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 water quality standard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8초

농업용저수지의 녹조제어를 위한 수환경 특성과 포식성 천적생물의 분리 및 효과분석 (Property of Water Environment and Evaluation of Zooplankton as Predators for the Control of Algal Bloom in the Agricultural Reservoir)

  • 남귀숙;송영희;이의행;홍대벽;한명수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3-43
    • /
    • 2011
  • Jundae reservoir has basin area of 234ha, average depth of 3.77m and total storage of $619{\times}10^3m^3$, and is located in Dangin-gun, Chungcheongnam-do. The water quality of Jundae reservoir exceeded the IV grade of water quality standard as available for irrigation water in COD, TN, TP, Chl-a. COD and Chl-a were higher in spring season, because the algal bloom by phytoplankton increased. And the algal blooms in October by inflow non-point pollution during summer rainy season. The most dominant zooplankton was rotifers during study period at all stations. Dominant species were Keratella cochlearis, Polyarthra spp., and Trichocerca spp. We successfully established 2 isolated clone cultures as predator. One is Rotifer, Euchlanis sp. and another is cladocerans, Bosmina sp. To test the removal rate of 2 cultures against Microcystis aeruginosa, we inoculated Euchlanis sp. and Bosmina sp. separately when the abundance reached at $1.0{\times}10^6$cells/ml. Euchlanis sp. removed M. aeruginosa around 98.9% and Bosmina sp. removed it around 98.4%. They are useful grazers for controling algae blooms, Euchlanis sp. and Bosmina sp. feeding on M. aeruginosa highly.

  • PDF

A NEW TREATMENT SYSTEM FOR ANIMAL WASTE WATER USING MICROORGANISM, SOIL AND VEGETATION

  • Oshida, T.;Fukuyasu, T.;Kohzaki, K.;Izumikawa, Y.;Kawanabe, S.;Konishi, S.;Oikawa, N.;Matsumoto,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205-209
    • /
    • 1993
  • A new treatment system for animal waste water has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It consists of two treatments; one is operated with 7 tanks, and the other is soil and plant cultivation bed. Aerobic microorganisms are added to the influent water in the tanks where the water is aerated so that the microbes utilize the pollutants, while sedimentation removes the indigestible solids. In the secondary treatment the water, which has already received a primary treatment, is filtered through soil where it also receives treatment by soil organisms. In addition there is transpiration of water and absorption of minerals by plants. In the primary treatment BOD, SS, coliforms (E. coli), TP and total bacteria were removed 79-99%, but COD and TN were removed only 58% and 36%, respectively. In the secondary treatment removal of nutrients proceeded further, and 93-99% of pollutants were removed. The treated waters met the quality standard of discharge water in Japan except for TN, which was in too great a concentration to meet discharge standards. This problem requires further study.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직접접촉식 막증발법 적용 가능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Sewage Discharge Water Treatment for Water Reuse by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 최용준;최지혁;신용현;조형락;손진식;이상호
    • 멤브레인
    • /
    • 제26권1호
    • /
    • pp.70-7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직접 접촉식 막증발법을 적용하여 원수 온도와 원수 유량 변화에 따른 하수처리수의 COD, TN, TP, TOC의 제거율 변화와 여과플럭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수처리수에 의한 분리막의 오염 가역성을 평가하기 위해 1차 증류수만을 사용하여 물리세정을 수행한 후 플럭스의 회복률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원수의 온도 및 유량에 관계없이 원수가 3배 농축될 때까지 여과를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수처리수의 주요 오염물질인 COD, TN, TP, TOC에 대한 제거율이 92%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낮은 온도인 $50^{\circ}C$$60^{\circ}C$에서 원수의 유량에 따라 최소 13.8 LMH에서 20.3 LMH로 높은 여과플럭스를 나타냈다. 그리고 높은 농축계수까지 여과 실험을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여과플럭스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1차 증류수를 이용한 짧은 시간 동안의 물리세정만으로 최소 90% 이상의 높은 여과 플럭스 회복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공정으로 막증발법의 적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염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팔당호 수질항목별 중점관리 시점 선정 (Determination of Important Parameter Control Term for Paldang Lake Water Quality Management using Load Duration Curves)

