree-ring analysis was employed. To this end, 10 living trees (YSL) were selected to establish a master chronology and 20 dead trees were used to date their dead year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death years by death types, 10 trees, which remained standing (YSSD) out of the 20 dead trees were selected. The rest 10 dead trees were already fallen (YSFD). Two increment cores per tree at breast height were extracted in contour direction using an increment borer. A 106-year master chronology (1911-2016)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from the 10 YSLs. Through cross-dating between individual YSSD time series and the master chronology, it was verified that 1 YSSD was dead in summer 1978, 1 YSSD between autumn 1999 and spring 2000, 2 YSSDs in summer 2007, 1 YSSD in summer 2010, 1 YSSD in summer 2012, and 1 YSSD in summer 2013. The youngest tree rings of 2 YSSDs having no bark were in 1977 and 2002. For the YSFDs, it was verified that 1 YSFD was dead between autumn 1997 and spring 1998, 1 YSFD between autumn 2001 and spring 2002, 2 YSFDs between autumn 2009 and spring 2010, 1 YSFD in summer 2010, and 2 YSFDs between autumn 2012 and spring 2013, while the youngest tree rings of 2 YSFDs having no bark were in 1989 and 2004. To note, the death years of two trees, one from each death type (YSSD and YSFD), could not be verified due to poor cross-dating with the master chronology. The inter-annual growth reductions of YSSD and YSFD occurred more frequently and intensively than YSL. Typically, the YSFD showed the most frequent and intensive inter-annual growth reduction. On comparing the inter-annual growth reductions with the corresponding records of typhoons however we could not find any reliable relationship. Finally, from prior reports and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ath and abrupt growth reduction of korean fir at Yeongsil in Mt. Halla are not caused by only a certain environmental factor but various factors.

해발고도에 따른 백두대간 신갈나무군락 특성 연구 - 향로봉에서 깃대배기봉 구간을 대상으로 - (Analysis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by Elevation - Between Hyangnobong and Gitdaebaggybong -)

  • 정보광;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9-461
    • /
    • 2013
  • 본 연구는 백두대간 향로봉에서 깃대배기봉 구간에 있는 신갈나무군락을 대상으로 2개의 권역(I, II)으로 나누어 고도에 따른 군락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사는 신갈나무군락 총 63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 결과 총 5개 군락(A~E)으로 분류되었다. 군락의 지역적 분포는 A군락의 경우 해발고도 1,300m 이상의 태백산 일대에서(II권역) 주로 나타났으며 B, C군락은 해발고도 700~1,500m 사이의 설악산과 오대산 지역(I권역)에서 D, E군락은 1,100m 이하의 청옥산과 금대봉 지역(II권역)에 밀집해 있었으며 그 외 설악산과 오대산 지역(I권역)에서도 나타났다. 각 군락의 교목과 관목 개체수, 최대종다양도, 교목의 수고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차츰 낮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40년까지의 수목 생장량을 살펴본 결과 해발고도 1,100m 이하 지점까지는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1,100m 이상에서는 수목 생장량이 급격히 낮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연구대상지에 출현한 수종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고도 1,000m 이상에서는 거제수나무와 신갈나무가 -0.53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고도 1,000m 이하에서는 신갈나무와 산딸기가 0.59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고도에 따른 환경 변화가 신갈나무군락의 종조성, 개체수, 생장량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Three-year Effect of Thinning Intensity on Biomass in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Plantation

  • Chhorn, Vireak;Seo, Yeongwan;Lee, Daesung;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7-24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and compare the increment of biomass by thinning intensity focused on the plantation of the two major coniferous species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of South Korea. The inventory interval was three years under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thinning treatments; control (no thinning), light (20% thinning) and heavy (40% thinning). The results showed standing biomass increment of both species decreased as thinning intensity increased (heavylight>control). Meanwhile, the lowest of on-site biomass changes occurred in the control plot, and the greatest was in the heavy thinning plot because thinning was involved with leaving the felling residual biomass (leaves, branches and roots) on the site.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short-term study, unthinned stands is preferable for maximizing standing biomass as well as carbon sequestration. However long-term investig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ee more clear results.

1년생 '대능' 대추 회초리 묘목 재식 시 주간 절단 정도 설정 (Establishment of Heading-back Pruning Severities of Trunk at Planting in the One-year-old 'Daeneung' Jujube Whip Nursery Tree)

  • 조이혁;사공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3-82
    • /
    • 2021
  • BACKGROUND: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jujube trees depends on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reproductive and vegetative growth. In general, heading cuts of trunk stimulate rather vegetative growth, but could decrease flower initi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heading-back pruning severities at planting in the one year old 'Daeneung' jujube whip nursery tree by investigating vegetative growth and fruit yield. METHODS AND RESULTS: The heading back pruning severity was assigned as 5 different ranges as follow: one bud (TR-10, heading back pruning was 10 cm above the ground), three buds (TR-30), five buds (TR-50), seven buds (TR-70), and nine buds (TR-90) were left of scion. The number of buds on whip trunk was correlated to the central leader length and increment of trunk cross-sectional area, negatively, and to the tree height and canopy volume, positively. The yields in the TR-50 treatment were higher about 2 times than other treatments. The fruit diamet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um location of heading-back pruning in one year old 'Daeneung' jujube tree was 50 cm above the ground as evaluated by the balance of reproductive and vegetative growth.

DGEBA/MDA/GN 계에서 AC 트링열화의 온도의존성 (Temperature Dependence of AC Treeing Deterioration in DGEBA/MDA/GN System)

  • 안현수;심미자;박수길;김상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5-428
    • /
    • 1996
  • Treeing deterioration which is one of the main cause of breakdown in insulating materials is affected by temperature, applied voltage and frequency. In this study, GN was introduced to improve impact strength of DGEBA/MDA system an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AC treeing deterioration in this system was investigated.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de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temperature. As temperature increased, the growth rate of tree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