  • 김동우;장미정;박지형;한인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62-776
    • /
    • 2013
  • Load duration curve was applied to determine important water quality parameter control term for improvement of Paldang lake water quality. Load duration curve was analyzed with long term data from 1985 to 2012 including water quality, flow rate and climate state of Paldang water environment. From the result of flow rate patterns of paldang lake,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flow rate of each year showed tendency of increase because rainfall characteristics of paldang lake watershed were changed by climate exchange. Both of land use state of upper Paldang lake watershed and number of limit excess from load duration curve indicated that seasonal action related with land use such as agricultural fertilizer distribution in upper watershed affected Paldang lake water quality. So focused BOD (biological oxygen demand) management during spring season from march to June is required to control organic materials in Paldand lake. The main affecting factor of TOC (total organic carbon) increase in Paldang lake was initial rainfall after march. T-N (total nitrogen) kept increasing during research period, so enhancement of T-N standard is needed to T-N control. Initial rainfall and increase of temperature during spring season from March to Jun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P (total phosphorus) and Chl-a, respectively.

대청호 추동취수탑 부근의 수질변화 특성 (Variation of Water Quality around the Chudong Intake Tower in Daechung Reservoir)

  • 마심초;임봉수;허순욱;곽미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37-643
    • /
    • 2015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data obtained from the evaluation of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around the Chudong intake tower in Daechung resevoir, which may be able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a pure water supply policy. Five sites around the Chudong intake tower were selected, and the average data for recent ten years(from year 2004 to year 2013) were analysed. The average water quality around Chudong intake tower are as followed; pH 7.5, DO 8.7 mg/L, BOD 1.0 mg/L, COD 3.0 mg/L, SS 3.0 mg/L, TN 1.495 mg/L, TP 0.017 mg/L, and Chlorophyll-a 6.5 mg/m3 were matched the good class by comparing with the living environment standard of reservoir. COD values of higher than 3.0 mg/L after July were likely due to non-point pollutants and algae outbreak during rainy summer season. Total phosphorus rose sharply in the summer season, and then algae watch was issued consistently for average 40 days. Total nitrogen to total phosphorus ratio was average 90, and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inflow phosphrous from small stream for proper management to block an algae growth according to eutrophication. It was recommended to operate the algae removing boats around intake tower from July to October, and was required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to remove NBD COD and bad odor and taste due to algae growth.

신뢰성에 기초한 하수처리장 운전효율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WWTP Based on Reliability Concept)

  • 이두진;선상운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8-35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변동적인 특성을 지닌 자료 분석에 효과적인 확률, 통계기법을 도입하여, 하수처리장의 처리효율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3개 대상하수처리장의 유입수와 처리수 자료(BOD, COD, SS, TN, TP)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입수의 표준편차는 $9.7\sim34.9$ mg/L로 평균농도 대비 약 $16.7\sim54.7%$의 범위를 보였으며, BOD와 SS가 상대적으로 큰 편차를 보였다. 처리수는 전 항목에 걸쳐 표준편차 $0.28\sim4.48$ mg/L, 평균수질 대비 $13.9\sim125%$의 범위를 보였고, SS의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각 처리장 처리수의 분포는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지만 BOD와 COD의 경우 전반적으로 정규분포 형태를, SS와 TN, TP는 대수정규분포에 근접한 형태를 나타냈으며, 오른쪽으로 치우친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통계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도 계수(coefficient of reliability, COR)를 도입하여 처리효율을 평가한 결과, 각 항목의 처리수질은 백분위 50% 수준에서 방류수 수질기준의 절반에 해당하는 농도를 보였으며, 모든 처리장에서 연간 방류수 수질기준 달성확률이 100%로 나타났다. 처리공정의 설계와 운전시 각 공정이 가지는 고유의 변동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성능결과를 객관화 할 수 있는 확률적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방류수 수질기준에 대한 처리성능을 보다 과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신뢰성계수를 도입하여 기준달성의 신뢰성을 분석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30nm$ 조건)와 347 nm(${\Delta}\lambda=60nm$ 조건)에서의 형광 세기가 현장에서 톱밥 침출수 오염을 식별하는 가장 이상적인 식별지표로 밝혀졌다. 비록 이 연구가 제한된 대표시료와 오염원 종류에 국한되었지만 여기에 사용된 식별지표 평가 과정 및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향후 형광측정을 이용한 실시간 오염원 추적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정의 효율면에서도 훨씬 효율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델은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미량 오염 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on between instantaneous attack angle of blade section and the resultants real time force components. Through these investigation it is found out that the conventional imagination that the 7cull motion should be effective in generating lift force must be reconsidered because the attack angle of scull blade are too great to free from stall phenomena during the sculling operation.잠119>잠113>잠120의 순이었다.지방산의 조성이 많은 차이를 보였다.{2+}$ 26 및 $Na^+$ 26 mg $L^{-1}$이었다. 양액 재배 후 버려지는 폐양액 중의 무기성분 함량은 양액재배에

논 생태 증진을 위해 설치된 둠벙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onstructed Small-scale Ponds for Ecological Improvement in Paddy Fields)

  • 김재옥;신현상;유지현;이승헌;장규상;김범철
    • 생태와환경
    • /
    • 제44권3호
    • /
    • pp.253-263
    • /
    • 2011
  • 본 연구는 인공 조성된 둠벙의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둠벙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지 둠벙의 면적은 4.6~14.1 $m^2$였으며 모양은 원형과 사각형 모양이 대부분이었다. 조사 둠벙 중 가장 자리에 석축이나 목축을 두르지 않은 둠벙들은 주변 둑이 매몰되어 수심이 얕아져 둠벙의 기능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둠벙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주변에 석축이나 목축 등을 둘러 매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연구대상지의 수질환경은 COD, TN, TP의 경우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한 수질등급을 보였으며 특히 TN의 농도는 평균 8.03 mg $L-1$로 농업용수 수질기준을 약 8.0배를 초과하는 농도분포를 보였다. 조사지역 둠벙의 질소농도가 높은 원인으로는 홍성지역의 높은 축산 밀도, 농경지 주변 산재해 있는 축사 시설과 축산폐수를 이용한 저장 액비 사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농촌지역에서 둠벙과 같은 작은 저류지가 하천으로 유출되는 영양물질을 저감시켜 주는 소규모 침전지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대상지 둠벙의 평균적인 모래함량, 유기물 함량, 유효인산 함량은 각각 53.4${\pm}$16.6%, 21.8${\pm}$9.74 g $kg^{-1}$, 12.8${\pm}$7.59 mg $kg^{-1}$로 나타났다. 둠벙의 토양 특성 조사결과 모래함량과 유효인산 농도는 둠벙 안정화를 위한 식생정착에 적합한 농도분포였으나 신규로 조성된 5곳의 둠벙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높지 않아 식생 정착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대상지 둠벙의 어류상은 붕어, 미꾸리, 미꾸라지, 드렁허리 4종이 출현하였으며 군집구조 분석결과 군집 안정도와 다양도 지수가 불량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단순한 어류상 구조는 둠벙이 주변 하천과 고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논과 정수지역, 농수로 등 연중 수위와 환경변화가 큰 환경에 적응한 어종들만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요인점수(Facter score)를 바탕으로 조사한 둠벙을 구분한 결과, 요인점수 1에서 양의 값을 보이는 둠벙은 다른 둠벙에 비해 둠벙의 크기가 큰 것들로 구성되었으며 (Group I), 요인점수 2에서 양의 값을 보인 Group III은 다른 둠벙에 비해 유기물 농도가 높은 둠벙들로(S5, S6) 구성되었다(Fig. 4).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지역 둠벙의 복원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둠벙과 주변하천과의 연계성, 둠벙의 크기를 비롯한 구조적 특성을 잘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거론하지 못한 둠벙 용수의 유 출입량, 둠벙 수체내 먹이 연쇄 구조 등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도 동강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군집 (The Water Quality and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Dong River of Kangwon Province, Korea)

  • 이진환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17-226
    • /
    • 2004
  •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water quality and to analyze the plank tonic and benthic phytoplankton communities at 6 stations in the Dong River and its tributary streams of Kangwon Province from November, 2001 to March, 2002. During the studies,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3.5 to 12.8℃; pH, 6.5-7.9; DO, 9.29-11.36 mg·l^(-1); BOD_5, 0.20-2.38 mg·l^(-1); TN, 1.2842-3.1871 mg·l^(-1); TP, 0.0052-0.0576 mg·l^(-1); and SS, 0.85-9.62 mg·l^(-1). The standard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Kore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Law showed the first class except St. 6 through the survey. Six taxa of plank tonic phytoplankton identified were poor flora in November, 2001. The representative species frequently observed were the diatoms Achnanthes lanceolata, Achnanthes minutissima, Cymbella minuta, Cymbella parva, Diatoma vulgare, Fragilaria construens, Gomphonema pervulum, Navicula cryptocephala, Nitzschia palea., Scenedesmus sp. of green algae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Monthly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Achnanthes lanceolata and A. minutissima in both February and March, 2002, but the blue-green algae, Oscillatoria sp. and the diatom, Stephan discus hantzschii were predominant at some stations in March.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ranged from 9.84 ${\times}$ 10$^3$ to 3.56 ${\times}$ 10$^4$ cell·l$^{-1}$ in November and 1.68-2.99 ${\times}$ 10$^5$ cell·l$^{-1}$ in February, while it changed 4.52-8.01 ${\times}$ 10$^5$ cell·l$^{-1}$ at St. 1, 2, 3 and 1.03-1.71 ${\times}$ 10$^6$ cell·l$^{-1}$ at St. 4, 5, 6 in March. Benthic phytoplankton communities was composed of 38 taxa in November, 31 taxa in February and 23 taxa in March. It showed a contrary tendency to planktonic phytoplankton diversity. Benthic diatoms which were more than 25% of the total populations were Cymbella turgida, Diatoma vulgare, Cocconeis placentula, Navicula cryptocephala var. intermedia in November; Achnanthe lanceolata, Cocconeis placentula, Achnanthes minutissima in February; and Achnanthes lanceolata and Cyclotella meneghiniana in March.

인공토양을 이용한 옥수수와 콩의 생육 연구 (Study on the Grow of Corn and Soybean in Artificial Soil)

  • 김선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9-69
    • /
    • 2000
  • Sludg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and it has been causing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is point of view, recycling of sludge appears to be the best way. The firing technology in pottery industry is applied to the sludge treatment , and the final product is called artificial soil. The effect of mixed artificial soil with upland soil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crop growth experiment and the phys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ed soils were analyses. After the growth experiment , mixed soil plots contained more CEC, OM, TN, TP than upland soil plots. This result shows that the artificial soil produced form sludge can be mixed with upland soil, and crop can be increased. From the growth analysis, growth of soybean and corn in the mixed soil plots was better than that in the original upland soil plots. Heavy metals contents in the mixed soil plots were within the quality standard. This is a promising result since in most cases heavy metals are the most concern in the application of sludge product to farmland.

  • PDF

축산 밀집도에 따른 강우시 인근 하천의 수질현황 (Status of the water quality of nearby rivers according to livestock density in rainy season)

  • 이수인;신재영;주소희;나영광;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68-568
    • /
    • 2016
  • 가축분뇨는 발생부터 처리, 유통 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로에서 비점오염이 배출되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수거에 의해 공공처리시설에서 처리되는 가축분뇨의 양은 매우 적고, 대부분 자체 자원화 시설에서 톱밥발효에 의한 퇴비화를 하는 등 관리 미흡으로 인하여 축산 농가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부하가 큰 실정이다. 또한 관리주체가 모호하고, 축산비점오염물질의 정량화 및 하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관리 대책 마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축산농가의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축산 비점오염물질이 강우시에 주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및 분석하여 향후 축산 비점오염원 DB구축에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천 일대로 축산비점오염원에 대한 영향 파악을 조사하기 위해 하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총 5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2015년도에 6개 강우사상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수문분석을 위해 조상대상지역의 강우량, 유속 및 유량 등을 측정하였으며, 수질분석은 수질오염공정시험과 Standard Method를 이용하여 BOD, TN, TP 등의 농도를 분석하였다(USEPA 1993). 모니터링의 결과를 이용하여 강우시 오염물질에 대한 EMC를 산정하고 각 소유역 내 축산 현황에 따른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였다.

  • PDF